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No. 2, pp.47-57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0
Received 28 Feb 2020 Revised 09 Apr 2020 Accepted 09 Apr 2020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0.37.2.47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지역문화정책의 방향성 및 과제

박재홍** ; 권선영***
**한성대학교 예술대학 무용학과 교수 jhpark@hansung.ac.kr
***고양시정연구원 경제사회연구부 부연구위원 ksy@gyri.re.kr
The Directions and its Tasks of Cultural policy in Local for Qualitative Promo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Jaehong Park** ; Sunyoung Kwon***
**Professor, College of Art, Department of Dance, Hansung University
***Associate Research Fellow, Department of Economic & Social Research, Goyang Research Institute


CopyrightⒸ 2020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2010년 서울어젠다가 선포된 이후 최근까지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은 폭발적으로 성장하였다. 그 성장의 특징은 주로 양적 확대에 있었는데, 이는 우리나라에서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이 태동하며 정착된 것이 정책을 중심으로 추진되었기 때문에 나타날 수밖에 없었던 특징이었다. 이제 우리가 고민해야 하는 것은 이미 전환기에 들어서 안정화의 단계를 거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이 어떻게 질적으로 지속 성장할 수 있는 지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지속적인 질적 성장을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중앙주도형’의 방식이 아닌 ‘지역중심형’의 방식이 필요함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지역화의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을 위한 실천이 무엇인지를 논의하고, 그 논의의 끝에서 지방정부와 지역정책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방정부는 예술이 창작, 소비, 향유되는 문화생태계의 전통적 구조가 변화되고 있음을 이해하는 일이 전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지역분권의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추진체계 패러다임 전환, 정책지원체계의 순환적 구조, 지역의 조례 제정, 기초 지방자치단체에서의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계획 및 상위계획과의 연계, 지역 중심의 문화예술교육자 및 활동가 육성·활용·연계, 지역의 우수사례 발굴 및 공유와 현장 중심 실천적 연구 지원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Last year,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ttempted to show the performance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E) by index and indicator while conducting 'Basic study to check performances of Seoul Agenda (Kim, et al., 2018)'. According to this study, as of 2011 immediately after Seoul Agenda was declared, our country's ACE has achieved an explosive growth to date. According to its findings, the highest achievement was done in the area of 'Increase of accessibility to ACE' namely the 'Seoul Agenda - Goal 1'. This must be a growth that is essentially needed while paradigms of ACE took place for the first time in our country and settled down. What we need to do now is practical implementation of ACE instead of a meaningless outcry for upholding its qualitative growth.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review the efforts so far for qualitative growth of ACE and discuss the directions in the future. This study discussed the need of 'localization' and 'understanding of changes in cultural ecosystem' for the qualitative growth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pecifically, the following 5 ways were suggested: 1) paradigm shift of the promotion system of ACE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decentralization, 2) the establishment of local ordinances, 3) the establishment master plan for ACE in local government and the linkage with upper master plan of central government, 4) fostering, utilizing, and linking artists and activisis in local, 5) finding and sharing best practices in local and supporting practical research on site. This study has proposed the above five directions of cultural policies in local for qualitative growth of ACE. These are just some of the ways in which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localization' can be carried out in a truly local, rather than central. Above all, what must be maintained is that those of citizens, experts relevant with arts, practitioners in field, local government, are the main actors in local acting as an active being, not as a passive being.

Keywords:

Culture and arts education, local government, local culture policy, culture ecosystem

키워드:

문화예술교육, 기초지방자지단체, 지역문화정책, 문화생태계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in 2019.

이 논문은 2019 한국무용과학회 제41회 추계학술심포지엄에서 발표된 연구임.This work was supported by 41st Korean Society of Dance Symposium.

References

  • 강승진, 안태호, 최지만, 신세연(2019). 기초(생활권) 단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지역 릴레리 간담회 결과보고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보고서. KACES-1922-C001.
  • 국회사무처(2009). 법률용어의 표준화 기준. 국회사무처예규 제28호.
  • 김병주(2017). 문화예술교육 질적 제고의 의미와 방향.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토론회 자료집. ‘함께 만들어가는 문화예술교육정책토론회(제3차 토론회: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 pp. 1-23.
  • 김인설, 김영주, 이성희, 권선영(2018). 서울어젠다 이행실적 점검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구보고서.
  • 라도삼(2016). 예술지원정책의 진화와 지역의 현안(pp.6-13). In 예술가의 지역살기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 제2의 안양부흥을 위한 ‘안양 예술인지원 대토론회’ 자료집(2016년 9월 8일).
  • 문화체육관광부(2018). 문화예술교육 5개년 종합계획(2018~2022).
  • 박영정(2018). “전환기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이정표”. In 삶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 문화예술교육 5개년 종합계획(2018년 1월 22일). 문화예술교육 웹진 ‘Arte 365’ (http://arte365.kr/?p=63925, ).
  • 오재환(2017). 공연예술의 기술 융합적 작품 실현 여건과 창의적 인재 양성 문화 예술교육 강화 필요. 부산발전포럼, 164, 26-35.
  • 유상진(2015). 지역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마을공동체 활성화: 성남문화재단 사례. 국토(2015년 7월호), 405호, 72-76.
  • 이수철(2017). 지역에 밀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 성남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 정책 전개 과정을 중심으로. IDI도시연구(12), 7-37.
  • 전지윤(2019).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증강현실 기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디지털 문화유산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2), 2357-2366.
  • 정상우, 정필운, 김성태, 유지형(2012).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조례활성화 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연구보고서.
  • 정종은(2018).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문화정책 이슈와 과제: 문화예술교육 정책에의 적용. 지역과문화, 5(4), 21-41.
  • 정종은, 전민정, 최지원, 하유준(2019). 지역문화예술교육계획 분석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구보고서 KACES-1940-R017.
  • 최재붕(2019). 포노사피엔스(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경기: 쌤앤파커스.
  • 현대용, 김정준(2018). 4차 산업혁명과 문화예술산업의 융합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방안: 호남권을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22(1), 211-233.
  • 홍애령, 송미숙(2015). 문화예술교육 정책 분석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향. 한국무용연구, 33(1), 167-190.
  • 홍유진(2018). “함께 만들어가는 문화예술교육”. In 삶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 문화예술교육 5개년 종합계획(2018년 1월 22일). 문화예술교육 웹진 ‘Arte 365’ (http://arte365.kr/?p=63925, ).
  • UNESCO(2009). UNESCO Framework for Cultural Statistics.
  • UNESCO(2010). Seoul Agenda: Goals for the Development of Arts Eduaction. The Second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Seoul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