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No. 2, pp.21-32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0
Received 28 Feb 2020 Revised 09 Apr 2020 Accepted 20 Apr 2020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0.37.2.21

공연예술아카이브 교육 콘텐츠 개발환경 개선 방안 연구

김도연*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연구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정보기록학과 강사
The Study on the possibilities of the developmental environment for educational contents in performing arts archives
Doyeon Kim*
*A researcher in National Theatre of Korea and a lecturer in HUFS, who studied archival science in PhD course of HUFS and finished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MA course of UCL


CopyrightⒸ 2020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공연예술아카이브 교육 콘텐츠 개발환경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영국을 중심으로 무용 아카이브와 교육 콘텐츠 사례를 알아보고, 국내 공연예술아카이브와 비교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공연예술기록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아카이브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첫째로 수집과 보존보다 활용이 중심이 되는 의식 변화를 바탕으로 교육 콘텐츠 개발 등과 관련한 전문 인력과 조직체계, 그에 따른 예산을 확보해야한다.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조사와 연구에 착수하고, 교육기관 및 유관기관과의 지속적인 네트워크 형성과 협력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 아카이브 소장 자료를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단계별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아카이브는 물리적 훼손을 최소화해야하는 유일본을 다루는 기관이다. 또한 기록 간의 관계, 즉 맥락 정보가 중요하여 기록의 그룹이나 컬렉션 단위로 접근하는데 의미를 두는 아카이브의 고유한 특성 때문에 아키비스트의 적극적인 안내와 도움 없이는 공연예술아카이브를 쉽고 편리하게 이용하기 어렵다. 체계적인 이용 매뉴얼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마지막으로 공연예술아카이브의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해 무엇보다 먼저 해결해야할 것은 저작권 문제이다. 공연 작품의 구성 요소별 법의 적용 기준과 범위를 구체화하여 법에 저촉되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기록들을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이 개선되고, 자료에 대한 전문적인 조사·연구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변화하는 사회에 맞는 첨단기술이 적용된 교육 콘텐츠가 개발된다면 공연예술아카이브는 더욱 활성화되고, 공연예술기록의 가치는 더욱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encourages to development educational contents by using records preserved at performing arts archives as soon as possible. To conclude the result, this study explored the examples of dance archives and educational contents in England and uncovered several complex issues encountered by national performing arts archives. In order to make diverse education programmes fully based on performing arts records, firstly, korean art archives need to consciously move from 'collecting and preserving' to 'utilising' in organisational system and work process, as well as keep networks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related organisations. This will enable performing arts archives to communicate and cooperate, and reflect feedback from them and consistently develop. In addition, archives should provide programmes and manuals for users to utilise archives. In terms of copyright, performing arts archives are being in trouble. Records are very fragile as performing arts archives include different kinds of medium. This is the reason why performing arts archives need to have educational system and manuals for users. Most of all, copyright have to be solved and managed for people to utilise records related to performing arts as mush as possible. Without positive changes in copyright of performing arts, it is very hard to find solutions and probabilities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Studies on materials of performing arts professionally and modern technologies such as AR・VR or AI make educational contents more fruitful and colorful.

Keywords:

performing arts, performing arts archives, performing arts records, performing arts materials, dance archives, dance records,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programmes

키워드:

공연예술, 공연예술아카이브, 공연예술기록, 공연예술자료, 무용 아카이브, 무용 기록, 교육 콘텐츠, 교육 프로그램

References

  • 국립무용자료센터 https://www.surrey.ac.uk/national-resource-centre-dance
  • 김도연(2019). 공연예술 영상기록의 현황과 과제: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을 중심으로. 기록과 정보・문화연구, 9, 137-162.
  • 김상신(2016). 젠킨슨과 쉘렌버그의 기록학 이론 비교 연구. 기록학연구, 50, 61-95.
  • 김솔(2012). 대통령기록물 온라인 콘텐츠의 초등교육 활용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1), 59-79.
  • 김정완(2015). 공연예술 보호에 관한 저작권법상의 고찰. 법학논고, 49, 596-631
  • 김한종. 이영효. 최상훈 (2005).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서울: 책과 함께.
  • 람버트 댄스 아카이브 https://www.rambert.org.uk/explore/rambert-archive, /
  • 로열발레스쿨 타임라인 https://www.royalballetschool.org.uk/discover/history/ballet-history-timeline, /
  • 로열오페라하우스 컬렉션 https://www.roh.org.uk/about/roh-collections
  • 박상애(2014). 미술관 아카이브와 교육. 박물관교육연구. 11, 11-31
  • 박혜영(2017). 농악문화유산으로서 물질・비물질 자료의 활용가능성 타진. 실천민속학연구, 29, 239-274.
  • 서혜경(2010). 국가기록원의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 양호환(2001).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삼지원.
  • 오선화(2017). 박물관교육 및 전시 아카이브의 현황과 활용방안. 박물관교육연구, 18, 77-108.
  • 유미희(2008). 무용교수매체로서의 국내예술자료관의 현황과 활용가능성 연구. 한국무용기록학회지, 15, 33-59.
  • 이호신(2013). 공연예술기록의 저작권 문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1), 249-268.
  • 정은영, 최현주(2010). 구성주의적 시각에서 본 무용교육의 방향. 한국체육철학회지, 18(1), 269-284.
  • 한희정, 육혜인, 오유진, 김용(2014). 문화유산기관의 협업을 통한 교육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학회지, 14(2), 31-60.
  • Adrienne L. Kaeppler. Capturing Dance: A Meditation on Imprisonment.(2008) 춤유산저장과 세계 춤아카이브의 현황. 제4회 한국무용기록학회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p3-15.
  • Jenkinson H.(1937), A Manual of Archive Administration rev. 2nd. ed, London:Percy Lund, Humphries & Ltd.
  • Schellenberg, T. S.(1956), Modern Archives: Principle and Techniques, Melbourne, F. W. Cheshi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