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6, No. 4, pp.39-51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19
Received 30 Aug 2019 Revised 08 Oct 2019 Accepted 19 Oct 2019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9.36.4.39

살풀이춤 연구 재고: 한영숙류 살풀이춤을 중심으로

한동엽* ; 조남규
상명대학교
Reconsideration on Salpuri Dance Studies: Focused on the Sect of Han Young Suk
Han, Dong-Yub* ; Cho, Nam-Kyu
Sangmyung Univ.

Correspondence to: * hdyj2@naver.com

CopyrightⒸ 2019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향후 살풀이춤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동안 살풀이춤을 해석하기 위해 논의되어온 자연 합일적 동양 사상과 남성적·여성적 미감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시도한다. 살풀이춤은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춤으로 손꼽히며 유파별로 활발하게 전승되는 한편 전통문화연구의 대상으로서 주목받아왔다. 선행연구가 누적되면서 합일을 지향하는 동양철학의 본질을 통해 살풀이춤을 이해하고자 한 시도는 고유의 사유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성과였다. 하지만 합일로의 귀결 자체에만 초점이 맞추어지면서 개별 주체의 지향과 상호작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철학적 사유를 춤의 언어로 표출한다는 살풀이춤의 성격이 온전히 포착되지 못했다. 한편 살풀이춤의 미감을 해석하기 위해 ‘남성적·여성적’이라는 용어가 재정의 없이 무비판적으로 사용되었다는 점 또한 문제적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합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주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분리와 대립의 과정에 주목했다. 살을 표상하는 명주 수건에 대한 부정과 수용, 맺음과 풀림을 구현하는 살풀이춤에는 분리와 대립의 과정을 거치며 객체와의 관계 속에서 객체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주체 자신의 자아상이 재확립되어가는 능동적인 면이 녹아있음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영숙의 살풀이춤이 철학적 성찰의 과정 자체를 춤의 언어로 풀어냄으로써 구도자적인 숭고미를 자아낸다고 보았다. 한편 기존에 논의되어온 살풀이춤의 미감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그에 대한 대안으로 긴장과 이완의 격차라는 관점에서 살폈다. 살풀이춤은 생명력을 지닌 존재라는 점에서 앞으로의 과제는 살풀이춤에 대한 하나의 통일된 상(像)을 제시하는 것과 오늘날의 가치를 통해 살풀이춤을 재해석하는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critical introspection on the Oriental Thoughts of nature consolidate and esthetic sense of masculine·feminine which have been discussed to interpret the Salpuri dance for aiming to suggest a new perspective on future research on Salpuri dance. Salpuri dance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dances of Korea; it is actively carried on and meanwhile, it has drawn attention as a subject of research on traditional culture. As the preceeding studies accumulates, it was an important achievement to try to understand Salpuri dance by the essence of Oriental philosophy aiming unity because of that it has become possible to grasp the reasons for their own existence. But the focus is on the unity itself, so that no discussion was made about the orientation and interaction of individual entities and the nature of the Salpuri dance was not fully captured on which express it’s philosophical reasons in the language of dance. Also, it is problematic to use the concepts of ‘masculine·feminine’ without redefinition to interpret the esthetic sense of Salpuri dance. This paper noted the process of separation and confrontation which can be grasped by itself on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ere is an active side being establish the self image of subject not just recognition of objects in the relationship through the process of separation and confrontation on Salpuri dance which realize the denial and acceptance, the bond and the unraveling on the silk towel expressing one’s misfortune. On this basis, This paper analyzed Han Young Suk’s Salpuri dance as sublime beauty of seeker of truth by unraveling the process of philosophical introspection in the language of dance. On the other hand, pointed out the problem of the term ‘masculine・feminine’through critic and proposed an alternative term: tension and relaxation gap. Salpuri dance has its own vitality, so that it is our task to present a unified image and reinterpret it through today’s values.

Keywords:

Salpuri Dance, tradition, esthetic sense, tension, relaxation, gender

키워드:

살풀이춤, 전통, 미감, 긴장, 이완, 젠더

References

  • 강지연(2005). 한영숙류와 이매방류 살풀이춤의 미적 특성 비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5.
  • 김선영(1995). 한국 춤에 내재된 태극사상의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48-72.
  • 김연정(2016). 한성준 춤의 전통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89-92.
  • 국승희, 강지연(2006). 한영숙류와 이매방류 살풀이춤의 미적 특성 비교. 한국스포츠학회지. 4(1). 8.
  • 권순주(2004). 정재만의 창작 작품에 내재된 전통적 성향 연구 :〈허튼 살풀이〉,〈광대의 꿈〉,〈비천무〉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7-24.
  • 박상환(2005). 동·서 철학의 소통과 현대적 전환. 서울: 도서출판상. 232-233.
  • 성기숙(1999). 한국 전통춤 연구. 서울: 현대미학사. 425-426.
  • 성기숙(2004). 한국 근대무용가 연구. 서울: 민속원. 31-41.
  • 윤하영(2017). 정재만류 승무에 내재된 미적 가치.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30.
  • 이유나(2004). 살풀이춤과 무속 연관성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55.
  • 이유진(2008). 한영숙의 예술론과 살풀이춤의 삼재사상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예술종합학교 대학원. 31.
  • 정병호(1966).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20집. 서울: 문화부 문화재관리국. 615-750.
  • 하수연(2003). 한영숙류와 이매방류 살풀이춤의 춤사위 용어와 호흡비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0.
  • 황경숙(2005). 한영숙 살풀이춤의 미적 특징.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13(3). 400.
  • Beauvoir. (1949). Le Deuxième Sexe. Paris: Gallimard.
  • Straayer, C. (1996). Deviant Eyes, Deviant Bodie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