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6, No. 4, pp.1-12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19
Received 31 Aug 2019 Revised 08 Oct 2019 Accepted 19 Oct 2019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9.36.4.1

무용전공생의 유튜브(YouTube) 이용 동기가 지각된 유용성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홍미성 ; 김가은**
우석대학교
중앙대학교
The Influence of YouTube Usage Motivation of Dance Major Studen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Creativity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and Dance
Hong, Mi-Sung ; Kim, Ga-Eun**
Woosuk Univ.
Chung-ang Univ.

Correspondence to: ** gaeun422@gmail.com

CopyrightⒸ 2019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생의 유튜브(YouTube) 이용 동기가 지각된 유용성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서울권, 경기권, 충남권, 경남권, 전라권 등 5권역으로 나누어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과 졸업생, 대학원생을 온라인상에서 집락무선표집(stratified cluster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구글 드라이브에서 미디어 설문지를 제작한 후 설문대상자에게 링크 주소를 모바일로(카카오톡) 전송하여 응답한 324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였고, 요인분석 빈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생의 유튜브 이용 동기의 하위 변인 중 편리성, 정보성, 흥미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생의 유튜브 이용 동기의 하위 변인 중 편리성은 창의성 하위 요인 중 창의적 동기에, 정보성은 창의적 태도에, 흥미성은 창의적 동기와 창의적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생의 유튜브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은 창의성 하위 요인인 창의적 동기, 창의적 태도, 창의적 능력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ance major student’s YouTube usage motivation on perceived usefulness and creativity. For the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by dividing the entire country into five provinces (Seoul, Gyeonggi, Chungnam, Gyeongnam, and Jeolla) and using an online "stacked cluster random sampling" with college, 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fter creating a media questionnaire on Google drive and sending a link to the surveyors via mobile (Kakao Talk), 324 people answered in 48 hours. With the collected data,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venience, informativeness and interest among the sub-factors of dance majors' motivation to use YouTub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conven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e motiv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informativ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e attitude, while intere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e motivation and creative ability. Third, dance majors' perceived usefulness on YouTub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e motivation, creative attitude and creative ability among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Keywords:

YouTube, Usage motivation, Perceived usefulness, Creativity, Dance major student

키워드:

YouTube, 이용 동기, 지각된 유용성, 창의성, 무용전공생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우석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됨.

References

  • 강혜영, 이장익, 김성완(2012). 스마트교육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관계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 141-144.
  • 김미량, 김진숙(2007).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및 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10), 44-58.
  • 민경화(2015). 무용에서 유튜브의 활용에 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3(1), 75-94.
  • 심성욱, 김운한(2011).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소셜미디어 광고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13(2), 342-376.
  • 심성욱, 변혜민, 김운한(2011). 수용자의 내적 특성과 이용 동기가 모바일 뉴스콘텐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경제연구. 14(2), 75-98.
  • 안대천, 김상훈(2011). 이용자의 성별 세분화에 따른 모바일커머스 수용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88), 7-36.
  • 이경민(2018). 벨리댄스 참여자의 SNS 이용형태에 따른 동기와 지각된 유용성 및 정보탐색만족도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 이은환(2013).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학습자 특성, 상호작용, 몰입, 지각된 유용성 및 학습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 이정희(2018). 유튜브 교육/강좌 콘텐츠의 만족도와 지속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 이춘종(2006). 리더십 유형이 창의성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 장안리(2016).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사의 지도행동유형이 무용전공학생의 내적동기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학교 교육대학원.
  • 최웅철(2013). 체육교사의 리더십 유형과 중학생이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창의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대학원.
  • 하승희(2015). 소셜미디어 접근성과 무용교육적 속성, 교수행동, 소셜미디어 태도와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일반대학원.
  • 황순영(2012). 무용전공자의 유투브 활용의도 결정요인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황순영(2014). 사회과학분야 : 무용전공자의 유투브 이용 동기가 지각된 유용성 및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1(2), 69-86. [https://doi.org/10.21539/ksds.2014.31.2.69]
  • 창의력을 키우는 4가지 테크닉, 체인지 그라운드, (업데이트: 2018년 3월 29일, 검색일 2019년 8월 1일), (https://www.youtube.com/watch?v=Am1i8c1bZto, , 2019. 8. 1)
  •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New York: Springer-Verlag. [https://doi.org/10.1007/978-1-4612-5533-8]
  • Amabile, T. M. (1989). Growing up Creative, Buffalo. NY: CEF Press.
  • Anthony, B. David, E. (2017). The Runaway Species How Human Creativity Remakes the World. Edinburgh: Catapulta.
  •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https://doi.org/10.2307/249008]
  • Hesmondhalgh, D., & Baker, S. (2013). Creative labour: Media work in three cultural industries. Routledge.
  • Rubin, A. M. & Perse, E. M. (1987). Audience activity and Television news gratifictions. Communicaiton Research, 14(1). 58-84 [https://doi.org/10.1177/009365087014001004]
  • Torrance, E. P. (1977). Creativity in the classroom: What research says to the teacher. Washington D. C: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 World Economic Forum. (2015). Deep shift technology tipping points and societal impact. Colony/Geneva: World Economic Forum. p.7.
  • Zhou, J. & George, J. M. (2001). When job dissatisfaction leads to creativity: Encouraging the expression of voi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4), 682-696. [https://doi.org/10.5465/3069410]
  • Alex, G. (2016, Jan 19). The 10 skills you need to thriv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trieved January 19, 2016 from https://www.weforum.org/agenda/2016/01/the-10-skills-you-need-to-thrive-in-the-fourth-industrial-rev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