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 심리학 관점에서 바라 본 창작무용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뇌성마비 장애인의 경험적 의미 탐색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창작무용프로그램을 통한 뇌성마비 장애인의 경험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가자는 뇌성마비 장애인 8명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뇌성마비 장애인 부모 5명이다. 심층 면담과 참여 관찰을 사용하여 수집하였고,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토대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창작무용 프로그램은 동적 시스템(Dynamic System Theory)을 기반으로 참가자들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움직임을 창작할 수 있도록 개념적 틀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2회 12주 동안 총 24회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같은 유형의 장애그룹에 대한 동질감과 공동체감은 관계로, 동작숙련에 대한 유능감, 움직임에 대한 자신감, 공연 성취감은 성취로, 긍정적 피드백과 긍정적 느낌은 긍정정서로, 독립적인 움직임 의지와 새로운 도전은 일상에서의 변화로 범주화 되었다. 참여자들은 수용적이고 무비판적인 창작무용 환경에서 자발적으로 창의적 움직임을 탐험하고 구현하였으며 그 과정을 통해 자신 삶에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뇌성마비 장애인들이 장애로 인해 신체 움직임에 대해 위축된 심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창작무용을 통해 긍정적 심리를 체험하였으며, 그러한 변화가 그들의 일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작무용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신체장애인 무용 영역을 확장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mpirical meaning participation in creative dance program by people with cerebral palsy in the aspect of positive psychology. Participants were eight people with cerebral palsy and five their parents, who were recrui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using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by researcher, and data collected as per the domain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proposed by Spradley (1979) were analyzed. Based on the Dynamic System Theory, the creative dance program implemented in this study constituted a conceptual framework for participants to create their own movements voluntarily. The program was conducted 24 times twice weekly for 12 week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ense of empathy for the same type of disability group and sense of community were categorized into relationships. The competence of skilled movement, confidence of movement, and achievement of performance were categorized into accomplishment. The positive feedback and positive feeling were categorized into positive emotions. The will for independent movement and new challenges were categorized into changes in everyday life. In this study, although the people with cerebral palsy had a psychological response to body movements due to disability, they experienced positive psychological responses through creative dance based on movements, and such changes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daily lives. It is meaningful to confirm such effect. Therefore, this study showed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s experienced by people with CP and their parents through participating in creative dance, from the aspect of positive psychology and had implications for expanding the dance field for the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Keywords:
positive psychology, cerebral palsy, creative dance, dance and disability키워드:
긍정 심리학, 뇌성마비 장애인, 창작무용, 장애인 무용References
- 권오정 (2014). 무대에선 관객들: 커뮤니티 댄스 참여자들의 심리적 체험. 대한무용학회지, 72(6), 1-23.
- 김광범, 김상태 (2007). 무용전공 학생들의 참여 동기 요인탐색. 대한무용학회지, 44, 31-42.
- 김영미, 홍혜전 (2013). 진지한 여가로서 성인여성의 커뮤니티댄스 공연 체험의 의미. 한국무용기록학회, 29, 43-61.
- 김봉선. (2007). 뇌성마비인의 장애형성과정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김성희, 이연희, 황주희, 오미애, 이민경, 이난희, 강동욱, 권선진, 오혜경, 윤상용, 이선우 (2014). 2014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서울.
- 김현우, 김대원 (2013). 성인 뇌성마비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1, 193-212.
- 김형수 (2004). 되풀이되는 차별과 소외의 역사, 그 치밀함의 이중성. 한울 아카데미: 경기도.
- 문영민. (2017). 공연예술 활동을 통한 신체장애인의 장애정체성 벼화 과정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박현정, 김전옥, 손윤희 (2015). 청소년기 공동체 의식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6(4), 105-127.
- 백현순 (2011). 장애인의 문화예술복지 정책과 무용공연 활동. 한국스포츠학회지, 9(4), 177-187.
- 서유진 (2013). 긍정심리학의 정신건강 요소에 기초한 장애학생 가족의 긍정적인 인식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전, 14(4), 27-56.
- 성창훈, 곽성희 (2005). 무용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자원의 구조 및 발달적 차이. 한국체육학회지, 44(5), 757-767.
- 우문식 (2016). 긍정심리학은 기회다. 물푸레 출판부: 안양.
- 윤덕결 (2011). 장애인의 문화예술 참여에 대한 실제와 그 가능성. 한국무용연구, 29(3), 1-21.
- 이간순 (2006). 교육대학생의 무용 활동 참여 후 인식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8(1), 1-17.
- 이경희. (2006). 무용전공자의 무용 활동과 몰입경험, 자아개념 및 자아실현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이민희, 차수정 (2017). 펄마(PERMA) 이론을 적용한 긍정심리학 즉흥무용교육프로그램 연구.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66-66.
- 이병희, 고주연 (2010). 정신지체아동 및 뇌성마비아동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색.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9(2), 105-126.
- 이선애 (2012). 휠체어 댄스 프로그램 참여가 여성 지체장애인의 혈중지질과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7, 85-104.
- 이숙재, 최효진, 박중길 (2009). 무용수업의 과정과 결과로서 즐거움 자원의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48(4), 409-424.
- 이은경 (1994). 무용교육 정도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사회ㆍ정서 발달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인속 (2007). 지체애인의 지각된 낙인과 자아존중감. 대한근관절건강학회, 14(1), 52-60.
- 조성미, 오덕원, 김선엽 (2009). 부모의 보고에 의한 강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적 기능수준에 따른 삶의 질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1), 29-37.
- 조영주 (2005). 무용수행의 심리적 요인구조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 정문주, 조은영, 이상희 (2018). 지체장애 남자 휠체어 무용수의 공연을 통한 삶의 변화. 한국웰니스학회지, 13(1), 333-347.
- 정희정 (2018). 창작무용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장애인의 심리적 요소와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정희정, 김수경, 김영신, 노웅래, 이용호. (2017). 농촌 여성노인의 신체수행력, 근력, 균형능력 향상을 위한 창작무용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5(4), 109-132.
- 한주희, 임규혁 (2012).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과 팀 수준 요인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13(5), 91-111.
- 황미경 (2002). 무용전공 여대생의 신체 이미지(body image)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홍애령 (2015). 장애인의 문화예술향유를 위한 장애인 무용의 개념 및 가치 재탐색. 문화정책논총, 29(1), 78-103.
- Austin, J. T., & Vancouver, J. B. (1996). Goal constructs in psychology: Structure, process, and content. Psychological bulletin, 120 (3), 338. [https://doi.org/10.1037/0033-2909.120.3.338]
- Bloemen, M. A., Backx, F. J., Takken, T., Wittink, H., Benner, J., Mollema, J., & Groot, J. F. (2015).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 physical disability: a systematic review.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7(2), 137-148. [https://doi.org/10.1111/dmcn.12624]
- Creswell, J. W. (2010).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조홍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07년 출판).
- Darrah, J. D. (1997). Clinical reasoning: management of a child with cerebral palsy—comparison of neurodevelopmental and dynamic systems approaches. In clinical Reasoning Symposium booklet disseminated at Physical Therapy (Vol. 97).
- Eddy, M. H. (2002). Dance and somatic inquiry in studios and community dance programs. Journal of Dance Education, 2(4), 119-127. [https://doi.org/10.1080/15290824.2002.10387220]
- Fetters, L. (1991). Measurement and treatment in cerebral palsy: an argument for a new approach. Physical Therapy, 71(3), 244-247. [https://doi.org/10.1093/ptj/71.3.244]
- Frank, A. W. (1991). For a sociology of the body: an analytical review. The body: Social process and cultural theory, 36-102. [https://doi.org/10.4135/9781446280546.n2]
- Fredrickson, B. L. (1998).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3), 300-319. [https://doi.org/10.1037/1089-2680.2.3.300]
- Fredrickson, B. L., & Branigan, C. (2005). Positive emotions broaden the scope of attention and thought‐action repertoires. Cognition & emotion, 19(3), 313-332. [https://doi.org/10.1080/02699930441000238]
- Hanna, J. L. (1988). Dance and stress: Resistance, reduction, and euphoria (No. 13). Ams Pr Inc.
- Hui, E., Chui, B. T. K., & Woo, J. (2009). Effects of dance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lder person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9(1), e45-e50. [https://doi.org/10.1016/j.archger.2008.08.006]
- Jay, D. (1991). Effect of a dance program on the creativity of preschool handicapped children.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8(4), 305-316. [https://doi.org/10.1123/apaq.8.4.305]
- Lobo, Y. B., & Winsler, A. (2006). The effects of a creative dance and movement program on the social competence of head start preschoolers. Social Development, 15(3), 501-519. [https://doi.org/10.1111/j.1467-9507.2006.00353.x]
- Lyubomirsky, S. (2001). Why are some people happier than others? The role of cognitive and motivational processes in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6(3), 239.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39]
- McMillan, D. W., & Chavis, 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6-23. [https://doi.org/10.1002/1520-6629(198601)14:1<6::AID-JCOP2290140103>3.0.CO;2-I]
- Morse, J. M., & Field, P. A. (1995). Nursing research: The application of qualitative approaches. Nelson Thornes.
- Newell, K. M., & McDonald, P. V. (1994). Learning to coordinate redundant biomechanical degree of freedom. In S. P. Swienn, J. Massion, H. Heuer, & P. Casaer (Eds.), Interlimb Coordination: Neural, Dynamicla, and Cognitive Constraints(p. 515~536). Academic Press. Inc. San Diego, CA. [https://doi.org/10.1016/B978-0-12-679270-6.50029-2]
- Ouweneel, E., Le Blanc, P. M., & Schaufeli, W. B. (2011). Flourishing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on positive emotions, personal resources, and study engagement.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6(2), 142-153. [https://doi.org/10.1080/17439760.2011.558847]
- Seligman, M. E. (2002).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2(2002), 3-12.
- Seligman, M. E. (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Policy, 27(3), 60-1.
- Shiling, C. (1999). 몸의 사회학, 임인숙 역(2011), 서울: 나남.
- Spradley, J. P. (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New York Holt, Rienhart & Winston.
- Thelen, E., & Smith, L. B. (1996). A dynamic systems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cognition and action. MIT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