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 후 비만 중년여성의 댄스스포츠 적용이 Osteosarcopenic obesity지표와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 후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댄스스포츠 적용이 신체구성과 골다공증-근 감소성 비만 증후군의 지표에 미치는 변화를 알아봄으로서 댄스스포츠를 통한 폐경 후 비만 중년여성의 골밀도, 근육량 및 체지방률의 지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폐경 후 1년이 초과하였고, 체 지방율이 30%이상인 비만중년여성 17명을 대상으로 댄스스포츠 집단 9명, 대조집단 8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변인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댄스스포츠 집단에서 체중, 체지방률, BMI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Irisin, Osteocalcin, Adiponectin은 유의한 증가, Leptin은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 댄스스포츠의 적용은 폐경 후 비만 중년여성의 지질대사, 골대사 및 근육기능증진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더욱이 인내심을 요구하는 다른 운동방법에 비하여 즐거움을 느끼며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종목임에 따라 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e of Osteosarcopenic obesity and Body composition in post menopause obesity women after Dance sports. The participants are 17 post menopause obesity women who had menopause more than a year ago and their body fat percentage is over 30%. They are divided into 9 of Dance sports group and 8 of control group. Dance sports were conducted for 12 weeks, 3 times a week, and for 50 minutes each. The events were rumba, jive, and cha-cha-ch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significant change of Body composition and Osteosarcopenic obesity index caused by interaction effect among groups. Weight, Body Fat, and BMI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in Dance sports group after exercise. Irisin, Osteocalcin and Adiponectin showed significant increase and Leptin showed significant decrease. Therefore, It is identified that adapting Dance sports in post menopause obesity women is the effective method on Lipid Metabolism and Bone Metabolism.
Keywords:
menopause, dance sports, Osteosarcopenic obesity, body composition키워드:
폐경, 댄스스포츠, 골다공증-근 감소성 비만 증후군, 신체구성References
- 김기훈, 허유섭(2013). 승마운동이 기승자의 혈액성분, 피로물질 및 아디포넥틴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2(2), 1023-1032.
- 김창선, 김지연, 김효진(2015). 8주간의 필라테스 운동은 부위 특이적으로 요추 및 하지 부위의 골밀도를 향상 시킨다. 운동과학, 24(4), 383-390.
- 김형준, 이만균, 성순창(2010). 댄스스포츠 트레이닝이 노인 여성의 신체구성, 혈중 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9(3), 321-330.
- 나승희(2007). 비만중년여성들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신체구성 및 아디포넥틴과 C-반응성 단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1, 1025-1032.
- 박상갑, 김은희(2006). 복합트레이닝과 ACE 유전자 다형성이 후기 고령 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5(2): 503-514.
- 박진국(2010). 저항운동 후 트레드밀 걷기 강도 차이가 비만중년여성의 혈중 아디포넥틴, 레지스틴, 렙틴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9(1), 967-977.
- 서한교(2018). 근 감소증 비만인에게 나타나는 대사적 감소증, 면역감소 및 운동효과. 코칭능력개발지, 20(2), 91-96.
- 심은화(2006). 댄스스포츠 참여가 중년 비만여성의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오덕자(2006). 댄스스포츠가 중년 직장 남성들의 신체조성, 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0(1): 39-51.
- 오정은(2011). 댄스스포츠 참여가 노인여성의 건강관련 체력 및 요소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체육대학원.
- 이은숙, 손태열(2008). 스포츠댄스 활동이 폐경기 중년 여성들의 비만 및 인슐린 저항성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6(2): 214-223.
- 이정윤, 이서형(2016). 필라테스운동이 비만여성의 adiponectin, 체지방률 및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3(2), 111-121.
- 이혜정, 이만균, 홍광석(2009). 9주간의 댄스스포츠 트레이닝이 여성 노인의 낙상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0(4), 778-790.
- 인치석, 이민기, 김정수(2016). 중년비만 여성의 댄스스포츠 모션비트 트레이닝 적용이 심폐기능, 대사성 위험요인 및 에너지조절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5(1), 701-713.
- 정미송(2007). 댄스스포츠 종목별 에너지 소모량의 유용성. 한국무용과학회, 14. 1-11.
- 정성우, 서명원, 김성우, 송종국(2017). 골다공증-근감소성 비만 고령여성의 기능체력과 등속성 근기능 특성 및 아이리신과 아디포카인,골대사지표의 관련성 분석. 체육과학연구, 28(2), 285-299.
- 정영주(2002). 율동적 운동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생리적 지수, 생활만족, Calcium, Phosphorous, Osteocalcin, Deoxypyridinoline에 미치는 영향.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4(2), 93-112.
- 조규청(2000). 댄스스포츠의 이론과 실제Ⅱ. 서울: 홍경 출판사.
- Bostrӧm, P., Wu, J., Jedrychowski, M. P., Korde, A., Ye, L., Lo, J. C., Rasbach, K. A., Bostrom, E. A., Choi, J. H., Long, J. Z., Kajimura, S., Zingaretti, M. C., Vind, B. F., Tu, H., Cinti, S., Højlund, K., Gygi, S. P. & Spiegelman, B. M.(2012). A PGC1-alphadependent myokine that drives brown-fat-like development of white fat and thermogenesis. Nature, 481(7382), 463-468.
- Colaianni, G., Cuscito, C., Mongelli, T., Oranger, A., Mori, G., Brunetti, G., Colucci, S., Cinti, S. & Grano, M.(2013). Irisin enhanc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in vitro. International Journal of Endocrinology, Francis, P., Lyons, M., Piasecki, M., Mc Phee, J., Hind,.
- Daskalopoulou, S. S., Cooke, A. B., Gomez, Y. H., Mutter, A. F., Filippaios, A., Mesfum, E. T., et al.(2014). Plasma irisin levels progressively increase in response to increasing exercise workloads in young, healthy, active subjects. European journal of endocrinology, 171(3), 343-352. [https://doi.org/10.1530/EJE-14-0204]
- Esposito, K., Pontillo, A., Palo, C. D., Giugliano, G., Masella, M., Marfella, R., & Giugliano, D.(2003). "Effect of weight loss and lifestyle changes on vascular inflammatory markers in obese wome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9, 1799-1804. [https://doi.org/10.1001/jama.289.14.1799]
- Evaus, W. J., Paolisso, G., Abbatecola, A. M., Corsonello, A., Bustacchini, S., Strollo, F., Lattanzio, F. (2010). Frailty and muscle meatabolism dysregulation in the elderly. Biogerontology, 11, 527-36. Francis, P., Lyons, M., Piasecki, M., McK., Jakeman, P. (2017). Measurement of muscle health in aging. Biogerontology, 18(6), 901-911.
- Hickey, M. S., Considaine, R. V., Isarael, R.G., Mahar. T. L., McCammon, M. R., Tyndall, G. L., Houmard, J. A., & Caro, J. F.(1996). Leptin is related to body fat content in male distance runners. Am J Physiol, 271, 938.
- Hotta, K., Funahashi, T., Arita, Y., Takahashi, M., Matsuda, M., Okamoto, Y., Iwahashi, H., Kuriyama, H., Ouchi, N., Maeda, K., Nishida, M., Kihara, S., Sakai, N., Nakajima, T., Hasegawa, K., Muraguchi, M., Ohmoto, Y., Nakamura, T., Yamashita, S., Hanafusa, T., & Matsuzawa, Y.(2000). Plasma concentrations of a novel, adipose-specific protein, adiponectin, in type 2 diabetic patients.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 1595-1599. [https://doi.org/10.1161/01.ATV.20.6.1595]
- Huh, J. Y., Dincer, F., Mesfum, E., & Mantzoros, C. S .(2014). Irisin s timulates muscle g rowthrelated genes and regulates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metabolism in human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8(12), 1538-1544. [https://doi.org/10.1038/ijo.2014.42]
- Hulver, M. W., Sheng, D., Tanner, C. J., Houmard, J. A., Kraus, W. E., Slentz, C. A., Sinha, M. K., Pories, W. J., MacDonald, K. G., & Dohm, G. L.,(2002) "Adiponectin is not alter with exercise training despite enhanced insulin action,"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83, 861-865. [https://doi.org/10.1152/ajpendo.00150.2002]
- Ilich, J. Z., Inglis, J. E., Kelly, O. J., & McGee, D. L. (2015). Osteosarcopenic obesity is associated with reduced handgrip strength, walking abilities, and balance in postmenopausal women. Osteoporosis International, 26(11), 2587-2595. [https://doi.org/10.1007/s00198-015-3186-y]
- Ilich, J. Z., Kelly, O. J., Inglis, J. I., Panton, L. B., Duque, G., & Ormsbee, M. J. (2014). Interrelationship among muscle, fat, and bone: connecting the dots on cellular, hormonal, and whole body levels. Ageing Research Reviews, 15, 51-60. [https://doi.org/10.1016/j.arr.2014.02.007]
- Inglis, J. E., Ilich, J. Z.(2015). The Microbiome and Osteosarcopenic Obesity in Older Individual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Curr Osteoporos Rep. 13(5), 358-362. [https://doi.org/10.1007/s11914-015-0287-7]
- Kim, Y. S, Paik, I. Y, Rhie, Y. J, Suh, S. H.(2010). Integrative physiology: defined novel metabolic roles of osteocalcin. J Korean Med Sci, 25(7), 985-991. [https://doi.org/10.3346/jkms.2010.25.7.985]
- Kriketos, A. D., Sharp, T. A., Seagle, H. M., Peters, J. C., & Hill, J. O.(2000). Effect for aerobic fitness on fat oxidation and body fatness. Medicine& Sciencein, Sports & Exercise, 32(4), 805-811. [https://doi.org/10.1097/00005768-200004000-00013]
- Moraes, C., Leal, V. O., Marinho, S. M., Barroso, S. G., Rocha, G. S., Boaventura, G. T., & Mafra, D.(2013).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does not affect plasma irisin levels of hemodialysis patients. Hormone and Metabolic Research, 45(12), 900-904. [https://doi.org/10.1055/s-0033-1354402]
- Suominen, H.(2006). Muscle training for bone strength.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8(2), 85-93. [https://doi.org/10.1007/BF03327422]
- Talbot, L. A., Metter, C. J., & Fleg, J. I.(2000). Leisure-time physical activities and their relationship to cardiorespiratory fitness in healthy men and woman 19-95 years old. Medicine in Sports & Exercise, 32(2), 417-425. [https://doi.org/10.1097/00005768-200002000-00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