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5, No. 4, pp.127-142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Oct 2018
Received 30 Aug 2018 Revised 11 Oct 2018 Accepted 21 Oct 2018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8.35.4.127

질 들뢰즈와 무용: 한국무용학의 들뢰즈 수용방식

조남규 ; 배은주*
상명대학교
Gilles Deleuze and Dance: Reviewing the Reception of Gilles Deleuze in Dance Studies in Korea
Cho, Nam-Gyu ; Pae, Eun-Joo*
Sangmyu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april0525@msn.com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들뢰즈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 가운데 한 명이며, 한국에서도 여러 분야에 걸쳐 폭넓게 그의 사상이 검토되고 있다. 이런 추세와 함께 2000년대 초부터 한국의 무용 연구자들도 들뢰즈 사상에 주목하고, 그 관계를 탐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자들이 들뢰즈 사상과 무용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에 관해 살펴보는 리뷰 논문의 성격을 띠고 있다. 리뷰 대상은 2000년대 초부터 지금까지 한국의 무용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이며, 집중적으로 이 주제에 관해 천착한 연구자 3명을 선정하였다. 단수의 논문 집필자를 검토 대상에서 제외한 것은 결코 가치가 없기 때문이 아니라, 다른 기회에 논의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우선 김정은은 이 주제를 본격적으로 제기하고, 대체적인 윤곽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니는 반면, 들뢰즈 사상의 난해함을 뚫고 독자에게 전달하는 면에서 아쉬운 점이 있다. 들뢰즈와 동양사상과의 관련성을 검토한 것은 적절하지만, 자칫 신비적 원초성을 인정하는 쪽으로 갈 위험성도 없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들뢰즈와 무용이라는 주제에 관한 한,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나일화는 무용 연구가 들뢰즈 사상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이유를 잘 보여 주고 있다. 그는 들뢰즈 사상 가운데 무용 연구에 적합한 여러 측면을 검토하는 한편, 그런 사상과 어울릴 수 있는 무용계의 다양한 사례를 함께 서술하여 독자의 이해를 증진하고 있다. 하지만 나일화가 묻지 않고 있는 것은 한국을 비롯한 비(非)서구 무용계에서 들뢰즈 사상이 과연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관한 물음이다. 세 명 중에서 가장 후발 주자인인 이나현은 앞선 연구를 이어받으면서 보다 심화해 가고 있다. 이나현이 주장하고 싶은 바는 들뢰즈의 주요 사상이 서구 무용계에서 이미 실천하고 있는 방법, 예컨대 접촉 즉흥의 방법과 훌륭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서로 상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나현이 기여하고 있는 것은 들뢰즈 사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무용계에서 행한 실험적 시도와 구체적이고, 설득력 있게 접속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나현도 나일화처럼 한국 무용계에서 들뢰즈가 지닌 의미에 대해서는 아직 물음을 던지지 않고 있다. 이 물음에 대해서는 앞으로 들뢰즈 사상과 무용을 연결 짓는 연구자가 진지하게 논의해야 할 문제라고 본다.

Abstract

Gilles Deleuze(1925-1995)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inkers in the world. In the Korean academic field, many scholars have interpreted Deleuze's thought in their own way. Since 2000s, the relationship between Deleuze's thought and Dance Studies has been discussed, and as a result several papers were published.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important papers on this subject and discuss their contributions and some remaining questions. Three researchers are chosen in terms of their focus on the relationship: Kim Jeong-Un, Na Il-Wha and Lee Na-hyun. After reviewing the works of three researchers, I summarized their strong points and posed the question that some of them didn't ask.

Keywords:

Deleuze and Dance, Non-Representation, Nomadic Body, Deterritorialization, Contact improvisation

키워드:

들뢰즈와 무용, 비(非) 재현성, 유목적 신체, 탈영토화, 접촉 즉흥

References

  • 권옥회(2007). 춤추는 몸의 유목적 주체화 양식 연구: 들뢰즈·가타리의 신체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8(1), 1-28.
  • 김말복, 나일화(2008). 무용미학의 논의를 위한 들뢰즈 사상의 수용 가능성: Pina Bausch 작품에 나타난 ‘기관 없는 신체’를 중심으로, 무용예술학연구, 25, 1-31.
  • 김미현, 최찬열(2013). 엑스터시체험과 동물춤의 생성존재론적 해명: 굿의 존재론, 무용역사기록학, 28, 1-20.
  • 김정은, 신현군(2004). 들뢰즈의 기관 없는 신체를 통한 무용예술에서의 미학적 신체관,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12(3), 447-465.
  • 김정은, 신현군(2007). 무용현상과 들뢰즈의 재현방식,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15(4), 249-259.
  • 김정은(2008). 불교와 들뢰즈의 주체 개념과 무용현상 안에서의 탈 주체화에 대한 관계적 의미고찰,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16(3), 193-205.
  • 김재인(2016). 혁명의 거리에서 들뢰즈를 읽자: 들뢰즈 철학 입문, 느티나무책방.
  • 김혜라(2009). 춤에 표현된 욕망과 질주: 들뢰즈의 유물론적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민족미학, 8, 55-78.
  • 김효(2003). 들뢰즈/가따리의 "되기"이론으로 살펴 본 댄스시어터의 미학, 한국연극학, 20, 391-415.
  • 나일화(2011). 들뢰즈의 사유를 통해 본 무용예술에서의 유목적 신체에 관한 논의: 필립 드쿠플레의 “샤잠”(Shazam)을 중심으로, 무용예술학연구, 32, 1-24.
  • 나일화, 김말복(2012). 마야 데렌(M. Deren)의 댄스 필름에 나타난 신체 이미지에 관한 연구: 질 들뢰즈(G. Deleuze)의 이미지론을 중심으로, 무용예술학연구, 39, 49-50.
  • 나일화(2012). 윌리엄 포사이드(W. Forsythe)의 작품에 나타난 유목적 신체, 무용예술학연구, 38. 67-88.
  • 나일화(2013). 무용미학에 있어서 들뢰즈(G. Deleuze)의 신체논의와 예술개념의 의미, 무용예술학연구, 43, 47-68.
  • 나일화(2017). 무용예술에 나타난 신체의 재현과 미학적 인식, 무용예술학연구, 63, 1-17.
  • 들뢰즈, 질, 펠릭스 과타리(1997). 안티 오이디푸스: 자본주의와 분열증 l, 김재인 옮김, 민음사, 1997. (3판 2014) (L'Anti-OEdipe: Capitalisme et Schizophrénie 1, 1972).
  • 들뢰즈, 질, 펠릭스 과타리(2001). 천 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증 2, 김재인 옮김, 새물결, 2001. (Mille Pl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énie 2, 1980).
  • 들뢰즈, 질(2004). 차이와 반복, 김상환 옮김, 민음사, 2004. (Différence et répétition, 1968).
  • 들뢰즈, 질(2008). 감각의 논리, (들뢰즈의 창 6), 하태환 옮김, 민음사. (Francis Bacon: Logique de la sensation, 1981).
  • 빌라니, 아르노, 로베르 싸소 편집(2012). 들뢰즈 개념어 사전, 신지영 옮김, 서울: 도서출판 갈무리, (Arnaud Villani, Robert Sasso, Le Vocabulaire de Gilles Deleuze, 2003).
  • 양은숙(2016), 피지컬 씨어터의 움직임에 나타나는 리좀적 특성, 한국무용연구, 34(1), 125-147.
  • 양은정, 정의숙(2012). 포스트구조주의 논의를 통해 본 한국 대중춤의 사회문화적 의미,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0(1), 183-222.
  • 이나현(2012). 윌리엄 포사이드의 몸에 대한 시각 연구, 무용예술학연구, 35, 103-121.
  • 이나현, 김말복(2015). 접촉 즉흥 방법론에 나타나는 리좀적 특성 연구, 무용예술학연구, 52, 69-83.
  • 이나현(2015). 윌리엄 포사이드의 즉흥 테크놀로지에 나타나는 비재현성에 대한 연구, 무용예술학연구, 55, 81-95.
  • 이나현, 김말복(2016). 질 들뢰즈의 감성론을 기반으로 한 접촉 즉흥에서의 감각에 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4(5), 109-122.
  • 이찬웅(2016). 들뢰즈에서 창조의 세 전선(戰線): 철학, 과학, 예술. 철학, 127, 103-126.
  • 진윤희, 김혜정(2015). 들뢰즈의 신체론에 근거한 즉흥무용프로그램이 신체자기지각 및 표현능력과 창작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2(4), 45-60.
  • 콜브룩, 클레어(2007). 들뢰즈 이해하기: 차이생성과 생명의 철학, 한정헌 옮김, 그린비. (Claire Colebrook, Understanding Deleuze, 2002).
  • 콜브룩, 클레어(2008). 이미지와 생명, 들뢰즈의 예술철학, 정유경 옮김, 그린비. (Claire Colebrook, Deleuze: A Guide for the Perplexed, 2006).
  • Briginshaw, V. A. (2005). Difference and Repetition in Both Sitting Duet, Topoi 24, 15-28. [https://doi.org/10.1007/s11245-004-4158-6]
  • Colebrook, C. and Bennett, D. (2009). The Sonorous, the Haptic and the Intensive, New Formations, 66, Spring 2009.
  • Cull, L. ed. (2005). Deleuze and Performance.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3366/edinburgh/9780748635030.001.0001]
  • Cull, L. (2012). Theatres of Immanence: Deleuze and the Ethics of Performance. Palgrave Macmillan.
  • Ellars, J. S. (2007). Aiôn and Chronos: Deleuze and the Stoic Theory of Time, Collapse. 3.
  • Foucault, M. (1977). “Theatrum Philosophicum,” Language, Counter-memory, Practice: Selected Essays and Interviews, edited with an Introduction by Donald F. Bouchard, l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 Guillaume, L. and Hughes, J. eds, (2011). Deleuze and the Body,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3366/edinburgh/9780748638642.001.0001]
  • Gilles_Deleuze. Retrieved June 20, 2018 from https://en.wikipedia.org/wiki/Gilles_Deleuze.
  • Moore, A. W. (2012). The Evolution of Modern Metaphysics: Making Sense of Thing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