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5, No. 4, pp.109-125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Oct 2018
Received 10 Sep 2018 Revised 11 Oct 2018 Accepted 21 Oct 2018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8.35.4.109

Post-Modern 시대의 전통교육담론: 승무 교육을 중심으로

김설리 ; 태혜신**
성균관대학교
**경희대학교
Discourse on traditional education in the postmodern era : Focusing on the Seungmu training course
Kim, Suel-Li ; Tae, Hyae-Syn**
Sungkyunkwan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thspjk@hanmail.net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전통춤의 교육과 전승은 수련과정에서 간단히 형식적인 것만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세계 안에서 존재의 뜻을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전통 춤의 목표는 학습자가 전통춤을 경험하여 진정한 자아를 발견하고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 시대에 이루어지고 있는 춤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찾기 위한 논의이다. 그중에서도 전통춤의 진수라 일컫는 승무교육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탈근대교육관을 언급하려 한다. 승무를 중심으로 근대 예술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검토한 연구 범위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승무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다. 둘째, 근대교육과 근대 예술교육의 의미와 한계를 살펴본다. 셋째, 탈근대교육의 의미를 고찰한다. 넷째,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탈근대적 승무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전통춤교육의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n education and art museum in order to find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of commemoration in the postmodern era. It is aimed to discuss postmodern education hall and art museum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problems and limits of modern art education.

The goal of education and tradition of "traditional dance" is not to simply acknowledge formality, but to find a meaning of existence in our world, to recognize it, and to make a way out of it. The experience of experiencing in the living world and expressing it is to discover, personalize, and socialize a unique meaning in the context of life (Gerber, 1971). Therefore, the goal of traditional dance is to allow learners to experience traditional dancing and to discover their true form. And to know the true meaning of life about it and to work out their worl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discourse of traditional education centering on the education on "marriage".

The desirable direction of ultimate reward education is because the trainees are able to discover their true inner figure through experience about the reward, and realize the true meaning of life, thereby helping self-realization. This will be the starting line of traditional farewell education for the postmodern era.

However,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organize the experience of the life of the student in the life of the Korean people.

Keywords:

Korean traditional dance, Korean traditional dance education, Seungmu, Seungmu education, Postmodern education

키워드:

전통춤, 전통춤교육, 승무, 승무교육, 탈근대교육

Acknowledgments

본 연구에서는 Post-Modern을 탈근대로 칭하여 사용한다.

References

  • 강기수(2003). Rousseau의 소극적 교육의 교육적 시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교육사상연구, 13. 1-15.
  • 고미숙(2000).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 책세상.
  • 고미숙(2006). 교육철학. 문음사.
  • 김경숙(2006). 전통춤의 구조와 그 가르침을 위한 시론. 대한무용학회. 49. 1-18.
  • 김경숙(2009a). 승무의 전수 내용과 내적 논리. 대한무용학회 61. 25-42.
  • 김경숙(2009b). 승무의 정체성과 전통춤 교육의 재구성. 우리춤과 과학기술 10. 77-106.
  • 김경숙(2009c). 전통 승무의 정체성과 전통춤 교육의 재구성.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김동욱(1961). 한국가요의 연구. 서울: 을지문화사.
  • 김영미(2001). 무용교육. 서울: 금광.
  • 김종원(1992). 초기 근대 한국춤의 역사적 성격 연구. 서원대학교 미래창조연구원. 예술문화논총 1.
  • 김하자(2004). 키에르케고르와 교육.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 김학준(1997). 공자의 생애와 사상. 명문당.
  • 김혜숙(1992). 셸링의 예술철학. 자유출판사.
  • 김황기(2008). 미술적 지식의 구조와 양식에 대한 탐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2(2). 1-21.
  • 남상호(2004). 공자의 예술철학과 21세기 예술의 모색. 한국동서철학회. 동서철학연구 34. 117-146.
  • 목영해(2009). 현대교육사상. 문음사.
  • 문애령(1994). 비평적 관점에서 본 무용예술. 눈빛.
  • 문화재청(2006). 중요무형문화재 원형보존과 재창조 가이드라인.
  • 박준영(1995). John Dewey의 지성중심 교육철학. 경성대학교 출판부.
  • 소경희(2017). 교육과정의 이해. 교육과학사.
  • 송미숙,최태선(2006). 미적관점에서 본 살풀이춤과 즉흥무의 비교연구.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14(2). 229-254.
  • 서석남(2003). 프뢰벨 인간교육. SFM연구소출판부.
  • 성기숙(1995). 근대 전통춤의 아버지 한성준의 신화와 실화. 무용예술 9/10.
  • 신은경(1992). Margaret N. H’Doubler에 관한 고찰. 한국발레연구회.
  • 신창호(2005). 교육학개설. 서현사.
  • 심철민(2005). 셸링‘예술철학’에 나타난 예술 개념 분석: 자연, 역사, 예술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 이규환(1997). 한국교육의 비판적 이해. 서울: 한울 아카데미.
  • 이미영(2007). 한국춤 연구. 민속원.
  • 이미영(2013). 전통춤 공연현장에서 융복합예술 패러다임. 한국무용연구. 31(2). 195-211.
  • 이병옥(2004). 유파별 승무의 비교연구. 서울: 노리.
  • 이세기(2003). 명무 강선영 평전-여유와 금도의 춤. 푸른사상사.
  • 임태평(2008). 루소와 칸트 교육에 관하여. 교육과학사.
  • 주영흠(2001). 서양교육사상사. 서울: 양서원.
  • 정병호, 신찬균(1980). 호남승무.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44. 문화재관리국.
  • 채인후. 천병돈 역(2002). 자의 철학. 예문서원.
  • 최준식(2002). 한국인은 왜 틀을 거부하는가?. 소나무.
  • 문일지(1989). 벽사 한영숙 고희 기념집-춤을 지키는 마음. 한국무용아카데미.
  • 홍윤식(1980). 불교와 민속. 서울: 석경원.
  • 로날드 J. 맨하이머(2003). 키에르케고르의 교육이론. 교육과학사.
  • 안 소바냐르그(2009). 들뢰즈와 예술. 열화당.
  • Gille Deleuze, Felix Guattari, 김재인 역(1980). 천개의 고원. 새물결.
  • Mireille Budyens, 안구, 조현진 역(1990). 사하라: 들뢰즈의 미학. 산해.
  • John Dewey, 임한영, 오천석 역(1955).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 Margaret N. H’Doubler(1946). Movement and Its Rhythmic Structure. the University of Wisconsin.
  • Margaret N. H’Doubler, 성미숙 역(1994). 창조적 경험으로서의 춤. 서울: 현대미학사.
  • F. Bollnow(2006). 인간학적 교육학. 양서원.
  • Schelling, F. W. J, 한자경 역(1999).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 서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