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5, No. 4, pp.77-90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Oct 2018
Received 31 Aug 2018 Revised 12 Oct 2018 Accepted 21 Oct 2018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8.35.4.77

몸의 교육학으로서의 춤

김옥랑*
꼭두박물관
Dance as an Embodied Pedagogy
Kim, Ock-Rang*
Kokdu Museum

Correspondence to: * ockrang@ockrang.org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의 기본 관점은 춤이 몸의 교육학으로서 핵심적인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며, 내용은 세 가지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첫째는 무용학의 바깥에서 춤 및 몸을 움직여 아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내용으로서, 세 가지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둘째는 무용학에서 춤의 체화된 측면을 강조하는 보다 전문적인 논의를 다룬다. 이와 함께 이런 관점을 구체화하여 제시한 프로그램의 내용도 검토한다. 세 번째 부분은 몸의 교육학으로서의 춤이 구현되기 위해서 무용 교육의 측면에서 성찰할 필요가 있는 점을 하나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각 부분은 춤의 중요성에 대한 무용학 외부의 메시지, 이에 조응하며 살펴볼 수 있는 무용학 내부의 논의 그리고 몸의 교육학으로서의 춤이 무용 교육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때 검토해야 할 점을 설명하고 있다. 이 논문은 춤의 체화적(embodied) 측면 및 체화 교육에 기여하는 춤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 논문의 논의가 무용학 외부와 내부 그리고 무용 교육의 영역을 가로지르며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학제적(學際的) 연구에도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Abstract

This research claims the crucial importance of dance education based on the embodied pedagogy. To develop and discuss this claim, Firstly, it examines the three cases outside the dance studies. Secondly, three papers of the dance studies which emphasized the embodiment are discussed according to the values of educational programme. Three cases from cinema, political science and religious studies confirm the importance of dance education, while three papers of the dance studies shows the concrete programmes of embodiment in dance education. Thirdly, it shows that dance education so far is not enough in terms of the embodiment. This research which results from three combined areas (outside the dance studies, dance studies, and pedagogy) can be used as a fruitful example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Keywords:

Embodied Pedagogy, Dance Education, Self-Othering, Performance as an Event, Dynamic Embodiment

키워드:

몸의 교육학, 무용 교육, 자기-타자화, ‘사건’으로서의 퍼포먼스, 다이내믹 임바디먼트

References

  • 김윤수, 김경희(2016). 다이내믹 임바디먼트(Dynamic Embodiment)에 내재된 통합교육적 의미: Fluid Exercise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4(4).
  • 조기숙(2009). 춤의 새로운 비전을 위한 고찰: 몸의 체험을 기반으로 한 연구와 성찰을 위하여, 한국무용기록학회지, l7, 169-195.
  • 최승빈(2017). 수행적 전환을 통한 퍼포먼스의 감각적 지각 변화,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5(2).
  • 크로포드, 매튜 B. (2017). 손으로, 생각하기: 손과 몸을 쓰며 사는 삶이 주는 그 풍요로움에 대하여, 윤영호 옮김, 사이. (Matthew B. Crawford, Shop Class as Soulcraft: An Inquiry Into the Value of Work. Penguin Press, 2009.).
  • Burgess, Melvin (2005). Billy Elliot, Scholastic Ltd.
  • Gill, Sam (2007). Dancing Ritual, Ritual Dancing: Experiential Teaching, Teaching Ritual, Catherine Bell ed.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Gill, Sam (2012). Dancing Culture Religion, Plymouth, UK and New York: Lexington Books.
  • Kazan, Tina S. (2005). Dancing Bodies in the Classroom: Moving toward an Embodied Pedagogy, Pedagogy, Volume 5, Issue 3, Fall 2005, pp. 379-408. [https://doi.org/10.1215/15314200-5-3-379]
  • Stinson, S. W. (1999). What We Teach is Who We Are: Reflections on the Stories of Our Lives. Visual Arts Research, 25 (2), 69-78.
  • Stinson, S. W. ed. (2016). My Body/Myself: Lessons from Dance Education, Embodied Curriculum Theory and Research in Arts Education: A Dance Scholar’s Search for Meaning. New York: Springer. pp. 7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