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 무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정책 현황 및 인식 분석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으로 심각하게 대두된 저출산 현상에 문제의식을 갖고 기존의 임신출산 지원정책과 임산부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임산부 무용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기 위한 기초적 요구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정부의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과 서울시 저출산·고령사회정책 시행 계획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았다. 둘째, 서울시 소재 임산부 103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임산부 4명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임산부 무용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환경분석에서는 임산부들이 체감할 수 있는 임신출산 지원정책에 대한 불만족, 인터넷 자료에 의존된 임신 및 출산 정보에 한계가 드러났다. 임산부 무용프로그램에 관한 요구분석에서는 문화복지로서 정책적, 경제적 지원을 바탕으로 임산부의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여 물리적 접근성을 높이고, 임신 및 출산과정과 생태학적 체계를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청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noting the phenomenon of low-birth problem emerging seriously across the society, sought to grasp pregnancy/childbirth supporting policies of the government and Seoul City as well as perceptions of pregnant women. And it conducted basic demand analysis on dance programs that could be done as cultural welfare for pregnant women. As its methodology, the study firstly used, examined the precedent research of pregnancy/childbirth supporting policies and dance programs for pregnant women, major contents of 'Third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eing Society' currently operated by the government and 'Detailed Plans for Low Fertility and Ageing Society 2017' by Seoul City. Secondly, it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among 103 pregnant women living in Seoul along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pregnant women. As a result, the study found, in the aspect of environmental analysis fo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ance programs for pregnant women,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pregnancy/childbirth supporting policies, and limits of pregnancy/childbirth-related information mainly depending on internet materials. Besides, in the aspect of demand analysis, dance programs for pregnant women, as part of cultural welfare based on political and economic support, neede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better physical access of pregnant women reflecting their physical nature as well as their lifestyles and ecological system.
Keywords:
Pregnant women, Dance, Program, Pregnancy/childbirth supporting policies, Perception키워드:
임산부, 무용, 프로그램, 임신출산 지원정책, 인식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7S1A5B8058996)
이 논문은 서울특별시와 서울연구원이 주최한 「2017 서울연구논문 공모전」 응모 원고를 수정, 보완한 것임
References
- 경인지방통계청(2017). 최근 10년간 서울시 출생변화. http://stat.seoul.go.kr/jsp3/news.view.jsp?link=1&cd=005&srl=484/에서 2018.05.15. 인출.
- 공선희, 손승영, 안선덕(2008). 서울시 저출산정책 발전방안 연구. 2008-정책개발-020. 서울: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곽현아(2010). 소프롤로지식 분만법을 통한 임산부 발레 모형개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국가바우처통합카드 국민행복카드. www.voucher.go.kr/.
- 김민곤, 천지은(2016). 저출산 정책으로써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30(2), 163-190.
- 김선자, 김현정(2009). 서울시 저출산 대응정책의 과제와 발전방안.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김승권, 김유경, 김혜련, 박종서, 손창균, 최영준, 김연우, 이가은, 윤아름(2012a). 2012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연구보고서 2012-54.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승권, 박종서, 김유경, 김연우, 최영준, 손창균, 윤아름(2012b). 2012년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정책보고서 2012-88. 서울: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지연(2011). 동요를 통한 율동체조 태교프로그램 검증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대학원.
- 김채원(2017). 요추 과전만 신체변형이 있는 임신부의 근력강화와 바른 자세를 위한 발레 기본동작 수행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34(2), 153-165.
- 김한나(2010). 한국 춤사위를 활용한 태교프로그램이 임산부의 심신안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대한민국정부(2015).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11-1352000-001539-13. 서울: 대한민국정부.
- 대한민국정책정보지 weekly공감(2015.10.26.). 공감여성 정책. http://koreablog.korea.kr/778에서 2018.05.15. 인출.
- 도미향(2006). 저출산시대 가족복지정책의 현황과 과제–부모의 자녀양육기능 강화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1(1), 93-112.
- 보건복지부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http://woman.seoul.go.kr.
- 복지로 온라인신청. online.bokjiro.go.kr/.
- 서울특별시 여성보육청소년. http://www.childcare.go.kr.
- 서울특별시 육아종합지원센터. seoul.childcare.go.kr.
- 서울특별시, 서울시 교육청(2017). 2017년 저출산·고령사회정책 시행 계획. 서울: 서울특별시, 서울시 교육청.
- 서울특별시, 서울시 교육청(2018).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2018년 시행계획. 서울: 서울특별시, 서울시 교육청.
- 성은미(2010). 태교무용 참여에 따른 임산부의 분만 자신감 및 사회적 체형불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대학원.
- 아이돌봄서비스. www.idolbom.go.kr/.
- 여은진(2013). 임산부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태교프로그램 연구: 지역보건소 임산부 건강교육을 위하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예방접종도우미. ip.cdc.go.kr/.
- 유정인, 박은하(2011.5.11.). [복지국가를 말한다](1부)② 과부하 걸린 한국의 가족.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code=940702&artid=201105112139085에서 2018.05.15. 인출.
- 이삼식, 윤홍식, 박종서, 장보현, 최은영(2007). 출산ㆍ양육 분담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07-18-06, 협동연구 2007-02-6.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인구학회.
- 이재경, 조영미, 이은아, 유정미(2005). 저출산의 젠더분석과 정책대안 연구. 서울: 대통령자문고령화및미래사회위원회, 보건복지부.
- 조현미(2015.01.02.). 임산부 10명 중 4명 자리양보 못 받아. 아주경제 http://www.ajunews.com/view/20150102142508718에서 2018.05.15. 인출.
-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central.childcare.go.kr/.
-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 www.mothersafe.or.kr.
- 허혜란(2012). 발레 수행이 임신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홍준기, 김지섭(2018.09.29.). 출산 절벽, 예상보다 14년 빨라진다.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29/2018092900173.html에서 2018.10.15. 인출.
- 홍진수(2017.8.16.). 저출산·고령위 확대 개편···문재인 정부는 과연 ‘뾰족한 수’를 만들어 낼 수 있을까.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8160926001&code=940601#csidx37d3b90afa86797beeca27124c16644에서 2018.05.15. 인출.
-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Dick, W., & Carey, L. (1996).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4th ed). New York: Harper Collin.
-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The paradigm revolution. London: SAGE.
- Spradley, J. (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 Strauss, A. (1987).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