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5, No. 4, pp.1-14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Oct 2018
Received 30 Aug 2018 Revised 15 Oct 2018 Accepted 15 Oct 2018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8.35.4.1

계층화분석(AHP)기법을 활용한 제주해녀춤의 문화브랜드화 방안 연구

양진숙**
순천향대학교
A Study on the Cultural Branding Plan of the Dance of Jeju Haenyeo through AHP method
Yang, Jin-Sook**
Soonchunhya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jsyang0307@yahoo.com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해녀춤의 브랜드화를 위한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향후 제주해녀춤의 올바른 보전과 전승을 위한 문화브랜드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제주해녀춤 관련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Delphi)조사를 실시하여 제주해녀춤의 문화브랜드화 요인을 추출하였고, 계층화분석(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기법을 적용하여 각 요인별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AMOS 24 및 Expert Choice 11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해녀춤의 문화브랜드화 방안의 요인은 대분류 5가지(제주해녀춤의 가치인식 내용·가치인식 대상·제주해녀춤의 기초연구·제주해녀춤의 브랜드구축·제주해녀춤의 제도적개선)와 중분류 21가지(가치인식 내용 4개 요인, 가치인식 대상 4개 요인, 기초연구 4개 요인, 브랜드구축 4개 요인, 제도적 개선 5개 요인)로 구분되었다. 둘째, 제주해녀춤의 문화브랜드화 방안 대분류의 우선순위는 제주해녀춤의 브랜드구축이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은 1순위를 차지했으며, 제주해녀춤의 가치인식 내용, 해녀춤의 기초연구, 해녀춤의 가치인식 대상, 해녀춤의 제도적 개선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주해녀춤의 문화브랜드화 방안의 중분류의 우선순위는 새롭고 다양한 공연브랜드 개발, 여성공동체 문화, 전통문화, 살아있는 해녀문화, 해녀굿·노래를 통한 원형연구, 해외 벤치마킹, 조형물·로고 제작, 제주 각 지역별 해녀춤 DB 구축 등의 순으로 상대적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제주해녀춤은 무용전문인들만의 춤이 아닌 제주해녀를 포함한 제주여성의 춤으로 확대하여 제주를 대표하는 새로운 공연브랜드 개발에 주력을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iorities a cultural branding plan for safeguarding and transmitting the dance of Jeju haenyeo. For that purpose, this study adopted the Delphi method to find out the factors of a cultural branding plan of the dance of Jeju haenyeo, and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AHP) to elicit and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and the priorities. The data processing for this resaerch has been rooted in the SPSS 20.0, AMOS 24 and Expert Choice 11 program. The conclusions drawn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a cultural branding plan of the dance of Jeju haenyeo are classified into 5 high group(value recognition content of the dance of Jeju haenyeo, object, basic research, building brand, improving Rule) and 21 middle group. Second, the priority of high group for a cultural branding plan of the dance of Jeju haenyeo was followed by building a brand of the dance of Jeju haenyeo, value recognition content, basic research, object, improving rule of the dance of Jeju haenyeo. Third, the priority of subdivision of cultural branding plan of the dance of Jeju haenyeo was followed by development of new and various performance brands of the dance of Jeju haenyeo, famale community culture, traditional culture, living haenyeo culture, research of original form through ritual ceremony·song of Jeju haenyeo, overseas benchmarking, production of sculpture·logo, and establishment database of the dance of haenyeo in each region of Jeju.

Keywords: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AHP), the dance of Jeju haenyeo, cultural brand, Delphi

키워드:

AHP, 제주해녀춤, 문화브랜드, Delphi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양진숙의 박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References

  • 강우연(2007). 한국무용공연의 대중브랜드화를 위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영욱(2010). 문화원형을 통한 문화콘텐츠 개발 사례와 공연예술산업 발전 가능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 김은희, 안병주(2011). 제주해녀춤의 사회적 기능과 예술적 특성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43, 43-54.
  • 김지원(2013). 한국춤 문화원형 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김충한(2011). 한국춤의 세계적 문화브랜드화를 위한 성공요인과 발전방안.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민현주(2004). 한국 춤의 세계화 방향 및 과제. 한국체육철학회, 12(2), 455-473.
  • 백현순(2015). 지역춤 축제의 성공을 위한 문화정책적 과제. 한국무용연구학회, 15-18.
  • 손수지(2017). 커뮤니티 댄스 백제춤의 브랜드화와 활성화 방안.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안수민(2016). HCSI융합을 통한 제주도의 지속가능한 지역브랜드디자인.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이경미(2015). 융복합 공연예술 작품분석을 통한 한국춤 문화브랜드화 방안.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 이송(2007). 국립무용단 코리아환타지를 통해서 본 한국춤 브랜드화 연구. 한국무용연구회, 25(2), 107-135.
  • 임상우(2010). 공연예술의 국가브랜드 마케팅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이지연(2014). 문화콘텐츠로서 한국 현대춤의 가능성과 발전방안 탐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임영순, 맹해양, 배기형(2016). 전통공연예술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확보를 위한 전략적 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6, 88-99.
  • 원혜림(2010). 공연예술 성공사례 분석을 통한 현대무용의 문화상품화 개발전략연구.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정길만(2013). 국가브랜드제고를 위한 국립무용단 작품보전과 전승방안연구.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정송이(2008). 문화컨텐츠로서의 한국무용 발전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 조남규(2010). 한국공연예술시장의 현황과 전망. 한국무용기록학회, 18, 79-97.
  • 최일도, 신윤진, 조성윤(2012). 비인기 영역 공연예술 후원 광고와 브랜드에 대한 문화소비자의 태도 연구. 한국광보홍보학회, 95, 162-188.
  • Peggy, M(2000). A learning community with feminist values.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