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의 산업화 동향 및 무용산업의 발전방향 탐색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예술의 산업화 배경을 바탕으로 무용분야 산업화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무용산업의 발전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격적인 무용산업의 명명과 논의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기존에 논의된 예술의 산업적 발전 기본체계와 개념 분석을 통하여 무용산업의 동향을 파악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무용은 예술의 한 영역이라는 전제 하에 무용산업의 개념은 예술산업의 개념 및 분류방식을 토대로 재개념화할 수 있었다. 기존의 무용산업은 주로 공연예술을 기반으로 성장하였으며,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와 고령사회의 도래로 인해 테크놀로지 및 피트니스를 기반으로 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무용산업의 향후 무용분야 산업의 발전방향 및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체계적, 합리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과 추후 지속되어야 할 연구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developmental direction for dance industry to develop in the future after reviewing movements and trends of the industrialization in the field of dance. For the present when discussion on the dance industry is very lacking, the study analyzed trends via analysis of the existing basic systems and concept for industrial development of art and proposed how to develop the relevant industry. The concept of the dance industry was able to be reconceptualized by referring to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art industry. The existing dance industry has grown mainly based on the performing arts and is being extended building on technology and fitness along with the landing of recent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n ageing societ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dance industry and several methods to drive them in a systematic and reasonable way as well as research to be continued to this end.
Keywords:
dance industrialization, dance industry, art industry, performing arts, technology, fitness키워드:
무용의 산업화, 무용산업, 공연예술, 테크놀로지, 피트니스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한성대학교 교내연구비를 지원받았음
이 논문은 한국무용과학회의 제38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원고를 수정, 보완한 것임
References
- 김민정(2009). 한국무용의 문화산업적 재조명과 발전방안: ‘한(韓)스타일'에서의 한국무용 배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김시범(2018). 문화산업의 법률적 정의 및 개념 고찰. 인문콘텐츠, 48, 33-59..
- 김혜진(2005). 무용공연의 컴퓨터그래픽 (CG) 기술 도입과 디지털 (Digital) 형상화. 한국무용과학회지, 10, 15-27..
- 문화관광부(2004). 예술의 힘: 새로운 한국의 예술 정책, 미래를 창조합니다. 서울: 문화관광부..
- 박진아(2018). 4차 산업혁명 시대 융복합 무용예술의 발전가능성 탐구-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무용예술학연구, 68, 37-52..
- 백현순(2016). 한국춤의 미래와 전망. 한국무용연구, 34(2), 55-70..
- 손준현(2016.10.27.). ‘춤이 말하다’ 3년 총정리. 한겨례 http://www.hani.co.kr/arti/culture/music/767623.html#csidx8655b38de1b824da7aa442c266a2988, 2018.05.19. 검색..
- 신상미(2017). 무용과 인공지능 융합예술 연구. 한국예술연구, 16, 53-75..
- 예술경영지원센터(2007). 예술의 산업적 발전 방안 연구. 서울: 예술경영지원센터..
- 예술경영지원센터(2016). 예술산업 미래전략 연구보고서. 서울: 예술경영지원센터..
- 예술경영지원센터. http://www.gokams.or.kr/, 2018.05.19. 검색..
- 이영주(2010). 창조산업(creative industry)과 예술교육. 한국예술연구, 2, 45-72..
- 전현주, 신현욱(2013). 게임콘텐츠로서 무용의 활용방안 연- 게임전문가를 통한 댄스게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과학회지, 30(2), 35-47..
- 조선하(2005). 무용 공연예술산업 활성화를 위한 관객유입 전략.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대학원..
- 트렌드모니터(2014). 외모 및 건강관리 관련 트렌드 평가. http://www.trendmonitor.co.kr/tmweb/allTrend/detail.do?bIdx=1234&code=0502&trendType=CKOREA. 2018.05.19. 검색..
-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6). 예술의 산업적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한국콘텐츠진흥원(2018). 2018년 콘텐츠산업 전망-2017년 결산 및 2018년 이슈 분석. 서울: 한국콘텐츠진흥원..
- 한국표준산업분류(2018). https://kssc.kostat.go.kr:8443/ksscNew_web/index.jsp#, 2018.05.19. 검색..
- Aldrich, Virgil C., 오병남 역(2004). 예술철학. 서울: 서광사..
- BC카드 빅데이터센터(2017). 카드 및 소셜 빅데이터로 살펴본 공연 트렌드 분석. 서울: BC카드 빅데이터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