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5, No. 3, pp.1-11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l 2018
Received 31 May 2018 Revised 01 Jun 2018 Accepted 07 Jul 2018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8.35.3.1

웨이트트레이닝 분할훈련법이 현대무용 전공자의 하지 등속성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명수 ; 김성희 ; 민병남 ; 김재훈 ; 방현석*
포항공과대학교
*동명대학교
The Effect of Weekly Short Duration Exercise in Weight Training on Isokinitic Muscular Function in Modern Dancers
Kim, Myung-Soo ; Kim, Sung-Hee ; Min, Byung-Nam ; Kim, Jae-Hoon ; Bang, Hyun-Seok*
POSTECH
*Tongmyo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banghs@tu.ac.kr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현대무용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웨이트트레이닝의 분할훈련법을 적용하여, 각 집단의 근 기능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서 현대무용수에게 적합한 웨이트트레이닝운동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8명의 여성 현대무용수로서, 1분할집단, 2분할집단, 3분할집단, 대조집단으로 각각 7명씩 4집단으로 구분하여 12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도는 α=.05 로 하였다. 연구결과 운동전 후의 비교에서 분할법을 실시한 세 집단 모두 무릎관절, 허리관절, 발목관절의 신·굴근에서 운동 후 최대우력과 근지구력에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집단 간 비교에서 최대우력의 무릎관절 신·굴근은 웨이트트레이닝을 실시한 집단이 대조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허리관절 신·굴근은 1분할집단이 2분할과 3분할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2분할과 3분할집단은 대조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발목관절의 신·굴근은 1분할 집단이 2분할과 3분할집단 및 대조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근지구력의 집단 간 비교에서 무릎관절의 신·굴근 모두 운동집단이 대조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허리관절과 발목관절의 신·굴근 모두 1분할집단이이 2분할과 3분할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2분할과 3분할집단은 대조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현대무용수에게 중요한 근·관절 부위인 허리관절과 발목관절의 효과적인 근 기능 증가를 위해서는 1주간 정해진 운동량을 2회나 3회로 분할하여 실시하는 방법보다 1분할 형태의 훈련법이 보다 효과적인 젓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uitable weight training methods for modern dancers by observing the change of Muscular Function applying weekly short duration exercise in weight training. 28 modern dancers were divided into 4 groups; 7 in 1st group, 7 in 2st group, 7 in 3st group and 7 in control group and did weight training for 12 weeks. ANCOVA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significance level was shown α=.05. Peak torque on extensor·flexor of knee joi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with weight training done than control group. Peak torque on extensor·flexor of trunk joint was higher in 1st group than 2st group and 3st group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2st group and 3st group than control group. Peak torque on extensor·flexor of ankle joi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1st group than 2st group, 3st group, and control group.

Muscular Endurance on extensor·flexor of knee joi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with weight training done than control group. Muscular Endurance on extensor·flexor of trunk joint and ankle joint was higher in 1st group than 2st group and 3st group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2st group and 3st group than control group. When all the results were combined, training method in which scheduled weekly exercise is exhausted at once is effective for muscle function increases on trunk joint and ankle joint which is important muscle·joint part of Modern dancers.

Keywords: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weekly short duration exercise, weight training, modern dance

키워드:

등속성 근 기능, 분할법, 웨이트트레이닝, 현대무용

References

  • 김명수, 김성희, 방현석(2015). 저항운동 시 분할훈련법이 비만남자대학생의 근육동화호르몬과 아디포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4(6), 1289-1302..
  • 노현식 (2016). 발레무용수의 저항운동 방법의 차이가 하지관절 등속성 근기능 및 호흡 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3(4), 163-174..
  • 노현식(2018). 저항운동시 반복속도의 차이가 숙련된 한국무용수의 하지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5(1), 63~73..
  • 배숙진,황우원(2003). 비만청소년의 웨이트트레이닝 시 세트 간 휴식시간 차이에 따른 근력과 심폐기능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 14(2), 627-635..
  • 성동훈, 박영호, 김상수(2013). 웨이트트레이닝 강도유형에 따른 최대반복횟수가 근기능, 근횡단면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2(4), 1185-1195..
  • 손영진(2011). 웨이트 트레이닝 방법의 차이 및 Detraining이 신체 조성, 성장호르몬, Testosterone, Adiponectin, Cortisol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대학원..
  • 손희정, 강지훈(2011). 12주간 저항성 운동트레이닝 시 세트 간 휴식시간의 차이가 여성노인의 기능적 체력 및 혈중지질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1), 947-955..
  • 신말연(2016). 여성 무용전공자들의 영양지식 인지, 식습관, 신체조성 및 건강관련 체력과의 상관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33(1), 107-116..
  • 오경모 (2012). 현대무용전공자의 웨이트트레이닝 방법의 차이가 하지관절의 등속성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8, 111-125..
  • 유정재(2006). 8주간의 등속성 트레이닝이 현대무용전공자들의 근력 및 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무용예술학연구, 17, 145-160..
  • 윤재군, 김창근(2014). 12주간의 고강도 저항성 운동훈련이 건강한 남성의 혈중 Irisin 농도 및 근기능에 미치는 효과. 운동과학회지, 23(4), 357-364..
  • 이경모(2016). 트레이닝 세트방법의 차이와 Detraining이 신체조성, GH, IGF-1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 임유은(2014). 무용전공에 따른 요부형태와 요부근력비교.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 조영희(2002). 무용수의 하지 근력이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4, 23-33..
  • 하철수, 김봉경(2001). 무용전공 여자대학생들과 일반 여자대학생들의 발 형태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10(2), 555-564..
  • 한혜정, 백영일, 서상훈, 진화은, 우진희(2006). 전공별 무용수 하지관절의 등속성 근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5(6), 515-524..
  • 황규자(1992). 발레 무용수의 발목부상과 치료법에 관한연구. 용인대학교 체육과학연구논총, 2(1), 83-95..
  • 황병연, 박기자(2003). 현대무용 Back-Hop 동작의 운동 역학적 특성 분석. 한국 스포츠 리서치, 20(1), 2095-2108..
  • DeLateur B. J., Lehmann, J. F., Warren C. G., & Stonebridge, J. B.(1968). Heating of joint structures by ultrasound.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49(1), 28-30..
  • Frontera, W. R., Meredith, C. N., O'Reilly, K. P., Knuttgen, H. G., & Evans, W. J.(1988). Strength conditioning in older men: skeletal muscle hypertrophy and improved functio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64(3), 1038-1044.. [https://doi.org/10.1152/jappl.1988.64.3.1038]
  • Gottschlich, L. M., Young, C. C.(2011). Spine injuries in dancers. Current sports medicine reports. 10(1), 40-44.. [https://doi.org/10.1249/JSR.0b013e318205e08b]
  • Hagan, F. T., Sale, D. G., MacDougall, J. D., & Garner, S. H. (1995). Response to resistance training in young women and men. Int. J. Sports Med, 16(5), 314-321.. [https://doi.org/10.1055/s-2007-973012]
  • Kelly(1994). Injury in Ballet : A review of relevant topic for the physical therapist. Journal of Orthop Sports Physical Therapy. 19(2), 121-139..
  • Wilson M, Dai B, Zhu Q, Humphrey N.(2015). Trunk Muscle Activation and Estimating Spinal Compressive Force in Rope and Harness Vertical Dance. Journal of dance medicine & science, 19(4), 163-172.. [https://doi.org/10.12678/1089-313X.19.4.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