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5, No. 1, pp.75-93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18
Received 28 Nov 2017 Revised 19 Dec 2017 Accepted 12 Jan 2018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8.35.1.75

초등학교 미적경험 무용 감상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적 효과

문선화 ; 이한주*
연세대학교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for aesthetic experience dance appreciation at elementary schools and its educational effects
Moon, sun hwa ; Lee, han Joo*
Yonsei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hlee@yonsei.ac.kr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미적경험 무용 감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후 교육적 효과(지적, 정서적, 실천적 영역)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 절차는 ADDIE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Seels & Richey, 1994)을 적용하였다. 무용 감상 교육프로그램은 2009개정 초등학교 3학년 체육 표현활동 단원을 기반하여 총 7차시 구조로 개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동작구 S초등학교 방과 후 연계 돌봄 3학년 학생 18명으로 실험군과(9명/미적경험 무용 감상 교육프로그램 적용) 대조군(9명/무용만 감상)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실행은 4주간, 주 2회 수, 금 40분씩 총 7차시 진행하였다. 각 집단의 평가는 1차시와 7차시 수업 촬영 동영상을 통해 설연경(2012)의 루브릭을 활용하여 평가자 4명이 18명에 대해 평가한 자료를 활용하여 총 72case로 진행하였다. 평가 분석은 첫째, 평가 자료의 타당성을 위해 사전에 급내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로 평가자들 간의 신뢰도를 파악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실행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진행하였다. 셋째, 실험군의 프로그램 전·후 교육적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대응표본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프로그램 실행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지적 영역, 정서적 영역, 실천적 영역의 교육적 효과성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 진행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설연경(2012)의 루브릭를 근거한 반 구조화된 형식으로 1:1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지적 영역(이해하기, 추리하기, 분류하기, 관련짓기, 창조하기, 표현하기), 정서적 영역(감성의 활성화, 공감하기, 흥미 찾기), 실천적 영역(적용하기, 소통하기, 성찰하기) 모든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났다(p<.001). 즉 미적경험 무용 감상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이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지적 영역, 정서적 영역, 실천적 영역이 유의하게 높아 미적경험 무용 감상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가 검증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esthetic experience dance appreci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s, after which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the intellectual, emotional and practice fields) will be verified. For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model, the ADDIE duc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Seels & Richey, 1994) was applied. The aesthetic experience dance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was based on the expressive activities chapter in the text book revised in 2009 for third year elementary students. A total of seven sessions were developed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 (in the intellectual, emotional and practice fields). Study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18 third year students (with nine students who undertook the aesthetic experience dance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as the experiment group and nin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who only watched dance) at S elementary school in Dongjak-Gu, Seoul who were in the synchronized care-taking program.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four weeks from July 26 to August 18, 2017 twice a week on Wednesdays and Fridays, for seven sessions with 40 minutes per session. Evaluation of the two groups was done using the rubric of Yeongyeong Seol (2012) for the classes that were recorded during the first session and the seventh session. Using the data that four assessors compiled from the 18 students, a total of 72 cases were evaluated. The evaluation analysis was done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using SPSS 24.0. First, to secure the validity of data on aesthetic experience, Intraclass Correlation (ICC) coefficient was used before the analysis to identify the confidence level among assessors. Second, before conducting the program,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rd, to compare the educational effects in the intellectual, emotional and practice field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 group,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used for analysis. Fourth,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educational effects in the intellectual, emotional and practice area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analysis shows that in intellectual areas (understanding, guessing, classifying, associating, creating and expressing), emotional areas (activation of the emotions, empathizing, taking interest) and practice areas (applying, communicating and reviewing),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In other words, the experiment group that undertook the aesthetic experience dance appreciation program ha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all three areas, verify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aesthetic experience.

Keywords:

Aesthetic experience, elementary school, dance appreciation

키워드:

미적경험, 초등학교, 무용 감상

참고문헌

  • 김경진(2015). 과제의 복합성 정도와 부분과제 계열화 방법이 정신모형과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 학습과학연구, 9(3), 83-105.
  • 김애령(2013). 문화예술 평생교육의 실천적 교수모형에 관한 소고. 교육학논총, 34(2), 25-47.
  • 교육부(2013).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3~4학년군 교과용도서 연수교재.
  • 교육부(2014).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5~6학년군 교과용도서 연수교재.
  • 교육인적자원부(2007).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체육, 6) (주):교육인적자원부.
  • 김영천(2007). 현장교사를 위한 교육평가. 서울: 문음사.
  • 김영환(1994). 과제분석과 계열화를 위한 단순화 조건법. 교육공학연구, 9(1), 43-59.
  • 범선화, 채정현(2007). 중학교 가정교과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실험, 실습법 적용. 한국가정과학교육학회, 20(3), 85-105.
  • 박재홍(2011). 무용교육 평가의 정위. 한국무용과학회지, 23, 1-12.
  • 송미숙,이우규(2010). 초등학교 표현활동 수업의 실태분석. 우리춤과 과학기술, 13, 321-348.
  • 설연경(2012). 문화예술기반교육에서 미적경험이 주는 교육적 효과분석.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대학원. 서울.
  • 설연경(2014).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 개발 사례에서 미적경험이 주는 교육적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2), 517-526.
  • 서예원(2005). 초등학교 무용감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6(1), 80-100.
  • 서인혜, 공계순(2003). 프로그램 개발의 창의적 유형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회, 22, 107-137.
  • 이강순(2013). ICT를 활용한 초등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8(2), 77-89.
  • 오은영(2002).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무용 감상 단원 코스웨어 설계 및 구현: 백조의 호수를 중심으로. 한국무용기록회, 2, 65-87.
  • 이창훈(2008). ADDIE모형에 터한 창의 공학 설계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적용방안. 한국기술교육학회지, 8(1), 131-146.
  • 장신영(2004). 초등학교 무용 감상교육 현황 조사와 프로그램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부산.
  • 정희자(2007). 아동 무용공연 감상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8(1), 1-27.
  • 최경희(2011). 교육대학 예비교사들의 무용지도력 향상에 관한 인시 및 요구. 무용교육학회지, 22(1), 33-51.
  • 최재원(2008). 유아 춤 감상교육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학회지, 12(2), 101-125.
  • 최현주(2009). 미학적 접근을 통한 무용 감상교육에 관한 연구. 움직임의 철학, 17(2), 339-354.
  • 황규자, 황정은(2007).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현황: 무용 교과는 정당한 대우를 받고 있는가? 제45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 황명자, 송헤순(2015). 초등학교 표현활동 영역에서 미적체험교육의 가능성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19(2), 323-340.
  • 황인주(2016). 무용 교육 구성 영역의 미학적 개념에 관한 연구. 우리 춤 연구회, 35, 33-51.
  • 한진영(2003). 기술과 교육 평가에서 학습자 중심 루브릭이 학습과정 및 학업 성추l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서울대대학교대학원.
  • Brasksam. L. A.(1984). Evaluating teaching effectiveness. London: Sage Publication.
  • Lincoln Center(2007). Aesthetic education, inquiry, and the imagination, Lincoln center for the art in education, 1-10.
  • Lowenfeld, V., Brittain, L. W.(1993). 어린이와 청소년의 발달단계를 중심으로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서울: 미진사.
  • Maxine Greene(2001). Variation on a Blue Guitar: The Lincoln Center Institute Lectures on Aesthetic Education. New York: TC Pres.
  • Reigeluth. C. M.(1983).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NJ:Lawrence Erlbaum Associates.
  • Thomas, E.(1978). Generating innovation in Social work: The paradigm of development research.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2(1), 95-115. [https://doi.org/10.1300/J079v02n01_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