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5, No. 1, pp.63-73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18
Received 30 Nov 2017 Revised 19 Dec 2017 Accepted 12 Jan 2018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8.35.1.63

저항운동시 반복속도의 차이가 숙련된 한국무용수의 하지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노현식*
창원시립예술단
Effects of repetition speed difference on lower muscle function in Korean dancers during resistance exercise
Roh, Hyun-Sik*
Changwon Performing Art Group

Correspondence to: * midi38@naver.com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수를 대상으로 반복속도에 차이를 두고 저항운동을 실시하여, 슬관절과 족관절의 근력, 근 지구력 및 근력비율을 분석하여 한국무용수들의 하지 근 기능 강화에 적합한 운동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무용수 23명을 대상으로 빠른 속도 집단(n=8), 중간 속도 집단(n=8), 느린 속도 집단(n=7)명으로 구분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8주 동안 슬관절 및 족관절 부위에 각 운동 종목마다 2set씩 주 4회 실시하였으며, 반복 동작의 속도는 빠른 속도 집단은 positive (0.5sec/once), negative (1sec/once), 중간속도 집단은 positive (2sec/once), negative (2sec/once), 느린 속도 집단은 positive (4sec/once), negative (4sec/once)의 속도로 운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반복속도별 최대우력과 근지구력의 변화는 세 집단 모두 슬관절과 족관절의 신·굴근에서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동측근력 비율의 변화에서는 중간 속도 집단의 슬관절과 느린 속도 집단의 슬관절과 족관절에서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최대우력에 대한 공변량 분석 결과 슬관절과 족관절의 신근과 굴근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느린 속도 집단이 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근지구력에 대한 공변량 분석 결과는 슬관절과 족관절의 신근과 굴근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슬관절의 신·굴근 모두에서 느린 속도 집단이 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족관절에서는 느린 속도 집단이 빠른 속도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동측근력비율에 대한 공변량 분석 결과 슬관절과 족관절의 신근과 굴근 모두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슬관절의 신·굴근 모두에서 느린 속도 집단이 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족관절에서는 느린 속도 집단이 빠른 속도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토대로, 한국 무용수에서 느린 속도의 저항운동이 족관절과 슬관절의 최대 우력과 근지구력을 높임으로써, 무용 동작 수행 시 상해로부터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운동방법을 제시될 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petition speed difference on lower muscle function in Korean dancers during resistance exercise. Twenty three Korean dancers were randomly divided in to three groups: fast speed group (FSG, n=8), middle speed group (MSG, n=8), slow speed group (SSG, n=7). The resistance exercise performed FSG (positive, 0.5sec/once), negative; 1sec/once), MSG (positive, 2sec/once; negative, 2sec/once), SSG (positive, 4sec/once; negative, 4sec/ once), 4 times per weeks for 8 weeks. After 8 weeks, flexion and extension of knee and ankle joint had a significantly increase in peak toque and endurance muscular strength of the all groups.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ratio had a significantly increase in knee joint of MSG and knee joint and ankle joint of SSG. Peak toque had a significant higher in SSG than FSG and MSG. Endurance muscular strength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 flexion and extension of SSG than FSG and MSG. In addition, endurance muscular of ankle joint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 SSG than FSG.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ratio had a significantly higher flexion and extension of knee joint in SSG than FSG and MSG.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low speed resistance exercise improves on peak toque and endurance muscular strength in Korean dancers.

Keywords:

Korean dance, resistance exercise, repetition speed, lower muscle

키워드:

한국무용, 저항운동, 반복 속도, 하지근육

참고문헌

  • 강근영 (2016). 서키트 웨이트 트레이닝이 카누선수의 등속성 근력, 심폐기능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5(3), 601-612.
  • 김수경, 최성이 (2002). 발레전공자와 한국무용전공자의 발목관절 상해 유형에 관한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7(1), 11-22.
  • 김정희 (2003). 발레와 한국무용전공자의 슬관절 등속성 근력비교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노은초, 박인자 (2015). 크로스핏 트레이닝이 무용전공자의 신체조성, 기초 체력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2(1), 135-150.
  • 노현식 (2016). 발레무용수의 저항운동 방법의 차이가 하지관절 등속성 근기능 및 호흡 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3(4), 163-174.
  • 정경원, 김수미, 이수현 (2017). 한국무용 상해유발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34(4), 73-84.
  • 신말연 (2016). 여성 무용전공자들의 영양지식 인지, 식습관, 신체조성 및 건강관련 체력과의 상관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33(1), 107-116.
  • 이계윤 (2002). 운동선수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 대처기술에 따른 운동 상해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3(3), 141-155.
  • 문성훈, 권봉안 (2017). 성인남성의 저항성 운동프로그램에 따른 슬관절 근기능 비교연구. 스포츠사이언스. 34(2), 141-153.
  • 방현석, 이삼준, 정용민 (2008). 웨이트 트레이닝 동작 속도가 슬관절 및 요부관절 등속성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4(2), 1181-1192.
  • 손영진 (2017). 웨이트트레이닝 시 set간 휴식시간의 차이가 여성고령자의 인슐린저항성, 염증지표 및 비만관련 호르몬에 미치는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5(1), 437-448.
  • 송상협, 이용수, 한아름, 김시영 (2012). 저항운동의 운동 강도별 세트 간 휴식시간 차이가 근수축력, 반복횟수 및 총운동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1(5), 639-647.
  • 오경모 (2012). 현대무용전공자의 웨이트트레이닝 방법의 차이가 하지관절의 등속성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8(0), 111-125.
  • 윤완영 (2013). 발레 무용수와 일반여대생의 Q-angle 분석을 통한 생해 예방 제안. 한국무용과학회지. 3(2), 103-113.
  • 이우중, 서상원, 이호성 (2017). 저강도 저항운동의 속도 차이가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근활성도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6(4), 575-584.
  • 이향범 (2017). 복합 트레이닝이 무용수의 심폐기능과 혈중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연구. 35(2), 125~142.
  • 진정권, 이대택, 이명천 (2006). 운동과 젖산순환. 스포츠건강의학 학술지지. 8(2), 85-92.
  • 함정선 (2002). 무용전공별 등속성 대퇴 근력비와 근지구력 비교 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4(0). 33-44.
  • Bachagol D., Joseph G. S., Ellur G., Patel K., Aruna P., Mittal M., China S. P., Singh R. P., & Sharan K. (2017). Stimulation of liver IGF-1 expression promotes peak bone mass achievement in growing rats: a study with pomegranate seed oil. Journal of Nutrition Biochemisty. doi: 10.1016/j.jnutbio.2017.09.023. [Epub ahead of print]. [https://doi.org/10.1016/j.jnutbio.2017.09.023]
  • Barrata, R., Solomonow, & M., Zhou, B. (1988). The role of antagonistic musculature in maintain knee stability.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16, 170-180. [https://doi.org/10.1177/036354658801600205]
  • Bottaro, M., Machado, S. N., Nogueira, W., Scales, R., & Veloso, J. (2007). Effect of high versus low-velocity resistance training on muscular fitness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older men.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99(3), 257-264. [https://doi.org/10.1007/s00421-006-0343-1]
  • Burkett, R.G. & Van Swearingen, J. (1987). Reliability of isokinetic muscle endurance tests.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8(10), 484-488. [https://doi.org/10.2519/jospt.1987.8.10.484]
  • Egan, A. D., Winchester, J. B., Foster, C., & McGuigan, M. R. (2006). Using session RPE to monitor different methods of resistance exercise. Journal of Sports Science Medicine, 5(2), 289-295.
  • Golomer E., & Fery YA. (2001). Unilateral jump behavior in young professional female ballet dancers.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science. 110(2), 1-7. [https://doi.org/10.3109/00207450108994217]
  • Lee S. H., Kim B. J., Park D. R., & Kim U. H. (2017). Exercise induces muscle fiber type switching via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melastatin 2 (TRPM2)-dependent Ca2+ signaling.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985). doi: 10.1152/japplphysiol.00687.2017. [Epub ahead of print]. [https://doi.org/10.1152/japplphysiol.00687.2017]
  • Paddon-Jones, D., M. Leveritt, A. Lonergan, & P. Abernethy. (2001) Adaptation to chronic eccentric exercise in humans: the influence of contraction velocity.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85(5), 466–471. [https://doi.org/10.1007/s004210100467]
  • Sakamoto, A, & Sinclair, P. J. (2006). Effect of movement veloc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load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bench press. Journal of Strength Conditional Research, 20(3), 523-527.
  • Sousa A. C., Marinho D. A., Gil M. H., Izquierdo M., Rodríguez-Rosell D., Neiva H. P., & Marques M. C. 2017. Concurrent training followed by detraining: does the resistance training intensity matter? Journal of Strength Conditional Research. 2017. Sep 6. doi: 10.1519/JSC.0000000000002237. [https://doi.org/10.1519/JSC.0000000000002237]
  • Westcott, W. L,, Winett, R. A,, Anderson, E. S,, Wojcik, J. R., Loud, R. L,, Cleggett, E,, & Glover, S. (2001). Effects of regular and slow speed resistance training on muscle strength. Journal of Sports Medicine Physical Fitness. 41(2), 154-158.
  • Śliwowski R, Jadczak Ł, Hejna R, & Wieczorek A. (2015).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resistance strength programs on knee muscular imbalances in junior elite soccer players. PLOS ONE, 10(12), e0144021.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44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