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영재 지도자의 전문성 탐색 및 척도 개발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무용영재 지도자란 무엇이며, 무용영재 지도자는 어떤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지, 그리고 그 능력들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탐색하여 무용영재 지도자의 전문성을 객관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한다. 이에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2가지 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우선 첫 번째 연구방법은 무용영재 지도자의 전문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무용영재 교육 및 지도자의 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을 고찰하고 무용영재 지도자의 전문성에 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영재 지도자에 관한 5개의 개방형 설문문항을 개발하고, 무용영재 지도자 및 전문가 62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방형 설문을 통해 도출된 요인은 「인지적 측면, 교육적 측면, 정서적 측면」의 3가지 구성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인지적측면」요인은 ‘무용영재 교육, 무용영재 특성, 해부학적 특징‘의 하위요인으로 도출되었고, 「교육적 측면」은 ’교육의 독창성, 표현의 독창성, 새로운 시각‘으로 마지막으로 「정서적 측면」은 ‘배려심, 성취감’의 하위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두 번째 연구방법은 무용영재 지도자의 전문성을 객관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개방형 설문에서 도출된 원자료를 바탕으로 52개의 문항을 제작하였다. 1차 설문조사 대상자는 무용영재 지도자 및 전문가, 전문무용수 200명으로 설정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나온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그리고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3요인(인지적 측면, 교육적 측면, 정서적 측면)과 13개의 문항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모형(3개의 구성요인과 13개의 문항)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1차 설문조사 대상과는 다른 대상자 150명을 선정하여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적합도 지수가 기준치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용영재지도자의 전문성 평가도구는 3요인(인지적 측면, 교육적 측면, 정서적 측면)과 13개의 문항으로 최종 채택하였다.
Abstract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pproach was taken to illuminate the constructs of professionalism of the leaders of dance gifted children followed by developing a test which can aptly measure the leaders of dance gifted children. For the professionalism of the leaders of dance gifted hildren constructs, a 5-item un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62 professionalism of dance gifted children. Data was subjected to a qualitative analysis, rendering 3 conceptual factors; perceptual aspect, educational aspect, emotional aspect.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3 factors of leaders of dance gifted children were operationally defined and 52 test items were initially developed accordingly. The preliminary test data obtained from 200 dance specialist and university students was analyzed, using item analysis and a series of reliability analyses.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construct validity, three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52 items, resulting in 13 items of 3 factor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ducted for 150 dance specialist and dance majors to test the goodness-of-fit of 3 factor model revealed a satisfactory level.
Keywords:
Dance, Gifted in Dance, leaders of dance gifted children, Exploring Professioalism of dance giftedness leader, Developing scale of dance giftedness leader키워드:
무용, 무용영재, 무용영재 지도자, 무용영재 지도자의 전문성 구성요인 탐색, 평가도구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5S1A5B5A07042002)
참고문헌
- 곽영순(2006). 과학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지원방안 및 수석교사 제도에 대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13(1), 47-61.
- 김기웅, 오레지나, 문영, 김윤진, 안문경(2004). 무용영재판별도구 개발연구Ⅰ. 미간행.
- 김남희(2003). 정보과학 영재 교사 양성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은미(2009). 미술영재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분석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태련, 김정휘, 조석희(2004). 영재교육 : 심리학과 교육학에서의 조망.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김홍원, 조석희, 이윤식, 박주상(2000). 영재교육 담당 교원 양성 및 임용 방안 연구. 수탁연구 CR 2000-1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김혜숙(2003). 교원 전문성과 질의 개념 및 개선전략 탐색. 교육학연구, 41(2), 93-114.
- 박은경(2012). 음악영재선발의 관찰추천제도에 대한 교사인식과 개선방안연구 : 서울시 교육청 시행 제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현정(2009). 무용정서표현성 구인 탐색 및 측정도구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유경(2009). 과학 영재 담당 교사를 위한 자기 평가 도구의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소경희(2003).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 방향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과정연구, 21(4), 77-96.
- 신은해(2012). 초등수학 영재 학급 지도교사의 요건에 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레지나, 문영, 김윤진, 안문경, 김기웅 (2005). 무용영재성의 요인탐색. 한국체육학회지, 44(4), 745-752.
- 유미림(2002). 각국 영재교육의 비교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윤미라, 강충열(2009). 초등학교 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실행 수준 분석. 초등교육학회지, 16(2), 103-122.
- 이진효(2010). 무용영재성 평가범주 개발.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연구보고서.
- 이진효(2011). 자녀의 무용재능 탐지도구 개발.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연구보고서.
- 이진효(2012). 무용영재성 자기진단 도구 개발.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연구보고서.
- 이진희(2011). 무용인식 조사척도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진효, 이진희, 박현정(2011). 무용영재성 구성요인에 관한 경험적 탐색. 한국무용기록학회, 23, 83-100.
- 이현주(2011). 개념도 연구법을 이용한 바람직한 초등학교 영재교사의 자질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해명(2006). 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 장영숙, 강경석(1999).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 향상 및 전문성 개발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9(2), 1-22.
- 정현철(2007). 영재교육자료(중등-수학-고급). 한국교육개발원.
- 조은숙(2003). 발레 영재 판별에 관한 기초연구. 미간행. 한국 교육개발원.
- 조주현(2007). 발레 영재성 구성요인의 탐색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07, 18(1), 15-31.
- Davis, G. A. & Rimm, S, B.(2001). Education of the Gifted & Talented(5th ed).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공역). 영재교육.서울, 박학사.
- Nelson, J. B., & Cleland, D, L.(1975). The role of the teacher of gifted and creative children, In Barbe, W. B., & Renzulli, J.S. (ed.), Psychology and Education of the gifted(439-448). NY: Irington Publishers, Inc.
- Porter, A. C., & Smithson, J. L. (2001). Defining, developing, and using curriculum indicators: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Report # RR-048), University of Pennsylvania.
- Renzulli, S. (1968). Identifying key features in programs for the gifted. Exceptional Children, 35, 217~221.
- Renzulli. J. S.(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of defintion. Phi Delta Kappen. November 1978, 60, 180-184, 261.
- Whitlock, M.S., & DuCette, J. P.(1989). Outstanding and average teachers of the gifted A comparative study. Gifted Child Quarterly, 33(1), 15~21. [https://doi.org/10.1177/00169862890330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