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영재성 자기진단 도구 개발
초록
본 연구는 무용영재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무용영재성의 구성요인을 탐색하여 자신의 무용재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판별할 수 있는 자기진단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2가지 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우선 첫 번째 연구방법은 무용영재성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무용영재성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을 고찰하고 무용영재성의 구성요인 및 판별방법에 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영재성에 관한 5개의 개방형 설문문항을 개발하고, 무용재능이 뛰어난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 응답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심층면담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방형 설문을 통해 도출된 요인은 4가지 구성요인(신체조건, 동작수행능력, 표현 및 창의성, 무용성향)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방법은 자신의 무용영재성을 스스로 평가하고 판별할 수 있는 자기진단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개방형 설문 및 심층면담에서 도출된 원자료를 바탕으로 문항을 제작하였다. 자신의 무용영재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적합한 문항은 총 109개의 문항으로 제작하였고, 무용재능이 뛰어난 무용전공 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나온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그리고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4요인(신체조건, 동작수행능력, 표현 및 창의성, 무용성향)과 36개의 문항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모형(4개의 구성요인과 36개의 문항)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1차 설문조사 대상과는 다른 무용전공학생 20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적합도 지수가 기준치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용영재성 자기진단 도구는 4요인에 대한 36개의 문항으로 최종 채택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ssessment tools which can observe children’s dance talent. The first step, 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to 100 dance major students. The analysis of survey responses derived the 4 constructing factors (physique state, expressiveness and movement ability, creativity, physical strength). The second step, the basic survey with 250 questions was carried out to 200 dance major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es) 36 questions according to the 4 constructing factors was derived. The third step, the survey was conducted to 150 parents in order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36 questions in accordance with 4 factor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36 questions in accordance with 4 factors were appropriate.
Keywords:
Dance, Gifted in Dance, physique state, expressiveness and creativity, movement ability, physical strength, Self-Evaluation, constructing factor, Children for Self-Evaluation tools키워드:
무용, 무용영재, 신체조건, 동작수행능력, 표현 및 창의성, 무용성향, 구성요인, 자기진단평가도구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 기금(2012) 지원에 의해 연구된 ‘무용영재성 자기진단 도구 개발’ 연구를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였음.
References
- 김기웅, 오레지나, 문영, 김윤진, 안문경(2004). 무용영재판별도구 개발연구Ⅰ. 미간행.
- 김유선(2007). 논술영재 판별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윤진(2004). 무용성격의 본질에 관한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재호, 차광석(1998). 전공별 무용수의 신체구성 및 체력특성분석. 한국체육학회지, 37, 348-359.
- 김화숙(1996). 안무의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제 6집, 7-26.
- 문영(1996). 무용수의 기술수준별 발레동작의 인지적 및 운동적 회상능력. 대한무용학회, 19, 191-203.
- 오레지나(2005). 무용창의성의 본질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오레지나, 문영, 김윤진, 안문경, 김기웅(2005). 무용영재성의 요인탐색. 한국체육학회지, 44(4), 745-752..
- 오레지나(2009). 무용영재 판별을 위한 실기과제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0, 1-15.
- 유진, 조경아(2006). 무용수행의 재능발달 요인: 수준별 탐색. 한국스포츠 심리학회지, 17, 4, 29-42.
- 이진효(2010). 무용영재 평가범주 개발.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 이진효(2011). 자녀의 무용재능 탐지도구 개발.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 이진효, 이진희, 박현정(2011). 무용영재성 구성요인에 관한 경험적 탐색. 한국무용기록학회, 23, 83-100.
- 조경아(2005). 무용재능 지도자 평가의 구조 타당화.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조은숙(2003). 발레 영재 판별에 관한 기초연구. 미간행. 한국 교육개발원. .
- 조주현(2007). 발레 영재성 구성요인의 탐색연구. 한국 스포츠심리학회지 2007, 제 18권, 제 1호, 15-31.
- 한국교육개발원(2000). 영재교육과정 개발 연구(II) : 사회과 영재교육과정 시안. 한국교육개발원 보고서.
- Renzulli. J. S.(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of defintion. Phi Delta Kappen. November 1978, 60, 180-184, 261.
- Renzulli, J. S. (1987). The triad/revolving door model. Workshop presented in Madison. Wisconsin.
- Kraus, R., & Chapman, S.(1991). History of the dance in art and educa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