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청소년의 커뮤니티 댄스 참여가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예비연구
초록
본 연구는 지적장애청소년의 커뮤니티 댄스 참여가 운동수행능력인 운동협응력과 내적 타이밍에 미치는 효과를 통해 지적장애인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플랫폼으로 커뮤니티 댄스의 가능성을 알아보는 예비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A문화재단 주최 B댄스프로젝트의 ‘춤바람 커뮤니티’에 참가한 지적장애청소년 7명이며, 중재 프로그램인 FUN DANCE 프로그램은 주 1회 120분씩, 2016년 7월 9일부터 9월 23일까지 총 12주간, C대학교 체육관 무용실에서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운동협응력은 아동운동평가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MABC-2)를, 내적 타이밍은 상호작용식 메트로놈인 Interactive Metronom(IM)을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Wilcoxon signed rank-sum을 이용하여 단일집단 중재 전후를 비교하였다(p<.05). 그 결과, 운동협응력 평가 중 균형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p<.05), 내적 타이밍은 총 8개 과제 중 왼쪽 과제, 양측 협응 과제, 손과 발의 조정된 점수,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본 연구는 커뮤니티 댄스 활동이 지적장애청소년의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규명함으로써 앞으로 지적장애청소년의 활발한 신체 활동을 위해 다양한 커뮤니티 댄스 프로그램 개발은 물론 이러한 신체 활동이 용이하도록 공공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Abstract
This study is a preliminary pilot study to develop a new physical activit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munity dance on motor ability i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students(n=7)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dance community’ hosted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were recruited and performed community dance for 1 times(100min) per week for 12 weeks, consisting of a total of 12 times. Data were collected using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MABC-2) for coordination and Interactive Metronom(IM) for inner timing. The study employed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Wilcoxon signed rank-sum was used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As a result, balance scores in coordination and left, bilateral, and adjusted hands and foot scores in inner timing were increased, respectively. These preliminary pilot study findings suggest that community dance may improve motor ability i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Keywords:
community danc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otor ability, coordination, inner timing키워드:
커뮤니티 댄스, 지적장애청소년, 운동수행능력, 운동협응력, 내적 타이밍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으로 수행하였음
References
- 강유석 (2015). 발달장애 아동과 청소년의 신체활동 참여 촉진 및 제약 요인 탐색. 한국스포츠학회지, 13(2), 99-113.
- 권정이 (2009). 지적장애아의 진단과 재활. 대한의사협회지, 25(1), 591-601.
- 고지현, 한동욱 (2015). 맥락간섭과 결과지식의 동기적 속성이 타이밍 학습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6(4), 749-760.
- 김경미, 허서윤, 김미수, 이수민 (2015). 아동의 운동기능평가에 대한 Interactive Metronome® LFA의 타당도 연구.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13(1), 13-22.
- 김경숙, 오아라, 구교만 (2009).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 제약 요인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1(4), 447-454.
- 김경애, 문장원 (2012). 정신지체 특수학교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조사. 지적장애연구, 14(2), 131-156.
- 김경미, 김미수, 이수민 (2015). 성인지적장애인에 대한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중재가 타이밍과 집중력, 양측 협응,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3), 349-364.
- 김민주 (2016). 발달성협응장애의 운동협응 특성과 발현율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1(4), 1-9.
- 김선진 (2015). 운동학습과 제어 개정판. 서울: 대한미디어.
- 김소형 (2015). 발달장애아동의 자기결정에 따른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가가 대근운동능력, 주의집중력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부산 대학교 대학원.
- 김영미, 홍혜전 (2013). 진지한 여가로서 성인여성의 커뮤니티댄스 공연 체험의 의미. 한국무용기록학회, 29, 43-81.
- 김윤태 (2006). 트램폴린을 이용한 심리운동프로그램이 정진시체아동의 신체협응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신지체연구, 8(1), 141-153.
- 김은혜, 홍성희 (2016). 리듬운동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움직임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리듬운동학회지, 9(1), 7-17.
- 김지영, 김형남, 윤정은 (2015). 문화예술정책의 맥락에서 ‘일상생활 속 무용의 확산’: 문화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무용융성의 방안 모색. 한국체육학회지, 54(5), 691-703.
- 김한철, 심태영, 김혜경, 정연택, 김성진 (2011). 방과 후 순환운동이 지적장애학생들의 자기결정력 및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10(1), 27-78.
- 김혜민 (2016). 지적장애 아동의 대·소근운동능력, 주의집중력 및 또래놀이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커뮤니티 댄스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 김혜민, 박진우, 이현수, 김재화 (2014). 커뮤니티 댄스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사회적 적응행동 및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2(1), 39-53.
- 송영혜, 김현영 (2006). 또래집단 활동의 치료적 요인 분석. 정서 행동장애연구, 22(1), 103-112.
- 송영훈 (2010). 맥락간섭을 적용한 양측성 협응 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 송호준 (2013). 심리운동을 통한 운동협응성 중재가 발달협응성장애를 보이는 지적장애 아동의 협응성 및 적응행동 향상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2(4), 23-50.
- 이동우, 이건옥 (2003). 초등학교 학생들의 협응 능력 과제에 대한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8(3), 58-68.
- 이찬주 (2013). 커뮤니티 댄스의 가치와 창작활동의 역할. 우리춤과 과학기술, 23..
- 이현수, 박진우, 김대경, 김혜민 (2016). 지적장애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전전두엽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커뮤니티 리듬태권도 프로그램 적용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11(2), 441-453.
- 장혜정 (2013). 집단무용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이동운동기술 및 협응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
- 정동훈, 권혁철(1999). 자세와 균형조절에 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1(3), 23-46.
- 정유진, 김원경 (2014). 음악줄넘기 운동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사이언즈, 31(2), 328-334. .
- 정희정, 김동민, 조가람, 이용호 (2016). 발달장애인의 지속적 체육활동 참여 과정 탐색: 발달장애인 부모 포커스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4(4), 133-149. .
- 조흥식, 강상경, 김용득, 김진우, 박희찬, 윤민석, 이준영 (2011). 발달장애인 활동지원 등을 위한 욕구조사 및 정책과제 수립연구.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최성재 (2005). 사회복지조사방법론. 경기도: 나남.
- 한동욱, 김선진 (2008). 청각적 맥락간섭이 골프스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9(2), 1-15.
- 황정보, 김남순 (2011). 볼링을 통한 심리운동기능 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정보처리에 미치는 효과. 지적장애연구, 13(3), 1-28.
- 황정옥 (2012). 커뮤니티댄스의 문화예술교육적 실천 전략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3(2), 51-69.
- 황정옥 (2016). 사회복지무용으로서 커뮤니티댄스의 의미.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7(2), 1-19.
- 허진영, 이현경 (2000). 무용 전공과 경력이 평형성과 자동자세제어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9(4), 1072-1079.
- Cassily, J. F., & Jacokes, L. E. (2001). The Interactive Metronome® : a new computer-based technology to measure and improve timing, rhythmicity, motor planing, sequencing and cognitive capabilities, Paper presented at The Infancy and Early Childhood Training Course, Advanced Clinical Seminar, Arlington, Virginia.
- Dhami, P., Moreno, S., & DeSouza, J. F. (2014). New framework for rehabilitation–fusion of cognitive and physical rehabilitation: the hope for dancing. Frontiers in psychology, 5..
- Geuze, R. H., Jongmans, M. J., Schoemaker, M. M., & Smits-Engelsman, B. C. (2001). Clinical and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 review and discussion. Human movement science, 20(1), 7-47. [https://doi.org/10.1016/S0167-9457(01)00027-6]
- Hackney, M. E., and Earhart, G. M. (2009). Effects of dance on movement control in Parkinson’s disease: a comparison of Argentine tango and American ballroom. Journal of Rehabil. Med. 41, 475–481. [https://doi.org/10.2340/16501977-0362]
- Hartman, E., Houwen, S., Scherder, E., & Visscher, C. (2010).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or performance and executive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54(5), 468-477. [https://doi.org/10.1111/j.1365-2788.2010.01284.x]
- Kaufmann, K. A. (2006). Inclusive creative movement and dance. Human Kinetics.
- Kuhlman, K., & Schweinhart, L. J. (1999). Timing in child development. Ypsilanti, MI: I-Iighl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
- Newell, K. M., & McDonald, P. V. (1994). Learning to coordinate redundant biomechanical degree of freedom. In S. P. Swienn, J. Massion, H. Heuer, & P. Casaer (Eds.), Interlimb Coordination: Neural, Dynamicla, and Cognitive Constraints(p. 515~536). Academic Press. Inc. San Diego, CA.
- Schmidt, R. A. (1975). A schema theory of discrete motor skill learning. Psychological Review, 82(4), 225-260. [https://doi.org/10.1037/h0076770]
- Schilling, F & Kiphard, E.J.(1987), zur Ganzheitlichkeit in der Motologie In:Motorik 10, 2.
- Sheridan, S. M., Hungelmann, A., & Maughan, D. P. (1999). A contextualized framework for social skills assessment, intervention, and generalization. School Psychology Review, 28(1), 84.
- Simons J., Daly D., Theodorou F., Caron C., & Andoniadou E. (2008)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GMD-2 in 7–10-year-old Flemish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25, 71–82. [https://doi.org/10.1123/apaq.25.1.71]
- Van Waelvelde, H., De Weerdt, W., De Cock, P., & Smits-Engelsman, B. C. (2004). Association between visual perceptual deficits and motor deficit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46(10), 661-666. [https://doi.org/10.1111/j.1469-8749.2004.tb00978.x]
- Zanone, P. G., & Kelso, J. A. S. (1991). Relative timing from the perspective of dynamic pattern theory: Stability and instability. Advances in psychology, 81, 69-92. [https://doi.org/10.1016/S0166-4115(08)607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