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리듬 분절(分節)형태에 따른 발레 회전동작 Retiré Pirouette en Dehors 수행 변화 연구
CopyrightⒸ 2017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무용수가 음악에 반응하는 움직임의 변화를 입증하고자 음악의 리듬 분절형태에 따른 발레 회전동작 Retiré Pirouette en Dehors수행의 변화측정과 분석을 위하여 SPSS/PC 18.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피험자 10명의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의 리듬 분절형태에 따른 Retiré Pirouette en Dehors 수행의 Retiré를 유지하는 시간(Landing1. R.ToeVel Z.Interval)이 대응차 평균 -9.75±12.46(t=-2.474, p=.035), 2회전 동작 시 신체중심 최대 높이 (Max Z C.O.M.)에 도달하기 전까지 신체중심을 낮게 유지하는 시간(Pirouette 2. C.O.M. Interval)이 대응차 평균 -1.113±12.06(t=-2.916, p=.017), 몸통과 골반의 2-1회전 전 준비 시간(Pirouette.Trunk·Pelvic Vel. Interval)이 각각 대응차 평균 -11.13±12.06(t=-3.040., p=0.014), -6.19±4.83(t=-4.050, p=0.003), 머리의 2-1회전 정면 유지시간(Pirouette.Head Vel. Interval)은 -7.88±6.20(t=-4.015, p=.003)으로 음악의 리듬 분절형태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p>.05).
음악의 리듬 분절형태에 따른 피험자 10명의 개별적인 동작수행 변화를 측정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대응표본 음악 a와 음악 b에 따라 운동학적, 시간적 많은 요소들이 변화하였지만 성별, 경력 등의 집단 특성보다는 개별적인 성향이 매우 강하며, 그것은 무용수들의 습관, 신체특성, 음악성 등 무용수들의 개별적 성향이나 음악의 활용능력 차이로 볼 수 있다. 음악의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통제하고 리듬의 분절형태만 달리하여 발레동작 수행 변화를 분석한 이 연구의 결론은, 음악의 리듬 분절형태는 발레 회전동작 수행의 변화를 유도한다. 음악의 ‘리듬 분절’이란 동작을 수행하는 동일한 한 카운트의 길이 안에서 나뉘는 ‘시간 분배’ 형태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무용수들은 리듬 분절형태가 유도하는 미세한 시간차이의 강제성에 의하여 발레동작 수행의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무용수들이 음악의 리듬 분절형태를 정확히 인지한다면, 기량 향상과 더불어 예술적 완성에도 음악의 적극적인 활용과 긍정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People respond in accordance with the pattern of auditory stimulus in a state of unconsciousness. So this study attempted to conduct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ballet movements in order to prove changes in the movements of the dancer requiring close communication with music to respond to it.
This study utilized the famous composer's piano variation to make only the rhythm segments of experimental music different under the equal condit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Results of the paired t-test of the mean value of ten subjects in this experiment showed that the turning movements of the ballet changed according to the rhythm segments. The turning movement Retiré Pirouette en Dehors made changes to the time of keeping the balance and induced the change of stability and head kept the front spot.
Results of the t-test of ten subjects in the experiment showed that rhythm segments made changes to movement and time elements. But the individual dancers made changes to the kinematic and temporal elements of performing the ballet movements according to the rhythm segments of music. They were more greatly influenced by their individual habits or physical conditions or other numerous elements such as musical sense than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the group such as gender or work experience.
The meaning of ‘rhythm segments’ mentioned in this study is dividing one count of the same length used in the movement into two segments(experimental music ‘a’) or three segments(experimental music ‘b’ differently. Even the dancers with diverse movement patterns and musical individuality exercise their own faculties at the moment of the precise time when rhythm segments occur. It is interpreted to be an element that has a common effect on changes in the ballet movement.
That is, it was proved that they might jump up higher and turn more quickly according to what music to choose.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onducting studies about the scheme to make practical use of music in diverse fields requiring the movement of the body as well as the field of music.
Keywords:
ryhthmic, ryhthm segments, ballet movement, dance music, pattern of auditory, motion analysis키워드:
발레동작, 회전동작, 리듬감, 리듬분절, 무용음악, 음악반응, 동작분석Acknowledgments
* 이 연구는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16년 08월) 중 일부를 발췌하여 수정 보완함
참고문헌
- 권안숙, (2011), 발레 Pirouette 동작 수행정도에 따른 각도, 중심변인 및 근활동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21(2), p181-187.
- 김영은, (1988), 음에 대한 정신음향학적 접근, 음악대학 작곡과 이론 전공 졸업논문집, 1, p5-22.
- 김인숙, 김동희, 박병림, (1993), Ballet Pirouette 동작시 전정안구반사(前庭眼球反射)의 역할, 한국체육학회지, 32(2), p2201-2209.
- 김지영, (2003),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에 나타난 무용과 음악의 Dynamic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 배지선, (2007), Dalcroze와 Laban의 움직임 창작교육에 대한 연구, 종합예술과 음악학회지, 1(2), p75-89.
- 서정록, 김채현, (2008), 17세기 프랑스 궁정 무용 연구를 통해 본 춤과 음악의 관계. 우리춤과 과학기술, 6, p35-74.
- 서차영, (1992), 무용기능학, 서울, 금광.
- 이능재, (2007), 발레 회전 동작의 역학적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화성.
- 이소연, (2009), 무용 동작과 음악 요소의 일치감에 관한 연구, 종합예술과 음악학회지, 3(2), p21-52.
- 이영숙, (2014), 발레 전공 초등학생의 발레 기본동작 수행능력과 체격, 신체구성, 무릎 및 허리부위 근기능의 상관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용인.
- 이혜원, (2003), 동작의 리듬 구조에 관한 연구, 예술교육연구, 1, p74-81.
- 전혜윤, 황민아, (2005), 배경음악을 통한 청각자극이 ADHD아동의 철자인지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10(2), p43-60.
- 정미자, (2004), 7~9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프리 발레 수업(Pre-Ballet Class)의 반주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학회논문집 음악연구, 33, p411-430.
- 조남규, 오성근, (2014), 발레 Pirouette en dehors 동작의 성공과 실패에 따른 운동역학적 차이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3(1), p1439-1446.
- 조남규, 오성근, 신화경, 박재근, 이승연, 기재석, 하종규, (2013), 발레 Fouette Turns 동작 시 음악반주 유무에 따른 정면응시도 및 회전축 이동거리 차이, 한국운동역학회지, 23(4), p403-407.
- 조원민, 이정분, (1996), 소고춤에서의 자반뛰기 동작 분석에 관한 이론적 고찰, 體育科學硏究所 論文集, 12, p383-404.
- 홍경화, (2010), 모션캡처를 활용한 발레 회전동작 교수법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울.
- Olga, Maynard, (1996), 미국의 현대무용가들, 정옥조 번역, 서울, 솔 출판사.
- Warren, G. W., & 서차영, (2003), 클래식 발레 테크닉, 서울, 대한미디어.
- Burger, B., Saarikallio, S., Luck, G., Thompson, M. R., & Toiviainen, P., (2013),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Emotions in Music and Music-induced Movement, Music perception, 30(5), p517-533. [https://doi.org/10.1525/mp.2013.30.5.517]
- Zentner, M., & Eerola, T., (2010), Rhythmic engagement with music in infancy,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7(13), p5768-6004. [https://doi.org/10.1073/pnas.100012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