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주간의 라인댄스 참여가 조현병환자의 우울증 및 대인관계변화에 미치는 영향
CopyrightⒸ 2017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24주간의 라인댄스활동 및 무대경험이 조현병환자 상태에 호전적인 효과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은 두 집단(실험집단 n=15, 통제집단 n=12)으로 구분된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처치 프로그램 적용 후, 조현병환자의 상태가 호전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우울증 및 대인관계변화 검사지를 이용하여 사전, 12주, 24주에 걸쳐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2×3) RG*RM ANOVA를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증 검사결과, 집단*반복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 .681), 주효과 검증의 경우 반복요인만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001). 둘째, 대인관계변화 검사결과, 집단*반복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 .001), 또한 주효과 검증결과에서도 집단(p= .017)과 반복(p= .001)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조현병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라인댄스 및 무대경험의 처치프로그램은 조현증 호전을 위한 치료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 보여주었다.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for the positive effect to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with 24 weeks the line dance and performance. For seeing their improv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Questionnaire were using. There were chosen 15 number for experimental group and 12 number for control group and we measured the pre-experimental, after 12 and 24 weeks. After experimental and statistic analysis, we could get a meaningful result with (2×3) RG*RM ANOVA: First, the interaction effect of group*repeated was not shown a significance(p=.681), but only repeat was shown(p=1) in depression. The post-hoc comparison analysis of Scheffė was reduced in 12 weeks but there was noting in 24 weeks. Second, the interaction effect of group*repeated was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post-hoc comparison analysis of Scheffė was shown the difference pre-experimental, after 12 and 24 weeks. Therefore we prove using the line dance and performance as a therapy for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Keywords:
dance therapy, movement therapy,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line dance, performance,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키워드:
라인댄스, 조현병, 무용치료, 동작치료, 우울증, 대인관계변화Acknowledgments
* 본 논문은 2014년 한국연구재단의 시간강사지원사업(과제번호: 2105S1A5B5A07043666)을 지원받아 수행하였음
참고문헌
- 곽현주, 김영희, (2013), 예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동작치료, 통합예술치료를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 9(3), p185-203.
- 김경희, (1996), 정서란 무엇인가, 서울, 민읍사.
- 김나영, (2004), 무용/동작치료에서 나타나는 정신장애인의 질적 행동유형에 관한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2(2), p13-24.
- 김미선, (2002), 무용치료가 정신분열환자의 행동에 미치는 변화,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김영환, 이철원, 전용관, 윤미정, 김지영, (2008), 라인댄스, 서울, 미디어.
- 김윤영, 김영준, (1999), 에어로빅 운동이 정신분열증 환자의 체력 및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17(1), p12-18.
- 김지혜, (2010), 구조화된 리듬 중심의 그룹 음악치료가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회기술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한세대학교 대학원.
- 김혜선, (2012), 활동중심의 그룹음악치료가 사회복귀시설 정신분열증 환자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서울장신대학교 대학원.
- 노은초, (2010), 중년여성들의 라인댄스 참여 경험,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류분순, (1996), 무용/동작치료가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19, p169-189.
- 문병준, 김수진, (2015), 유산소운동 프로그램이 남성 만성 조현병 환자의 체질량지수, 기분상태 및 정신증상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24(1), p12-21.
- 문선모, (1980), 인간관계 훈련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일 연구, 경상대 논문집, 19, p195-204.
- 박영숙, 권영희, (2012), 집단음악요법이 조현병 환자의 정신증상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재활간호학회, 15(2), p126-132.
- 박은규, (2006), 초등무용교육 향상을 위한 고찰, 문화예술교육연구, 1(2), p97-116.
- 박은실, 김영환, (2010), 라인댄스동호회 회원들의 참여활동에 따른 건강증진행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4(5), p57-70.
- 박현옥, (1996), 무용요법이 정신장애자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무용창작과정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설주이, (2007), 정신분열증 환자를 위한 무용/동작치료의 warm-up방법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 양숙미, (2001), 역량강화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인 부모의 상호지지변화과정: 정신지체 성인 자녀의 부모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연구, 18(1), p59-88.
- 오세란, (1997),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문제 해결 증진을 위한 인지 행동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유수현, (2001),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정신장애인 재활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 한국정신보건하회사업학회지, 11, p30-52.
- 이홍식, 김지현, 전지용, 정민정, (1994),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의 인지기능게 미치는 Clozapine 장기치료의 효과, 생물정신의학, 1(1), p109-116.
- 이영호, (1993), 귀인양식, 생활사건, 사건귀인 및 무망감과 우울의 관계;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분석,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임영랑, (2013), 무용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중증 우울증 중년여서의 우울증세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 전석균, (1994), 정신분열병환자의 재할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 정선아, (2003), 정신지체청소년을 위한 집단 무용치료 효과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 조아영, 김나영, (2007), 무용/동작치료의 Warm-up 방법이 낮병원 정신분열증환자의 대인관계기술과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심리치료다학제적접근, 7(1), p1-27.
- 추정엽, 최애나, (2007), 음악치료가 정신분열증환자의 정서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2(2), p149-167.
- 최선경, (2005), 재가 성인정신지체인 가조 부양부담 경감을 위한 사회사업실천 접근방안 고찰, 임상사회사업연구, 2(2), p223-243.
- Acil, AA, Dogan, S, Dogan, O, (2008), The effects of physical exercises to ment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J Ment Health Nurs, 15(10), p808-15. [https://doi.org/10.1111/j.1365-2850.2008.01317.x]
- Beebe, LH, Tian, L, Morris, N, Goodwin, A, Allen, SS, Kuldau, J, (2005), Effects of exercise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parameters of persons with schizophrenia, Issues Ment Health Nurs, 26(6), p661-76. [https://doi.org/10.1080/01612840590959551]
-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7 Row.
- Compton, B. R., & Galaway, B., (1999), Social Work Process, Pacific Grove, CA, Brooks/Cole, p34.
- Dunst, C. J., Trivette, C. M., Hamby, D., & Pollock, B., (1990), Family Systems Correlates of the Behavior of Yong Children with Handicaps,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4, p204-218. [https://doi.org/10.1177/105381519001400303]
- Essex, L. E., Seltzer, M. M., & Krauss, M. W., (1997), Differences in coping effectiveness and well-being among aging mothers and fathers of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104, p544-563.
- Floyd, F, J., & Gallagher, E. M., (1997), Parent stress, care demands, and use of support service for school-ag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behavioral problems, Family Relations, 46, p359-371.
- Lewis, P., (1986), Theorical approaches in dance/movement therapy, Vol. I and Vol. II, Dubuque, Iowa, Kendall/Hunt.
- Nihira, K., Foster, R., Shelhaas, M., & Leland, H., (1975), Adaptive Behavior Scale,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Deficiency.
- Paivi, P., (2003), Body Image: A Tripartite Model for Use in Dance/Movement Therapy, American Journal of Dance Therapy, 25(1).
- Pruchno, R, & Patrick, J. H., (1999), Effects of formal and familial residential plans for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on their aging mothers, American Journal on Metal Retardation, 104(1), p38-52.
- Schlein, S., & Guerney, B., (1977), The relationship change scale(RCS),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 Sonstroem, R. J., & Morgan, W. P., (1989), Exercise and self-esteem: Rational and model,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 and Exerc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