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으로 행복해지기 : 성인의 무용향유 체험방식에 대한 질적 탐구
CopyrightⒸ 2017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무용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무용을 즐기고 누리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무용을 향유하는 방식이 그들의 행복한 삶과 어떠한 관련을 갖는지를 탐색하였다. 참여자들의 무용향유체험에 담긴 내적 속성과 의미를 파악하는 일에 주목하기 위해 현상학적 체험연구(van Manen, 1990)에 근거하여 약 18개월 간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형적 사례 선택 기법(Miles & Huberman, 1994)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대표적인 사례 두 팀(‘삼삼오오’팀, ‘춤꽃마실’팀)과 일반적인 발레강좌팀을 선정하였다. 이 세 팀의 참여자들로부터 학습자 18명, 교육자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최종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면담(심층면담과 그룹면담), 수업관찰, 자기보고식 일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분석은 Wolcott(1994)가 제안한 기술, 분석, 해석의 순환적 과정의 큰 틀 속에서 van Manen(1990)이 제시한 현상학적 체험 연구에서의 자료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무용향유체험의 방식은 크게 ‘기능적으로 향유하기’, ‘유희적으로 향유하기’, ‘공헌적으로 향유하기’의 세 가지 방식으로 나타났다. 이 세 가지 방식은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맥락에 따라 유기적으로 순환 및 확장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무용향유체험에 대한 보다 장기적인 연구와 공동체적 관점에서의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dance participants savor dance in various ways. To focus on understanding the internal attributes of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the meaning behind it, this study was conducted a total of one and a half year of research from July 2015 to December 2016 with phenomenological experience method based on interpretative paradigm. And through traditional case selection (Miles & Huberman, 1994), this study took three cases, of whom two (‘3355’ team and ‘Chumkkonmasil’ team) were represented as the best practices in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the other one was a general ballet class team. And considering six conditions of research participant selection proposed by van Kamm (1966), 18 learners and 6 educators were selected as main informants out of three team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in-depth interview, group interview, class observations, and self report journals, and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in the recursive process of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posed by Walcott (1994). As the findings, there were the three ways of dance savoring: technical savoring, playful savoring, and contributive savoring. These three ways of savoring are ones that participants can make more meanings and find happiness in their life, and at the same time, these methods appeared to be reciprocal and cyclical. Lastly,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xamine dance savoring experience more intensively and in the long term. Secondly, it is necessary to study not only the individual dance savoring experience but also the community dance savoring experience.
Keywords:
dance savoring experience, dance, happiness, technical savoring, playful savoring, contributive savoring키워드:
무용향유체험, 춤, 행복, 기능적 향유, 유희적 향유, 공헌적 향유Acknowledgments
* 이 논문은 저자의 2017년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일부를 수정, 보완한 것임.
Notes
참고문헌
- 공병혜, (2005), 리쾨르의 이야기적 정체성과 생명윤리, 철학과 현상학 연구, 24, p61-89.
- 권혁재, (2014), “보통 사람 80명의 제멋대로 '19금 춤”, 중앙일보(2014년 7월 11일자 기사), http://news.joins.com/article/15226167에서 검색.
- 김성수, (2013), 글쓰기는 생각쓰기이자 삶쓰기 : 삶을 가꾸는 글쓰기교육의 이상과 현실, 우리말교육현장연구, 7(2), p7-38.
- 김애령, (2015), 서사 정체성의 구성적 타자성, 해석학연구, 36, p215-242.
- 김연정, (2012), 학교문화예술교육 무용참여가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경기.
- 김윤태, (2009), 행복지수와 사회학적 접근법: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는가?,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p75-90.
- 김이정, (2011), 무용예술강사 수업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만족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강원.
- 김정하, 박현옥, (2012), 예술통합교육ㆍ무용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상과 문화, 62, p369-392.
- 김현진, (2013), 무용교육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무용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서울.
- 김홍태, 김영란, (2016), 문화예술정책에 관한 제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229-233.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4), 2013 문화예술정책백서.
- 박관호, (2016), 정책사업 하에 실행된 커뮤니티 댄스 프로젝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서울문화재단 3355팀 사례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서울.
- 박소현, (2009), 초등 발레 특기ㆍ적성 교육에의 인문적 접근: 하나로 수업의 실천 및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 박현옥, (2011),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여고생의 무용 이미지, 신체 만족도의 변화, 한국사상과 문화, 59, p445-471.
- 박현정, 김지영, (2012),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서 방과 후 무용교육활동에 따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변화, 한국무용학회지, 12(1), p63-73.
- 박혜연, (2014), 한국무용에서 심성 가르치기 : 한국무용 교수학습과정의 심성교육적 차원 탐색. ,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 석문주, 최은식, 최미영, (2010), 외국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연구: 미국, 영국, 핀란드, 일본을 중심으로, 예술교육연구, 8(2), p1-19.
- 오현주, (2008), 한국 전통춤 교수법의 인문적 접근 탐색: 기존 교수법 분석과 하나로 수업의 적용,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 이병준, 이유리, (2014), 예술강사의 직업생애사 연구: 학교문화예술교육 무용강사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9(5), p1-20.
- 이정일, 이성노, 이태현, (2012), 학교문화예술교육 무용참여가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체육학회지, 21(3), p815-826.
- 전재영, (2012), 실천공동체 (Communities of Practice) 의 의미와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초등교육, 23(1), p75-93.
- 채운, (2013), 예술의 달인 : 호모아르텍스, 서울, 북드라망.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국가별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p1-188.
- Hong, C., (2006), Unlocking dance and assessment for better learning, In P. Taylor (Ed.), Assessment in Arts Education. Portsmouth, NH, Heinemann, 백령, 홍영주, 성진희, 김병주 역, (2012), 문화예술교육의 도약을 위한 평가: 쟁점과 원리, p58-70,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Huitzinga, J., (1944),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Routledge and Kegan Paul, 이종인 역, (2010), 호모 루덴스: 놀이하는 인간, 경기, 연암서가.
-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 MacIntyre, A., (1981), After Virtue: A study in moral theory, London, Duckworth, 이진우 역, (1997), 덕의 상실, 서울, 문예출판사.
- Maslow, A. H., (1970),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 Row.
-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 sourcebook,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s.
- Oswald, A. J., (1997), Happiness and economic performance, Economic Journal, 107, p1815-1831. [https://doi.org/10.1111/j.1468-0297.1997.tb00085.x]
- Schiller, F., (1795), Briefe uber die asthetische Erziehung des Menschen, 안인희 역, (2012), 미학편지: 인간의 미적교육에 관한 쉴러의 미학 이론, 서울, 휴먼아트.
- van Kaam, (1966), Existential Foundation of Psychology, Pittsburgh, Duquesne University Press.
- van Manen, M., (1990), Researching lived experiences: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London, The Althouse Press, 신경림, 안규남 역, (1994), 체험연구, 경기, 동녘.
- Wolcott, H. F., (1994), Transforming qualitative data: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London,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