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청년을 위한 무용 문화예술교육 사례연구 :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춤추면 무하니?!』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2023년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청소년·청년 대상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통해 시행된 『춤추면 무하니?!』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춤추면 무하니?!』 프로그램의 사례 분석을 통해 현대 청소년과 청년을 위한 무용 문화예술교육의 적용 과정 및 경험적 가치와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 프로그램은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주말예술캠퍼스 유형으로 구성되었으며, D대학교 산학협력단과 그린하모니아트 공연단이 협력하여 기획 및 평가 과정을 포함한 전반적인 운영을 2023년 5월부터 12월까지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참여자는 중,고등학교 청소년 23명, 20대 청년 25명으로 총 48명이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구성 과정은 자아정체성 및 사회성 함양,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목표로 하였으며, 청소년과 청년 모두에게 동일한 구조로 적용되었다. 둘째,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경험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은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고 자신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며,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받았고, 댄스필름 창작 활동을 통해 댄스 리터러시 향상에도 긍정적인 경험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분석 결과, 참여자와 지도 인력 모두에게 무용 문화예술 교육의 교육적 가치를 인식하는 의미 있는 경험이 되었으며, 프로그램 지도자를 비롯한 운영 구조에 대한 만족도도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무용예술가, 무용교육 전문가, 예술치료 전문가가 협력하여 운영한 융합적 프로그램 구성이 참여자, 지도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가 현시대 다양한 어려움과 위기를 겪고 있는 청소년과 청년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에 부합되는 무용의 효과적인 적용 방안과 가치를 모색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the “Chumchumyeon Mooharny?!” program, which was implemented in 2023 through the Kkumdarak Cultural Arts School's support project for youth and young adults in the field of d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tion process, experiential value and meaning of dance cultural arts education for contemporary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through a case analysis of the “Chumchumyeon Mooharny?!” program. The program was organized as a weekend arts campus type of Kkumdarak Cultural Arts School, and the overall operation including the planning and evaluation process was conducted from May to December 2023 in cooperation with D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Group and Green Harmony Art Performance Group. The program consisted of 48 participants, 23 middle and high school teens and 25 young adults in their 20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s organizing process aimed to foster self-identity, social skills, and dance literacy, and the same structure was applied to both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Second, an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showed that through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able to form a sense of self-identity, accept themselves positively, and develop social relationships. They also had positive experiences enhancing dance literacy through dance film creation activities. Third, the analysis of the program evaluation showed that it was a meaningful experience for both the participants and the teaching staff to recognize the educational value of dance and cultural arts education, an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operational structure, including the program leaders. In particular, we found that the interdisciplinary program structure, which was operated by dance artists, dance educators, and art therapy professionals in collaboration, provided a positive experience for both participants and leader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useful basis for exploring the effective application and value of dance in the cultural arts education paradigm that can help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experiencing various difficulties and crises in the contemporary era.
Keywords:
Adolescents, Youth, Kkumdarak Cultural Arts School, Dance Education, Case Study키워드:
청소년, 청년, 꿈다락 문화예술교육, 무용교육, 사례연구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한국예술교육학회 2024년도 국제 예술교육 페스티벌 컨퍼런스 발제 “2023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춤추면 무하니?!』 프로그램 운영사례”를 수정·보완한 것임.
This study is a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2023 Life Cycle-bas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Kkumdalak Arts School 『Chumchumyeon Mooharny?!』 Program Case Study” presented by the 2024 Korea International ArtE Festival Conference of the Korea Association of Arts Education.
References
- 김소연(2023.12.08.) 자해ㆍ자살시도자 절반이 청년...“정신적 문제 커”. 대전일보. https://www.daej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101515
- 김연재(2023). 무용 교육에서 댄스 필름의 활용 가치 탐색. 예술과 과학기술(구 우리춤과 과학기술), 62, 9-35.
- 김지영, 홍애령(2019). 무용교육학(Dance Pedagogy)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 : 시계열 관점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7(9), 439-450.
- 김지은(2022). 학교무용교육의 변화와 과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33(4), 21-39.
- 김현주(2022). 무용교육 참여가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와 해양문화, 12(2), 1-8.
- 김효정(2010.02.26). 청소년들의 무용교육의 필요성. 전북도민일보. https://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1502
- 박지수(2021). 현대무용공연 관람 경험의 교육적 가치와 현상학적 양상:청년기 관객 인터뷰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희영(2014). 무용교육이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5(3), 157-166.
- 서예원, 조은숙, 문영, 김윤진(2011). 문화예술교육표준개발 연구(무용).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소장섭(2024,07.29). 코로나19이후, 국내 아동들이 느낀 가장 큰 어려움은?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9220
- 송승헌(2023.04.24.) 일의 성격이 완전히 바뀌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 인재에게는 56개 역량이 요구된다.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special/special_section/2023/04/24/475T4KZ7NJG7PG4URQDVX4P7GE/
- 송학주, 강세영(2024.07.08.). “방에서 나가기 싫어요”...세상과 ‘담쌓은’아이들. 뉴데일리.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4/07/08/2024070800156.html
- 아르떼365(2021.05.10.). 국가승인통계로 살펴본 문화예술교육의 현재, 2020 문화예술교육조사 주요결과. https://arte365.kr/?p=85858
- 염유식(2021) 한국 아동·청소년 행복지수 – 국제비교연구조사결과보고서.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 윤미정(2005). 소매틱 차원에서 본 접촉즉흥무용의 의미와 기능. 박사학위 청구논문, 연세대학교.
- 윤지아(2024.07.02.). 소셜미디어 제한이 청소년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중앙일보. https://news.koreadaily.com/2024/07/01/society/education/20240701145052964.html
- 윤혜선(2007.12.01). D. Creative Art Performance. ‘I am...We’ 초연 작품, 장소: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센터 대극장.
- 윤혜선(2013).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해피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의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0(2), 49-70
- 윤혜선, 김예진(2015). 초등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해피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의 적용 사례, 한국무용과학회지, 32(4). 13-31.
- 이세나, 배준용, 안병준(2017). 창작무용교육이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연구. 무용예술학연구, 67(5), 109-119.
- 이용수.(2024). 20대 청년 심리·정서 문제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임수진(2015). 댄스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3(3), 124-145.
- 임수진, 문영(2017).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예술강사우수 수업사례 질접분석. 한국예술연구, 17, 171-194.
- 임수진, 문영(2021).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대학 교양강좌에의 적용 및 효과 탐색. 대한무용학회논 문집, 79(1), 157-172
- 임춘한(2024.07.26.). [인터뷰]“청년자살긴급사태...우리사회 대들보 쓰러져”[MZ마음챙김]. 아시아경제. https://view.asiae.co.kr/article/2024072515224296434
- 장인주(2021.11.29.) 아이들이 예술로서 무용을 배우고 있지 않다 : 무용 교육의 미래. 문화+서울. https://m.blog.naver.com/i_sfac/222581588406
- 전승용(2023.10.26).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 그리고 과제들, 인천문화재단. https://news2.ifac.or.kr/9026
- 정옥조, 이혜진. (2010). 문화관광 축제의 무용공연 활성화 방안. 대한무용학회논문집, 65, 203-223.
- 정희자. (2007). 아동 무용공연 감상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8(1), 1-27.
- 제환정, 이성희(2023). 무용교육의 가치확장을 위한 아동·청소년 무용교육의 목표 및 방향성 제안. 대한무용학회, 81(2), 401-415.
- 조명현(2023). 청소년의 자기인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 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감성과학, 26(3), 129-148.
- 조미카, 구승회(2020). 문화예술 활동이 청소년의 사회성 확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부산진구 청소년 예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예 술연구, 27, 311-342.
- 조진희(2016). 사회과학분야 무용교육프로그램이 보호관찰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지, 33(1), 1-10.
- 조홍식, 정선옥, 김진숙, 권지성 역(2015). John W. Creswell 저.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 주신형(2021).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가야 역사 팝업북을 활용하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청년일보(2023.12.11.). 2024 청년정책, 고립,은둔 청년 해결...정부, ‘니트족’사회복귀 지원.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7016725
- 최정원, 이지연, 김현수, 박지숙(2022). 코로나-19 시대 MZ세대의 사회성 발달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15.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4). 2014 학교문화예술교육 교수-학습지도안(무용).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23). 2023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https://www.arte.or.kr
- 황인주. (2016). 몸 미학과 무용과의 미학적 관계성 연구. 무용역사기록학, 43, 175-195.
- 황정옥(2018). 무용교육의 전인적 교육효과. 한국무용학회지, 36(2), 43-60.
-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 Company.
- Judith Lynn Hannah (2015). Dance and the Brain: The Benefits of Movement. Journal of Dance Education, 15(1), 1-8.
- Smith-Autard, J. (2002). The art of dance in education(2nd ed.). London: A & C Bl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