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무용 전공 만학도의 대학원 진학동기와 성장 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실용무용 전공 만학도들의 대학원 진학동기와 성장 과정이 갖는 해석적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다.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실용무용으로 무용학과에 편입하여 대학원을 졸업한 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3차원 내러티브 탐구 공간과 4 방향성의 내러티브 재구성에 준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학력자원을 통한 자아실현을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였다. 이는 실용무용 전공의 확대, 고급 인력에 대한 사회적 요구, 그리고 못다 이룬 꿈을 이루고자 하는 개인적 소망이 상호작용한 결과이다. 둘째, 참여자들에게 무용학과 대학원 과정은 배움을 향한 새로운 자기 인식의 시작점이었고 자기 발견과 성장으로 가는 디딤돌이었다. 셋째, 졸업 후 참여자들은 체육학과 대학원 박사과정에 진학하여 전문성을 심화시켜 나가며 그동안 이룬 성장을 사회적 성과로 연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무용학과 내 실용무용 확산는 엘리트 무용교육을 받지 않았지만, 무용 전공을 희망하는 만학도들에게 전문성 향상과 자아실현을 위한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대학원에서는 학생의 다양성을 포용하고, 전문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질 높은 교육이 제공되어야 하며, 교육자는 만학도들을 이해하려는 노력과 그들의 성장을 진심으로 존중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terpretive meanings behind the motivations for graduate school enrollment and the growth processes of mature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dance.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wo individuals who transferred to the dance department majoring in practical dance and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criteria of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and the four directions of narrative reconstru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pursued graduate studies to achieve self-realization through academic resources. This was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xpansion of the practical dance major, societal demand for highly skilled professionals, and personal aspirations to fulfill unmet dreams. Second, for the participants, the dance department's graduate program was a starting point for new self-awareness through learning and a stepping stone towards self-discovery and growth. Third, after graduation, the participants enrolled in the doctoral program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deepening their expertise and striving to translate their growth into social achievements. The spread of practical dance within the dance department can provide new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enhancement and self-realization for adult learners who aspire to major in dance, even if they have not received elite dance training. Graduate programs should embrace student diversity and provide high-quality education that enhances expertise. Educators must make efforts to understand adult learners and sincerely respect and support their growth.
Keywords:
mature student, dance graduate student, practical dance, narrative inquiry키워드:
만학도, 무용전공대학원생, 실용무용, 내러티브탐구References
- 강혜련(2020). 국내 실용무용학과 현황분석을 통한 한류 문화 패러다임. 한국무용학회지, 20(3), 105-117.
- 강현석(2007). 교육학에서의 내러티브 가치와 교육적 상상력의 교육. 국어국문학, 146, 305-351.
- 구유정, 오석영, 박수연. (2021).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평생학습사회, 17(1), 27-48.
- 구하늘, 안병순(2024). 실용무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가 전공 만족도 및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4(5), 430-438.
- 김광수(2020). 만학도의 진학 동기와 변화된 삶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8(1), 257-282.
- 김계순, 김명찬(2019). 중년여성 만학도의 성장욕구와 자기실현 과정에 대한 자문화 기술지. 질적탐구, 5(1), 109-137.
- 김금란(2023년 3월 15일). ‘대학 신입생=20세’ 공식 깨지나, 충청타임즈.
- 김도진(2023). 헬스케어전공 만학도의 삶과 여가에 대한 소고. 미래기술융합논문지, 2(1), 41-17.
- 김미화, 조은하(2022). 간호학과 만학도의 전공 과정 경험연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8(4), 19-26.
- 김병민(2010). 고등학령 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구조조정 방안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 김수산나, 안귀호(2023). 교수 감성리더십이 실용무용전공 학생의 몰입 및 학업지속에 미치는 영향. 무용예술학연구, 91(2), 21-36.
- 김수올, 변진이(2023). 간호학 전공 중년 만학도 여성의 대학 생활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3(6), 398-408.
- 김서연, 김영미(2022). 사회복지전공 여성 만학도의 대학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인문사회21, 13(6), 4245-4260
- 김서현(2022). 60대 여성 만학도의 사회복지를 통한 자기실현 경험:Schutze의 생애사 연구방법의 적용.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6(2), 99-133.
- 김영란, 최경호(2010). 무용의 발전과정과 현황조사를 통한 실용무용 개념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사업학회논문지, 4(4), 1-8.
- 김영천(2013). 질적연구방법론 Ⅱ: Mehotds. 경기도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 김정민, 최연실(2014). 50대 만학도 여성의 생애사 연구: 삶의 영역, 전화점과 적응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지, 19(1), 1-29.
- 문수현, 박혜진, 김영미(2024). 실용무용 전공자의 무용학과 대학원 경험 질적 사례연구. 한국무용연구, 94(1), 95-112.
- 박병기, 김지영, 박현아, 김영미(2015).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적용: 최근 5년간 연구의 내용분석과 하나의 실제 연구. 교육심리연구, 29(3), 383-408.
- 박정옥(2022). 실용무용 전공 대학생의 학과적응에 관한 환경 및 스트레스 결정요인 분석. 인문사회 21, 13(6), 595-609.
- 손세정, 김현정(2017). 간호학과 만학도의 경험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4), 501-520.
- 신주영(2018). 무용전공 체육학 대학원생의 정체성 형성과정. 한국무용학회지, 19(1), 13-23.
- 신현석(2011). 대학원 체제의 미래 비전과 추진방안 탐색. 한국교육학연구, 17(1), 156-192.
- 안지형, 김운미(2018). 실용무용계열 학생들의 대학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76(6).
- 양다현(2021). 특수체육 전공 대학원생의 석사과정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염지숙(2002).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tt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교육인류학연구, 6(1), 119-140.
- 이금란, 맹은경(2018). 맞춤형 영어 프로그램에 대한 만학도들의 인식 및 요구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22), 727-753.
- 이선화, 이기순(2023). 상담학을 전공한 만학도의 박사과정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문화와 융합, 45(3), 385-401.
- 이소현, 모아라(2017). 만학도로서 대학생활에서의 삶의 의미 탐색: 보육관련학과 학생을 중심으로. 코칭연구, 10(3), 179-195.
- 이지혜(2012). 대중문화 환경변화에 따른 실용무용교육의 활성화방안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이정희, 안영식(2007). 만학도의 대학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평생교육학연구, 13(3), 89-116.
- 이해준, 정시현 (2017). 한국 실용무용의 역사성과 효용성 고찰을 통한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한국무용학회지, 17(1), 77-90.
- 임은실, 신성숙(2019). 신학전공 만학도의 대학 생활 경험 연구.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33(2), 99-125.
- 임종해(2015). 만학도 전형 입학생의 대학교육 경허과 의미에 대한 탐색-경기지역 C 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 채재은, 변기용, 남수경, 최정윤(2009). 고등교육 장기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 홍아정(2010). 성인대학생의 학습동기에 관한 질적연구, 교육학연구, 48(4), 159-186.
- 홍영숙(2016). 대학 편입학을 경험한 두 대학생이 살아낸 삶의 이야기 탐구. 내터티브와 교육연구, 4(2), 99-126.
- 홍영숙(2019). ‘관계적 탐구’로서의 내러티브 탐구. 질적탐구, 5(1), 81-107.
- 홍영숙(2020). 내러티브 논문작성의 실제.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3), 7-28.
- 한국대학신문(2023년 6월 9일). 지방대학 만학도 모시기 안간힘.
- Bruner, J.(1986). Actual minds, possible world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4159/9780674029019]
- Grumet, R. M.(1988). Bitter milk: Women and teaching. Amhers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 Clandinin, D. J.(2013). 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Walnut Creek, CA: Left Coast Press, Inc.
- Clandinin, D. J. & Connelly, F. M.(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 Horney, K.(1950). Neurosis and Human Growth: The Struggle Toward Self-Realization. W.W. Norton &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