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1, No. 2, pp.107-124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4
Received 29 Feb 2024 Revised 03 Apr 2024 Accepted 22 Apr 2024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4.41.2.107

푸에르자 부르타 웨이라에 나타난 공간성 연구: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 생산 이론을 중심으로

어수정*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 스포츠무용학부 강사 soojeong.eo@gmail.com
A Study of Spatiality in Fuerza Burta Wayra : Based on Henri Lefebvre’s Theory of Spatial Production
Soojeong Eo*
*Lecturer, College of Art and Culture, Department of Sports and Dance, Sangmyung University soojeong.eo@gmail.com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공연예술에서의 무대공간의 의미변화에 대한 연구로 푸에르자 부르타 웨이라(Fuerza Burta Wayra)에 나타난 무대와 객석, 실연자와 관객의 관계성에 대하여 고찰한다. 앙리 르페브르(Henri Lefèbvre)의 공간 생산 이론에 근거하여 작품이 실연되는 공간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지 않고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공간으로 바라보고, 작품이 진행되는 동안 무대와 객석의 위치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끊임없이 변화하는 관계성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작품이 실연되는 무대공간에 대하여 재현과 추상의 공간이라는 인식을 넘어 무대공간의 의미를 재정의하면서 관객과의 관계성을 통해 확장되고 다시 새롭게 창조되는 공간임을 고찰하였다. 이는 공연예술이 성립되는 공간이 이미 절대적으로 존재해온 물리적이고 선험적인 공간이 아니라 상호작용과 관계를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확장되는 사회적 생산 공간이라는 시각적 전환을 유도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age and audience, performer and audience in performing arts, focusing on Fuerza Burta Wayra. Based on Henri Lefebvre's theory of Spatial Production, the space in which the work is performed is not fixed but constantly changing. This study focuses on this ever-changing relationship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position of the stage and the audience during the performance. Through this analysis, the stage space where the work is performed is examined as a space that is expanded and re-create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audience, while redefining the meaning of stage space beyond the perception of reproduction space or abstract space. This will bring about a visual shift, suggesting that the space where performing arts are established is not a physical and a priori space that has already existed absolutely, but a space of social production that is constantly changing and expanding through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Keywords:

Fuerza Burta Wayra, Henri Lefebvre, Physical Theatre, Immersive Theatre, Spatiality

키워드:

푸에르자 부르타 웨이라, 앙리 르페브르, 피지컬 시어터, 이머시브 공연, 공간성

References

  • 강훈(2014). 넌버벌 퍼포먼스 ‘플라잉’의 작품 분석을 통한 공연콘텐츠로서 치어리딩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 김남혁(2023). 「제4의 벽」의 건축화를 통한 몰입형 극장 계획.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 김수희(2022). 펀치드렁크의 장소 생산과 그 역설.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20(1), 15-28.
  • 김승태(2004). 공연이미지의 영상표현에 관한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 김형기(2014).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지각방식과 관객의 역할. 서울: 푸른사상.
  • 김형기, 심재민, 김기란, 최영주, 최성희, 이진아, Pavis, P.(2011).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 서울: 푸른사상.
  • 박진덕(2023). 수행적 관객 참여를 통한 ‘이머시브 거리극’의 가능성 탐구. 무용예술학연구, 92(3), 33-48.
  • 박태환(2020). 2000년 이후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의 관객성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백영주(2015). 이머시브 연극의 경험성과 매체성 연구. 인문콘텐츠, 36, 109-136.
  • 백영주(2018). 극장 개념의 확장과 사이트의 재편 양상-퍼포먼스 디자인 관점에서. 한국연극학, 68, 259-294.
  • 성기문, 류주희(2006). 장소 특성을 반영하는 다니엘 뷔랭의 인 시튜작업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2), 11-21.
  • 신승원(2014). 르페브르의 변증법적 공간 이론과 공간정치-『공간의 생산』을 중심으로. 도시인문학연구, 6(1), 63-98.
  • 신승원(2016). 앙리 르페브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신승원(2017).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 이론.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양승비(2023). 인터랙티브 퍼포먼스의 커뮤니케이션 요소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어수정(2018). 후기구조주의 공간개념을 반영한 무용창작작품 「광장」에 나타난 춤이미지의 예술적 의미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어수정(2019). 후기 구조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무용예술 공간의 변화와 춤 이미지의 의의. 한국무용교육학회지, 30(2), 89-119.
  • 이유리, 박은규(2018). 초등 무용교육공간에서의 ‘리듬분석’에 관한 이론적 탐색-앙리 르페브르 이론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18(24), 511-531.
  • 이유리, 이병준(2017). 앙리 르페브르 공간생산론에 기반한 무용교육공간 연구. 성인계속교육연구, 8(2), 47-64.
  • 이지원(2018). <델라구아다(De La Guarda) 3부작>에 나타난 피지컬 씨어터(Physical Theatre)의 특성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 이지은(2020). 〈푸에르자 부르타 웨이라 인 서울 2019 (Fuerza Burta Wayra in seoul 2019)〉에 나타난 수행적 특성 연구. 예술교육연구, 18(3), 251-262.
  • 장세룡(2005). 앙리 르페브르의 일상생활 비판—문화이론적 접근. 전남사학, 25, 284-317.
  • 정두순(2018). 춤과 춤꾼의 도시에 대한 권리(le droit à la ville)와 자주관리(autogestion)를 통한 공간실천의 가능성. 문화와 정치, 5(1), 239-268.
  • 조기주, 최경아(2019). 감각적 체험의 아카이브를 통한 실존 연구–리듬 분석展을 중심으로-. 미술문화연구, 15, 115-138.
  • 한석진(2019). 이머시브 퍼포먼스에서의 관객성에 대한 고찰. 한국예술연구, 23, 53-74.
  • Arirang TV(2018). [The INNERview 2018]. Ep.8-‘FUERZA BRUTA Wayra in Seoul' Production Team. 51min. Retrieved October 8, 2023. from https://youtu.be/qShY9aOWQqU?si=HqjfSs3sYqLb3u9X
  • Brook, P. (2019). The Empty Space /빈 공간. (이민아 역). 서울: 걷는책. (Original work published 1968)
  • Collins-Hughes, C. (2014, July 9). THEATER REVIEW-“Where Anything Can Happen and Usually Doe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January 4, 2024. from https://www.nytimes.com/2014/07/09/theater/acrobatics-and-high-winds-in-fuerza-bruta-wayra.html
  • Debord, G. (2014). La Société du Spectacle /스펙타클의 사회. (유재홍 역). 서울: 울력. (Original work published 1967)
  • Elden, S. (2018). Understanding Henri Lefebvre : theory and the possible /앙리 르페브르 이해하기. (전국조, 이현석 역). 부산: 경성대학교출판부. (Original work published 2004) [https://doi.org/10.5040/9781472547798]
  • Fischer-Lichte, E. (2017). Ästhetik des Performativen /수행성의 미학. (김정숙 역). 서울: 문학과지성사. (Original work published 2004)
  • Fuerza Burta Wayra(2012). [HBO Plus]. Fuerza Burta Wayra Tour. Ozono Producciones. 52min. Retrieved November 10, 2023. from https://youtu.be/4nXLheXSR20?si=EXq0rOmmBi0dVX-7
  • Fuerza Burta Wayra(2024). [Korea Traveler]. 2023 FUERZA BRUTA WAYRA IN SEOUL. 68min. Retrieved February 12, 2024. from https://youtu.be/5ps90LTmGho?si=C1OXIKN2cuTfVAeN
  • Isherwood, C. (2007, Oct 25). THEATER REVIEW-FUERZABRUTA, “Don’t Slump: Stand, Gawk, Collaborate”,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January 2, 2024. from https://www.nytimes.com/2007/10/25/theater/reviews/25fuer.html
  • Lefèbvre, H. (2005). La Vie Quotidienne Dans le Monde Moderne/현대세계의 일상성. (박정자 역). 서울: 기파랑. (Original work published 1968)
  • Lefèbvre, H. (2011). La Production de L’espace/공간의 생산. (양영순 역). 서울: 에코리브르. (Original work published 1974)
  • Lewis, W. W. (2017). Performing 'Posthuman' Spectatorship. Performance Research, 22(3), 7-14. Retrieved November 16, 2023. from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13528165.2017.1353246 [https://doi.org/10.1080/13528165.2017.1348590]
  • Lewis, W. W. (2018). Performing Posthuman Spectatorship: Contemporary Technogenesis and Experiential Architectures of Exchang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olorado). Retrieved September 21, 2023. from https://scholar.colorado.edu/concern/graduate_thesis_or_dissertations/ng451h663?locale=it
  • Rancière, J. (2016). Le spectateur émancipé /해방된 관객. (양창렬 역). 서울: 현실문화. (Original work published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