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1, No. 2, pp.59-77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4
Received 22 Feb 2024 Revised 04 Apr 2024 Accepted 19 Apr 2024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4.41.2.59

소매틱(Somatic)기반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윤혜선* ; 김한슬**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 무용과 부교수 dasoma40@naver.com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통합예술치료학 박사수료 gkstmf1715@naver.com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Somatic-Based Program
Hye-Sun Yoon* ; Han-Seul Kim**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Performing Arts, Department of Dance, Dongduk Women’s University dasoma40@naver.com
**Doctoral Completion, Major in Integrative Arts Therapy, Dongduk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gkstmf1715@naver.com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2000년~2023년까지 23년간 국내에서 진행된 소매틱 기반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경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소매틱 기반 프로그램 관련 국내에서 발표된 총 95편(학술지 25편, 학위논문 70편)의 논문을 분류하여 동향을 분석하였고, 프로그램 시행구조에 따른 대상분석과 그에 따른 시행환경 및 프로그램 내용 분석, 프로그램의 연구설계와 대상에 따른 소매틱 기반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경향을 탐색하고자 범주별, 항목별로 빈도분석을 하였다. 이에 따라 분석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표연도, 발표형태, 연구자의 전공, 학문분야별 학과 및 학회, 연구유형의 동향 분석 결과, 발표연도는 2019년부터 2023년에 소매틱을 기반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고, 발표형태는 국내 학위논문에서 가장 많이 발표되었으며, 기타 예술학 관련 전공 연구자가 대부분 차지하여 무용학 관련 분야의 학과 및 학회에서 연구 참여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위논문과 학술지 모두 질적연구방법을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었다. 둘째, 프로그램 시행구조에 대한 분석 결과, 2명 이상으로 편성된 집단형태의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이어 연구대상에 따른 프로그램 시행환경 분석 결과, 11~20차시 이하로 예체능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가장 많았고, 주당 진행 횟수는 1회로 일반대상이 가장 높았으며, 진행시간은 60분 이상으로 예체능계 종사자 대상이 많은 비율을 나타냈다. 또한 소매틱 기반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론은 소매틱 움직임 훈련법과 알렉산더 테크닉을 적용한 프로그램 구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연구설계는 프로그램 개발 후 연구 대상자에 따른 효과 검증을 도출하는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대상에 따른 프로그램 효과를 다중 응답으로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연구대상은 예체능계 종사자이며 효과성 부분에서 예술역량함양, 신체, 인지, 정서, 기타 영역 순으로 많은 비중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소매틱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에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길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ends in the research on Somatic-based programs conducted in Korea over the 23-year period from 2000 to 2023 by analyzing the trends. A total of 95 articles (25 journals and 70 dissertations) published in Korea on Somatic-based program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for trends,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by category and item to explore trends in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Somatic-based programs according to the program implementation structure,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and program content, and research design and target audience.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rends in the year of publication, type of publication, researchers' majors, academic departments and conferences, and research types showed that the most Somatic-based research was conducted from 2019 to 2023, the most publication type was in domestic dissertations, and the highest participation rate in research was found in departments and conferences in dance-related fields, as researchers in other arts-related majors accounted for the majorit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most often in both dissertations and journals. Second, the analysis of the program implementation structure showed that the highest proportion of studies were in the form of groups of two or more people, and the analysis of the program implement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showed that the highest proportion of studies were for performing arts practitioners with 11 to 20 sessions or less, the highest number of sessions per week was for the general public with one session, and the highest proportion of sessions were for performing arts practitioners with a duration of 60 minutes or more. In addition, the analysis of Somatic-based program contents and methodology showed that the most common program composition was the program that applied Somatic movement training method and Alexander technique. Third, the research design showed that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after program development, and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sponse analysis of the program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showed that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performing arts practitioners, and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effectiveness was in artistic development, physical, cognitive, emotional, and other areas. Based on the results, we hope that it will serve as a useful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matic based programs.

Keywords:

Somatic, Somatics, Somatic reserch papers, Reserch trend of somatic studies, Somatic programs

키워드:

소매틱, 소매틱스, 소매틱연구, 소매틱 연구경향, 소매틱 프로그램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3년도 동덕여자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것임.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Dongduk Women's University grant.

References

  • 강대성(2017). 소매틱스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세인식과 신체적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고현숙(2010). 파아노 연구자의 불안과 긴장 완화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 공춘옥(2021). Somatic Experiencing에 관한 국·내외 연구와 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상담심리교육복지 8(6), 9-22
  • 곽미숙 최현주(2023). 국내 무용동작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치료연구 15(3), 363-380.
  • 김경희(2007). 바티니에프 기본원리가 무용치료사의 신체자각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김경희(2016). 소매틱 관점에서의 발레 교수법 연구. 대한무용학회지 74(5), 17-31.
  • 김경희(2017). 소매틱 움직임 교육/치료를 위한 기본 원리 연구. 대한무용학회지 75(1), 21-36.
  • 김규리(2019). 소마틱(somatic) 경험치료와 속성-경험적 역동 심리치료(AEDP)를 활용한 트라우마 치료사례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30(3), 43-66.
  • 김나영(2000). 정신지체 아동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무용/운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 김미경(2005). 효과적인 이완을 위한 배우 훈련에 대한 연구 : 알렉산더 테크닉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예술종합학교.
  • 김보현(2018). 소매틱 필라테스를 위한 지도방법론적 접근.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성태(2008). 연기 훈련을 위한 몸의 인식과 자각과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대학원.
  • 김용환 김정식 박용연 이대영(2004). 체육교육총론, 서울: 형설출판사
  • 김정미(2018). 소매틱 발레 프로그램이 성인여성의 신체/심리 요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예술종합학교.
  • 김정향(2019). 소매틱 기반 표현예술치료가 트라우마 생존자의 외상화된 자기체계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지 77(4), 61-86.
  • 김정향(2020). 신경증 내담자의 소매틱 기반 표현예술치료 사례 연구. 대한무용학회지 78(1), 55-71.
  • 김정향(2023). 성폭력 피해 생존자의 심리적 외상회복을 위한 소매틱 표현예술치료 현상학적 연구. 대한무용학회지 81(1), 21-41.
  • 노성결(2022). 무용전공자들의 섭식태도와 바디이미지 향상을 위한 인지적 심리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예술종합학교.
  • 박민혜(2009). 알렉산더 테크닉을 활용한 효과적인 바이올린 연주 자세 지도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소정(2021). 펠든크라이스 기법을 적용한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 설계와 효과 :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박혜연 조기숙(2016). 소매틱기반 움직임 교육원리 탐색 및 프로그램 개발. 무용역사기록학 42, 141-168.
  • 서예원(2021).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SOMA 힐링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7(2), 81-94.
  • 송화연 김경희(2017). 체현화 경험을 통한 소매틱 움직임 치료 연구: Body-Mind CenteringⓇ을 토대로. 대한무용학회지 75(5), 59-82.
  • 안신정(2016). 사무량심의 가치 재발견과 체화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논문.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 양소영(2009). 피아노 연주자의 불안과 긴장 완화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 여청자(2022). 마음챙김움직임명상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년기 여성의 신체심리 조절력 향상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원상화(2018). 무용동작치료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9(1), 157-181.
  • 원정언(2019). 소매틱 움직임 장기체험자의 몸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 유나래(2016). 창조적 연결성 척도 개발 및 소마중심 표현예술치료를 활용한 PTSD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기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 윤미정(2005). 소매틱 차원에서 본 접촉즉흥무용의 의미와 기능.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윤소희(2016). 신체감각 알아차리기(Somatic Experiencing)참여자들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 이경은(2015). 소매틱 즉흥무용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신체자각, 표현능력 및 창작능력의 변화.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이미금(2014). 연기과 학생의 알렉산더 테크닉 활용 전/후 호흡 및 발성 특성 변화 비교.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 이증문(2015). 토마스 하나의 인간관과 소마틱스.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지희(2010). 국내 무용/동작치료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 이태상(2008). 알렉산더 테크닉이 무용전공대학생의 신체자아인지에 미치는 효과. 한국무용학회지 7(2), 25-34.
  • 이하윤(2011). 공간개념을 활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장애아동의 ‘공간인식능력’에 미치는 효과 : LMA Space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 전미현(2006). 소매틱스(Somatics)에 관한 국내 연구 현황 및 경향 분석. 한국무용기록학회 11, 139-156.
  • 전미현(2008). 소매틱스 이론을 적용한 움직임 교육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기록학회 14, 167-186.
  • 전미현(2009). Body-Mind 통합이론에 따른 움직임 교육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기록학회 16, 207-236.
  • 정미영(2020). 치매노인을 위한 BDPT 소매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표현예술치료의 관점에서.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정수민.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3.12.11). 확 달라진 정신건강정책, ‘예방에서 회복까지’. https://m.korea.kr/news/reporterView.do?newsId=148923017&call_from=naver_news#reporter
  • 정지혜(2022). 소매틱 요가가 액티브시니어의 고유수용감각과 셀프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하연주(2010). 청소년을 위한 소매틱 요가 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허혜리 장현아(2013). 외상 경험자를 위한 국내 예술치료 연구 동향분석. 예술심리치료연구 9(4), 243-266.
  • Cohen, B. B. (2012). Sensing, Feeling, and Action(3rd ed.). Toronto, ON: Contact Editions.
  • Hanna, T. (1976). Field of Somatics. SOMATICS: Magazine-Journal of the Bodily Arts and Sciences, 1(1), 30-34.
  • Howell, M.(1982). Somatic education in public school. Somatics, 3(4), 3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