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1, No. 2, pp.45-57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4
Received 29 Feb 2024 Revised 03 Apr 2024 Accepted 19 Apr 2024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4.41.2.45

한국무용수의 무대공연 전 불안 형성 극복과정의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 연구

이혜경*
*전북특별자치도립 국악원 무용단 예술감독 hklee0306@hanmail.net
A Study on the Underlying Theory of Paradigm Model for the Korean Dancers' Overcoming Pre-Performance Anxiety Formation Process
HeaKyung Lee*
*Artistic Director, Jeonbuk State Gugak Center Dance Company hklee0306@hanmail.net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한국무용수의 무대공연 전 불안 형성 극복과정에서 드러나는 어려움과 행동의 특성들을 탐색함으로써 성공적 공연실행을 위한 실천적 해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무용수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개방코딩(open cording), 축코딩(axial cording), 선택적 코딩(selective cording)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여 불안 형성 극복과정의 개념을 범주화하고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Strauss & Corbin, 1998)을 기반으로 인과적 조건(Causal condition), 맥락적 조건(Contextual condition), 중심 현상(focal phenomena), 중재적 조건(Intervening condition), 작용/상호작용 전략(action and interactional strategies), 결과(consequences)를 구분한 결과, 한국무용수의 무대공연 전 불안 형성 극복과정을 설명하는 중심 현상은 ‘불안 형성’이며, ‘성공적 공연실행조건’이라는 인과적 조건과 함께 ‘성공적 공연실행 불충족’ 이라는 상황적 맥락이 반영되었다. 또한 한국무용수에게 있어서 ‘전달 주요 매개체 무용 동작 연습’, ‘에너지원 호흡하기’의 활용과 같은 스스로 자각 하는 불안극복에 중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몸의 감각 깨우기’, ‘마인드 컨트롤(mind control)’이라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관리는 한국무용수의 불안을 극복하게 해주는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긍정적 영향을 미쳐 성공적 공연실행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 무대공연 전 불안 형성 극복을 위한 무용 심리학 프로그램의 고안이 요청된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and characteristics of behaviors that emerge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pre-performance anxiety formation among Korean dancers, thereby providing practical interpretations for successful performance execu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Korean dancers, and data were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o categorize the concepts of the anxiety overcoming process and to propose by thus a paradigm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Grounded Theory Paradigm Model (Strauss & Corbin, 1998), distinguishing between causal conditions, contextual conditions, focal phenomena, intervening conditions, action and interactional strategies, and consequ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entral phenomenon explaining the process of overcoming pre-performance anxiety formation among Korean dancers is 'anxiety formation', along with the causal condition of 'successful performance execution conditions' and the contextual condition of 'unmet successful performance execution'.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for Korean dancers, the use of 'key mediating body movement practice' and 'breathing as an energy source', among others, plays an intervening role in overcoming anxiety through self-awareness. The management of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such as 'awakening body sensation' and 'mind control' was presented as a factor that helps overcome anxiety. This process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contributing to the success of the performance execution, and based on these results, the design of a dance psychology program for overcoming pre-performance anxiety formation is requested.

Keywords:

Korean dance, stage performance, performance anxiety, anxiety overcoming process, underlying theory

키워드:

한국무용, 무대공연, 공연 불안, 불안 극복과정, 근거이론

References

  • 강희수(2003). 무용전공자들의 심리적요인과 수업만족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구희영(2011). 무용수의 혼잣말(Self-Talk) 개념구조 탐색 연구. 스포츠과학리뷰 5(2), 25~34.
  • 김남식(2018). 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현대무용의 표현성연구-Mary wigman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76(4), 1-14
  • 김한나, 박수영(2022). 발레리나의 정서 표현성 형성 경험에 관한 연구근거이론 방법론 접근. 대한무용학회, 80(1), 73-92.
  • 김계숙(1998). 무용공연 시 심리적 불안의 요인과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9(2), 205-219.
  • 김미경, 이강헌(2002). 무용유형과 학교 급별 여자 무용수들의 공연 전 상태불안. 한국체육학회, 41(5), 491-200.
  • 김미숙, 문영(2000). 심리적 및 신체적 연습에 따른 무용수의 기술수준별 공연상태불안 및 동작수행효과. 대한무용학회논문집, 27, 97-111
  • 김혜정, 함현정(2003). 무용 참가와 완벽 성향 및 무대 불안의 관계. 한국무용학회지, 3, 1-10.
  • 김현숙, 정상훈(2012). 직업무용수의 공연심리요인분석.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0(1), 63-83.
  • 문영(2005). 무용 공연 불안 검사 개발 기초연구1. 한국무용과학회지, 10, 67-79.
  • 손각중(1998). 무용 전공 학생들의 공연 불안 감소를 위한 불안 감소 훈련효과. 대한무용학회논문집, 24, 189-205.
  • 이금용(2019). 호흡 숙련도에 따른 한국춤 돋움세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무용과학회, 36(1), 61-74
  • 이도경(2013). 무용공연 전 심리적 불안이 무용공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용인대학교 대학원.
  • 이연희(2023). 무용수들의 무대공연에 미치는 불안 요인. 한국체육학회지, 25(2), 1-17.
  • 이혜경(2010). 한국무용 기교 발현을 위한 호흡기법 훈련 모형.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 장지은, 이연희(2021). 무대 공연 불안 척도의 내용타당도 검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3(3), 23-35,
  • 조정희(2005). 무용 공연 불안 원인요인 구조분석. 한국 무용 교육무용학회지, 16(2), 175-194
  • 조성덕(2000). 무용공연 불안원인 및 정도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 조현진, 서보순, 박재국, 박량은(2016). 장애대학생의 진로 결정 과정에 대한 근거 이론적 접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7(1), 239-267.
  • 진승화, 문영(2012). 무용수의 성취 목표 성향과 무용 공연 특성 불안의 관계. 대한무용학회, 70(2), 207-222.
  • 최재희(2012). 무용동작 발현과정에서 호흡과 동작의 연관성. 한국무용기록학회, 26, 163-179.
  • 황규자, 유지영(2010). 무용전공자의 주의집중유형과 공연불안요인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21, 1-15.
  • Landers, D. M.(1980). Motivation and performance: The role of arousal and attentional factors.In W. F. Straub(Ed.), port psychology: Ananalysis of athlete behavior(2nd ed.). Ithaca, New York: Movement Publications.
  • Strauss, A. (1987).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17/CBO9780511557842]
  • Strauss, A., & Corbin, J. (1994).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n overview. In N. K. Denzin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 273-285). Thousand Oaks, CA, US: Sage Publications, Inc.
  •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2nd ed.), Thousand Oak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