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챙김 기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느린학습자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몸적 알아차림에 의한 정서 조절과 자원 강화를 중점으로 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느린학습자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표집은 유의 표집 방법(purposive sampling method)을 적용하여 지역 느린학습자 커뮤니티를 통해 만13세~18세의 남·여 느린학습자 청소년 12명을 모집하고 6주간 회기당 90분씩, 총 12회기 동안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 절차는 Sussman(2001)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였으며, 측정 도구는 심리적 안녕감 척도지(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BS)와 자아 탄력성 지수(Resilience Quotient Test, RQT)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단일집단 사전-사후 비교 연구(A single group pre-post test comparative study)로 설계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한 통계적 분석은 대응표본 t 검정(Paired sample t-test)과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 - rank test)을 실시하였다(p<.05). 연구의 결과는 통합예술치료가 느린학습자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p<.01)과 자아탄력성(p<.001)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의사소통으로서 예술 매체를 활용하고 경험에 몰입하고 내면을 들여다보는 창조적 예술과정으로서의 변형 경험을 몸적으로 자원화하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 탄력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몸챙김에 기반한 통합예술치료가 느린학습자의 대인관계에서 불안정한 정서 경험의 누적으로 나타나는 정서적 위축을 개선하기 위한 접근 및 방법론으로서의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후속 연구에 쓰일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focusing on emotional regulation and resource strengthening through bodily awarenes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go resilience of slow learners.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elect research subjects, recruiting 12 male and female slow learner adolescents aged 13 to 18 through the local slow learner community, and conducting a total of 12 sessions, 90 minutes per session, for 6 weeks. During this period, an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was applied. The research procedure was to develop and implement a program based on Sussman's (2001) program development model, and the measurement tools wer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BS) and the Resilience Quotient Test (RQT). It was designed as a single group pre-post test comparative study and statistical analysis to verify the program effect was performed paired sample t-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performed(p<.05).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tegrated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p<.01) and ego resilience (p<.001) of slow learner adolescents.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an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that utilizes art media as communication, immerses oneself in experience, and physically utilizes transformative experiences as a creative art process to look into one's inner self promot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go resilience.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integrated art therapy based on body mindfulness can be used in follow-up research by presenting data as an approach and methodology to improve the emotional withdrawal that appears due to the accumulation of unstable emotional experiences in slow learn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Keywords:
Bodyfulness, Integrated Arts Therapy, Slow learner, Psychological well-being, Ego resilience키워드:
몸챙김, 통합예술치료, 느린학습자, 심리적 안녕감, 자아 탄력성References
- 김경은, 민하영 (2021). 남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30(3), 401-413.
-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5(2), 19-39.
- 김미옥(2003). 고등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여가활용 실태와 여가활성화 방안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선희 (2009). 청소년의 음악듣기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음악교육, 10, 63-82.
- 김은경 (2017). 고등학생의 건강행위와 우울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한국학교보건학회지, 30(2), 174-180.
- 김은미, 이종연 (2015). 연인과의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 대처를 매개변인으로. 상담학연구, 16(1), 147-174.
- 김진아, 강옥려 (2017). 경계선급 지능 아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학습장애연구, 14(3), 157-184.
- 김창대, 김형수, 신을진, 이상희, 최한나 (2011).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학지사.
- 김태은 (2016). 경계선 지능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 김현서 (2020). 남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긍정 반추에 매개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혜정 (2016). 통합적 독서치료프로그램을 활용한 사회적 기술 증진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 문요한 (2019). 이제 몸을 챙깁니다. 서울: 해냄출판사.
- 변관석, 신진숙 (2017). 경계선 지능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9(1), 79-109.
- 박미정, 박경란 (2019). 일상생활중심 대화식 저널쓰기가 경계선지능 언어발달지체학생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6), 369-389.
- 박소희, 이은주 (2022). 경계선지능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 동향: 연구대상자 선정 기준을 중심으로. 특수교육논총, 38(3), 141-164.
- 박원주, 이기학 (2010).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이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긍정정서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1(2), 795-808.
- 박원주 (2016). 자아탄력성이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7), 117-141.
- 박현숙 (2018).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 선별 체크리스트: 타당화와 하위특성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소선숙, 김동옥, 최은정 (2017).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적응의 통합모형 신경망분석. 청소년학연구, 24(8), 357-382.
- 송현주, 황순택 (2017). 청소년의 삶의 만족과 내재화, 외현화 문제. 청소년학연구, 24(2), 33-58.
- 엄경남, 이재경, 문정희 (2019). 느린 학습자 지원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학습권 보호를 중심으로. 느린학습자 지원정책수립 기초연구보고. 서울: 서울시 동북권 NPO 지원센터.
- 여인동 (2023). 복합외상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외상중심 인지행동치료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 오영숙(2010). 초등학교 고학년에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사회극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 오자영 (2011). 사회적 문제해결 훈련프로그램이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또래와 교사의 상호작용기술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 유순화 (2014).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16(2), 183-202.
- 이금진 (2017). 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의 학교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 Q방법론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2), 384-393.
- 이대식 (2022). 학습장애 등 경도장애 학생과 2022개정 교육과정: 쟁점과 제안. 2022년 한국학습장애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표 PPT.
- 이바름 (2019). 경계선 지능 청소년의 자기표현력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 이상미, 임정하 (2015). 청소년의 기질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7(2), 121-135.
- 이선영 (2008).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적응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 이재연 (2008).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특성. 특수교육학연구, 42(4), 43-66.
- 이정명 (2015). 트라우마 생존자를 위한 움직임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참여자 체험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 이연수 (2015). 경계선 지적 기능 청소년을 위한 무용동작치료 S.D.T 프로그램 개발 및 체험사례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장휘숙 (2011). 청년기의 가까운 사회적 관계와 부모 및 친구의 애착기능. 한국심리학회지, 24(3), 19-34.
- 정희정 (2006).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특성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 주은미, 최승숙 (2020). 경계선 지적기능 학습자의 사회성 기술 중재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장애연구, 17(1), 223-251.
- 추언아, 남현우 (2017). 무용동작치료가 경계선 지적 기능 방임 청소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1(2) 23-42.
- 추언아 (2020).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가 비행청소년들의 신체·심리 및 생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 하정숙 (2017). 느린 학습자를 위한 맞춤형 교육 중재. 서울: 한국연구재단.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n(DSM-IV). Arlington, VA: Author.
- Arslan, G.., & Coşkun, M. (2020). Student Subjective Wellbeing, School Function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High School Adolescents: A Latent Variable Analysis. Journal of Positive School Psychology, 4(2), 153-164. [https://doi.org/10.47602/jpsp.v4i2.231]
- Barrett, L. F. (2017). How Emotions Are Made. 최호영 역(2017). 경기: 생각연구소.
- BIF Consensus Group. (2017). Recommendations for caring for people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arcelona: Generalitat de Catalunya.
-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 Deci, E. L., & Ryan, R. M. (2008). Facilitating optimal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ross life's domains. Canadian Psychology, 49(1), 182-185. [https://doi.org/10.1037/0708-5591.49.1.14]
- Domschke, K., Stevens, S., Pfleiderer, B., Gerlach, A. L., (2010). Interoceptive sensitivity in anxiety and anxiety disorders: An overview and integration of neurbiological findings.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1), 1-11. [https://doi.org/10.1016/j.cpr.2009.08.008]
- Farb, N., Daubenmier, J., Price, C. J., Gard, T.,Kerr, C., Dunn, B. D., ... Mehling, W. E. (2015). Interoception, contemplative practice, and health. Frontiers in psychology, 6, 763. [https://doi.org/10.3389/fpsyg.2015.00763]
- Flouri, E., & Buchanan, A. (2003). The role of father involvement and mother involvement i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33(3), 399-406. [https://doi.org/10.1093/bjsw/33.3.399]
- Fosha, D., Sigel, D. J., Soloman, M. F., Panksepp, J., Porges, S. W., Trevartben, C., Tranick, E., Shore, A. N., Ogden, P., Johnson, S., Hughes, D. (2009). The Healing Power of Emotion, 노경선, 김건종 역(2013). 경기: 눈출판그룹.
- Fredrickson, B. L. (2004).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Biological Sciences, 359, 1367-1377. [https://doi.org/10.1098/rstb.2004.1512]
- Garcia, D., & Moradi, S. (2013). The affective temperaments and well-being: Swedish and Irania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4(2), 689-707. [https://doi.org/10.1007/s10902-012-9349-z]
- Garmezy, N. (1993). Children at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Psychiatry, 56, 127-136. [https://doi.org/10.1080/00332747.1993.11024627]
- Genelin, E. T. (1991). Focusing-Oriented Psychotherapy: A Manual of the Experiential Method. New York: guilford Press.
- Halprin, D. (2003). Expressive Body in Life, Art, and Therapy: Working with Movement, Metaphor and Meaning. 이정명, 김용량, 오은영 역(2006). 서울: 시그마프레스.
- Hoyt, L. T., Chase-Lansdale, P. L., McDade, T. W., & Adam, E. K. (2012). Positive Youth, Healthy Adults: Does Positive Well-being in Adolescence Predict better Perceived Health and Fewer Risky Health Behaviors in Young Adulthood?.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50(1), 66-73.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11.05.002]
- Huppert, F. A. (2009). Psychological Well‐being: Evidence Regarding its Causes and Consequences. Applied Psychology: Health and Well‐Being, 1(2), 137-164. [https://doi.org/10.1111/j.1758-0854.2009.01008.x]
- Kansky, J., & Diener, E. (2017). Benefits of Well-being: Health, Social Relationships, Work, and Resilienc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and Well being, 1(2), 129-169.
- Klohnen, E. C.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1067-1079. [https://doi.org/10.1037/0022-3514.70.5.1067]
- Kumpfer, K. L. (1999). Outcome Measures of Interventions in the Study of Children of Substance-abusing Parent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103(2), 1084-1128. [https://doi.org/10.1542/peds.103.S2.1128]
- Levine, P. A. (2008). Healing Trauma: A Pioneering Program for Restoring the Wisdom of Your Body. 서주희 역(2014). 서울: 학지사.
- Lowen, A. (1975). Bioenergetics. NewYork: Coward-McCann.
- Lyubomirsky, S., Sheldon, K. M., & Schkade, D. (2005). Pursuing happiness: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le chang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9, 111–131. [https://doi.org/10.1037/1089-2680.9.2.111]
- Masten, A. S. (2001).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6(3), 227-238.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27]
- Mayordomo, T., Viguer, P., Sales, A., Satorres, E., & Meléndez, J. C. (2016). Resilience and Coping as Predictors of Well-being in Adults. The Journal of Psychology, 150(7), 809-821. [https://doi.org/10.1080/00223980.2016.1203276]
- McDowell, I., & Newell, C. (1996).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NY: Oxford University Press.
- Nieuwenhuijzen, M. V., & Vriens, A. (2012). Social cognitive skills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in children with mild to borderline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3(2), 426-434. [https://doi.org/10.1016/j.ridd.2011.09.025]
- O’Connell-Higgins, R. (1983).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Capacity for Intimacy : Qualifying paper. Ha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Porges, S. W. (2017). The Pocket Guide to The Polyvagal Theory, 노경선 역(2020). 서울: 위즈덤하우스.
- Rappaport, L. (2009). Focusing-Oriented Art Therapy: Accessing the Body’s Wisdom and Creative Intelligence.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 Reddy, G. L., Ramar. R., & Kusuma, A.(2010). Slow Learners: Their Psychology and Instruction. 박현숙 역(2013), 서울: 학지사.
- Rogers, N. (1993). The Creative Connection: Expressive Arts as Healing. 이정명, 전미향, 전태옥 역(2007). 서울: 시그마프레스.
-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 Seltzer, M. M., Floyd, F. J., Greenberg, J., Lunds, J., Lindstrom, M., & Hong, J. (2005). Life course impacts of mild intellectual deficits.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110(6), 451-468. [https://doi.org/10.1352/0895-8017(2005)110[451:LCIOMI]2.0.CO;2]
- Soenen S., Van Berckelaer-Onnes, I. A., & Scholte, E. M. (2016). A comparison of support for two groups of young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British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y 44, 146–158. [https://doi.org/10.1111/bld.12127]
- Sussman, S. (2001). Handbook of program development for Health Behavior Research and practice. Oaks: Sage publcations. [https://doi.org/10.4135/9781412991445]
- Utsey, S. O., Hook, J. N., Fischer, N., & Belvet, B. (2008). Cultural orientation, ego resilience, and optimism as predi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in African American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5(1), 202-210. [https://doi.org/10.1080/17439760801999610]
- Winnicott, D. W. (1985). Deprlvation and Dellnquency. 이재훈외 역(2001).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