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1, No. 1, pp.79-92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24
Received 30 Nov 2023 Revised 31 Dec 2023 Accepted 19 Jan 2024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4.41.1.79

중견무용수들의 한국전통춤 무대 경험 내러티브 연구

고효영* ; 유영수**
*제1저자, 동덕여자대학교 무용융합콘텐츠학 박사 hyobaby-55@hanmail.net
**교신저자, 전주대사습청 관장 puri97@hanmail.net.
A study on the Narrativ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Stage Experience by Middle-aged Dancers
Hyoyoung Koh* ; Youngsoo Yoo**
*Ph.D, Department of Dance Convergence Contents, Dongduck Women’s University hyobaby-55@hanmail.net
**Director, Jeonju Daesaseupcheong puri97@hanmail.net.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한국전통춤을 토대로 다양한 무용콘텐츠 개발을 통해 끊임없이 혁신 및 발전시키고 있는 중견무용수를 바탕으로 이들의 한국전통춤에 대한 가치확장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지원사업의 기준을 바탕으로 중견무용수 5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한 연구 참여자의 경험으로부터 심층적 이해를 돕기 위해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따라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대라는 곳은 중견무용수 시점에서 자유로운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한국전통춤에 각자가 지닌 자신만의 이야기를 담아 작품을 풀어내는 것을 분석할 수 있었다. 둘째, 중견무용수들은 무대 위 ‘현장인’으로서 다채로운 무대를 고사(考査)하여 스스로 발전해 나가는 것을 분석할 수 있었다. 셋째, 중견무용수에게 있어 한국전통춤의 공연수행은 행보(行步)를 거듭하여 다양한 수용을 통해 진화(進化)하는 무대로 만들어 가는 것을 분석할 수 있었다. 이에 중견무용수는 빠르게 변화하는 현시대와 나란히 마주하여 새로운 콘텐츠 개발을 지속적으로 시도해 진화하는 무대를 만들어 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전통춤이라는 주체를 통해 시대 및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가변성으로부터 한국전통춤 활성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 사료되고, 이에 있어 중견무용수들의 한국전통춤 가치확장성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판단되다. 앞으로 중견무용수에 관한 경험 중심 연구 사례에 보탬이 되길 바라며, 이와 더불어 연구 대상 범위의 확장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하는 바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ue expandabilit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based on middle-aged dancers who are constantly innovating and develop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dance content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dance. Accordingly, five middle-aged danc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based on the standards of the support project promoted by Seoul City, and a narr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facilitat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refore, the conclusions drawn are as follows. First, the stage was perceived as a free space from the point of view of a mid-level dancer, and it was possible to analyze how each dancer told their own story in traditional Korean dance. Second, middle-aged dancers were able to analyze their own development by considering various stages as ‘field experts’ on stage. Third,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at for mid-level dancers, the performanc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s a stage that evolves through various acceptances through repeated steps. As a result, middle-aged dancers were able to create an evolving stage by continuously trying to develop new content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current times.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the subjec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w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from the variability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times and circumstances, and in this regard, the potential for the expansion of the valu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by middle-aged dancers is endless. In the future, we hope that it will be useful for experience-based research cases on middle-aged dancers, and it is also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expanding the scope of research.

Keywords:

middle-aged dancers, Korean traditional dance, narrative inquiry, Value scalability, dance content

키워드:

중견무용수, 한국전통춤, 내러티브 연구, 가치확장성, 무용콘텐츠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2년 고효영의 박사학위논문을 수정·보완한 연구임.

This study is a revised and supplemented thesis for the 2022 doctoral thesis “Narrative study on Stage Experiences by Middle-aged

References

  • 고효영(2022).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의 무대 경험 내러티브 탐구. 동덕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 김다희(2015). 직업무용수의 자기결정성 동기가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 15(1), 29-38.
  • 김미숙(2015). 기혼 여성 무용가의 직업적 무용활동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무용연구, 33(2), 77-80.
  • 김민주, 노정식(2019). 무용전공자의 지도자 신뢰 형성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36(4), 95-112.
  • 김예진, 윤혜선(2021).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실습 과정에 대한 무용전공자의 경험 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38(2), 29-47.
  • 김한범(2017). 학생선수의 운동부 정체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 노정식(2009). 무용수의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관리, 공연불안 및 공연몰입의 관계. 성균관대학교박사학위논문.
  • 손원미, 전순희(2021). 무용을 전공한 요가 필라테스 강사의 직업적 활동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무용연구학회, 39(4), 77-105.
  • 송시윤(2019). 직업무용수의 성취목표 성향과 자기관리가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무용역사기록학, 55, 161-178.
  • 염지숙(2007).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교수경험에 대한 성찰, 한국교원교육연구, 24(2), 243-260.
  • 염지숙(1999).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 통한 유아 세계 이해: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1학년으로의 전이 경험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2(3), 57-82.
  • 윤덕경(2010). 한국전통춤 전승과 보존에 관한 현황과 과제. 한국무용연구, 28(2), 57-76.
  • 이규승(2023.11.12.). 전 무용인의 대화합의 장, 제44회 서울무용제 개막 현장을 가다!. OhmyStar오마이뉴스. https://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977013
  • 이도경(2012). 무용공연 전 심리적 불안이 무용공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박사학위논문.
  • 이진이(2016). ‘체화된 인지’ 개념에 근거한 무용에서의 경험과 공감 연구. 국민대학교박사학위논문.
  • 임선영, 이연수(2013). 전문무용수의 자기결정성동기가 심리적 중재요인 및 공연참여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0(1), 69-89.
  • 이윤경(2023). 직업무용수의 자기애적 성향이 공연자신감 및 성공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40(3), 51-62.
  • 이혁(2016). 지방 예술대학 무용과의 위기 극복을 위한 모색. 영남춤학회, 4(1), 55-72.
  • 전미애(2017). 직업무용수들의 완벽주의성향과 무용열정 및 무용몰입의 구조적 관계. 한국무용연구, 35(3), 355-377.
  • 정석현(2021.11.17.). 미래의 전통을 만나는 자리, 국립무용단‘홀춤Ⅱ’. 우리문화신문. https://www.koya-culture.com/mobile/article.html?no=132963
  • 정승혜(2013). 무용수행시 정서표현의 억제 및 활성화 요인 탐색. 한국교원대학교박사학위논문.
  • 조정희(2005). 무용공연불안 원인과 대처행동에 관한 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 최은혜(2018). 직업무용수들의 자기관리행동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6(2), 679-688.
  • 황희정(2014). 전통춤의 창조적 계승과 무형문화재 제도의 양립 가능성 연구. 무용역사기록학, 46, 37-53.
  •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 San Francisco: Jossey B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