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0, No. 4, pp.75-94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3
Received 28 Aug 2023 Revised 02 Oct 2023 Accepted 02 Oct 2023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3.40.4.75

대학 무용전공자의 온라인 무용교육 영상 콘텐츠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 탐색

김예진* ; 윤혜선**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 무용과 강사 nana1729@hanmail.net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 무용과 부교수 dasoma40@naver.com
Exploring the Components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Dance Education Video Content for University Dance Majors
Yeh-Jin Kim* ; Hye-Sun Yoon**
*Instructor, College of Performing Arts, Department of Dance, Dongduk Women's Univ. nana1729@hanmail.net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Performing Arts, Department of Dance, Dongduk Women's Univ. dasoma40@naver.com


CopyrightⒸ 2023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대학 무용전공 수업 중 문화예술교육사 양성을 위한 ‘무용교육론’ 교과목의 학습과정을 통해 온라인 무용교육 영상 콘텐츠 개발과정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무용전공자로 하여금 무용교육 영상 콘텐츠 개발을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 대상은 서울소재의 D여자대학교에서 2021년 2학기와 2022년 2학기에 걸쳐 시행한 ‘무용교육론’ 수업을 수강하는 무용과 재학생 62명을 선정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온라인 무용교육 영상 콘텐츠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 탐색을 위한 연구방법으로 관련 선행연구의 분석과 더불어 무용전공자의 학습과정에서 시행한 개방형 설문과 체크리스트를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첫째, ‘무용전공자의 온라인 무용 영상 콘텐츠 선호도 및 온라인 학습에 대한 요구도’로 응답내용의 분석결과 ‘무용전공자의 온라인 무용 영상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 ‘무용전공자의 온라인 무용교육 학습에 대한 요구도’에 대한 경험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온라인 무용교육 영상 콘텐츠 개발을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는 무용전공자의 응답내용의 의미와 선행연구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온라인 무용교육 영상 콘텐츠 개발을 위한 운영 구성요소’, ‘온라인 무용교육 영상 콘텐츠 개발을 위한 내용 구성요소’로 유형을 범주화하였고 ‘운영방식’, ‘공간활용’, ‘매체활용’, ‘몰입요소’로 운영 구성요소의 내용을 도출하였고, ‘교육영역’, ‘교육목적’, ‘융합형태’로 내용 구성요소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셋째, ‘무용전공자의 온라인 무용교육 영상 콘텐츠 개발과정에서 구성요소 적용에 대한 평가’는 무용전공자의 진술내용을 분석한 결과 ‘온라인 무용교육 영상 콘텐츠 개발과정에서 운영 구성요소 적용에 대한 평가 ’, ‘온라인 무용교육 영상 콘텐츠 개발과정에서 내용 구성요소 적용에 대한 평가’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현시대 무용전공자에게 요구되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효과적인 무용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pecific component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dance education video content by providing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online dance education videos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of the "Dance Education Theory" course, which is designed for the cultivation of cultural arts education experts among university dance majors. For this purpose, 62 dance majors who took the "Dance Education Theory" course at D Women's University in Seoul during the 2nd semester of 2021 and 2022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 addition, to explore the component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dance education video content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relevant previous studies was combined with open-ended surveys and checklists conducted during the learning process of dance majors and used as analytical data. Thes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seeking effective dance education methods that can cultivate digital media literacy skills required by contemporary dance majors.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first, the analysis of the responses to 'Preference for Online Dance Video Content and Demand for Online Dance Learning among Dance Majors' revealed the preference for online dance video content and the demand for online dance education among dance majors. Second, the necessary components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dance education video content were categorized into operational components and content components by integrating the meaning of the responses from dance majors and previous studies. The operational components were derived as 'operational methods', 'space utilization', 'media utilization', and 'immersion factors', while the content components were formed as 'educational areas', 'educational objectives', and 'integrative forms'. Third, the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component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online dance education video content was analyzed based on the statements of dance majors, resulting in the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of operational components and content components. These research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exploring effective dance education methods that can enhance the digital media literacy competencies required by contemporary dance majors.

Keywords:

Cultural arts education, Dance major, Dance education, Video content

키워드:

문화예술교육사, 무용전공자, 무용교육, 영상 콘텐츠

References

  • 강민정, 정은주, 조해윤(2020). Z세대가 즐기는 유튜브 채널의 몰입 요인과 특징. 한국콘텐츠학회, 20(2), 150-161.
  • 고현정(2022). 트랜스리터러시 비대면 무용교육 사례를 통한 디지털 정체성 고찰. 한국무용교육학회, 32(3), 19-29.
  • 교육부(2020.3.27.).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운영 기준안 마련.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s://if-blog.tistory.com/10148, .
  • 김가은, 홍미성(2022). 무용지도자의 비대면 무용수업 실태분석을 통한 포스트코로나 미래 무용교육 방안 연구. 한국체육학회, 61(1), 247-267.
  • 김경태(2020). ADDIE모형을 활용한 종묘제례학 원격수업도구 개발. 음악교육공학, 44, 63-85.
  • 김광현(2020). 1인 미디어 무용 콘텐츠 현황 분석: 유튜브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78(3), 25-39.
  • 김규진(2020). 온라인 무용교육의 유형 분석 및 교육효과 차이 연구. 대한무용학회, 78(5), 21-35.
  • 김상미(2020). 융합미술교육을 위한 표현매체 확장 가능성 연구: 뉴미디어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교육학회, 15(1), 143-178.
  • 김영주(2002). 인터넷 미디어의 통합적 수요·공급체계에 관한 연구: 인터넷 방송 서비스의 공급과 소비메커니즘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 김형진, 정효정(2021). 유튜브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Global Creative Leader:Education & Learning. 11 (2). 31-55.
  • 김화숙, 류분순, 신은경, 신정희, 임혜자, 오레지나, 한혜리(2013). 무용교육론. 서울: 한학문화.
  • 류지헌, 김민정, 김소영, 김혜원, 손찬희, 이영민, 임걸(2015).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 민경화, 최정인(2015). 영상무용: 표현의 확장성과 콘텐츠로서의 가능성 연구: Divine Waters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73(6), 69-103.
  • 박선희, 김선환(2014). ADDIE 모형기반의 진로교육 과과목 개발. 학습과학연구, 8(2), 130-152.
  • 박윤정, 이광호, 이헌수(2022).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대한 대학일반수학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지, 22(1), 324-336.
  • 박혜란(2022). ADDIE 모형을 적용한 수업 만족도 연구. 인문사회21, 13(2), 1667-1678.
  • 박혜진, 안미리, 홍경화(2016).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무용교육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무용교육학회, 27(2), 171-188.
  • 변영계(2017). 교수·학습 이론의 이해. 서울: 학지사.
  • 오지아, 서제희(2021). 유튜브 미술콘텐츠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조형교육, 78, 103-127.
  • 유인영(2023.04.27.). 美 에듀테크 시장 성장 가속화. KOTRA 해외시장뉴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80&CONTENTS_NO=1&bbsGbn=243&bbsSn=243&pNttSn=202101
  • 윤혜선, 김예진(2016). 국내 유아 대상 통합적 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무용의 적용에 관한 연구동향. 한국무용과학회, 33(4), 17-32.
  • 이강순, 김행화(2022). 온라인 무용교육봉사 프로그램 운영 및 지도 방향 탐색. 한국초등체육학회, 28(10), 123-135.
  • 이유리(2020). 언택트 시대, 무용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에 관한 문화적 해석. 문화예술교육연구, 15(6), 79-97.
  • 이정민 (2020). 언택트 시대 가상공간에서의 움직임과 소통: 미국NDEO의 온라인 무용교육 사례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31(3). 63-81.
  • 이지연(2014). 영상 제작을 통한 미술교과 기반 인성교육의 실천적 이해.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8, 135-159.
  • 이지혜(2018). 국내 온라인 공개 무용강좌 현황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9(1), 83-101.
  • 정새봄, 원도연, 장영진(2016). 무용영상콘텐츠의 정보서비스 이용에 대한 상호작용성 인식과 이용지속의도에 관한 연구: 유투브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55(3), 349-363.
  • 정지혜, 조남규(2022). 비대면 실기 수업을 위한 온라인 무용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기초 조사 연구. 한국무용과학회, 39(3), 59-77.
  • 최경희(2002). 무용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 미국의 교육내용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 13(1), 15-52.
  • 탁지현(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 문화예술교육 향유 쟁점. 한국무용교육학회, 31(4), 49-64.
  • 허난(2015).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의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교수, 학습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29(2), 197-214.
  • 현보람(2022). 유튜브를 활용한 무용인식 분석. 한국융합과학회지. 11(3). 244-258.
  • 현혜연(2020). 팬데믹 시대 온라인 비대면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과 과제:꿈다락토요문화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예술교육연구. 18(4). 99-118.
  • 홍미성, 김가은(2020). Z세대 무용전공생의 유튜브(YouTube) 이용실태 분석. 한국무용과학회, 37(2), 1-20.
  • Ahn, J. I., Kim, Y. E., Jeon, G. R., & Choi, J. H. (2019).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competence: Focusing on media education expert groups.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36(1), 49-87. http://doi.org/10.36494/JCAS.2019.03.36.1.49 ☞ 국문: 안정임, 김양은, 전경란, 최진호(2019).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인식의 전문가 집단 간 동질성과 차별성.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6(1), 49-87. [https://doi.org/10.36494/JCAS.2019.03.36.1.49]
  • Friedman, H. & Friedman, L.(2001). Crises in education: Online learning as a solution. Creative Education, 2 (3), 156~163. [https://doi.org/10.4236/ce.2011.23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