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모델링 기반 국내 공연 흥행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YONSEI Univ.
CopyrightⒸ 2019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공연예술시장의 침체기가 지속됨에 따라 성공적인 관객 유치가 공연예술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거 국내에서 열렸던 공연들의 전문가 리뷰와 관객평점을 통해 전체적인 이해와 더불어 제안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공연예술시장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인터뷰 혹은 설문조사 방법론을 사용해 영향요인을 확인하거나 검증하는데 머물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각 기관별 실증적인 공연예술시장 흥행 전략 방안을 제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연별 전문가 리뷰를 수집한 후 상위평점공연, 하위평점공연으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상위평점공연 관련 토픽은 유럽내한공연, 서구 근대역사를 배경, 프랑스뮤지컬, 정치/권력, 고대역사를 배경으로 도출되었고, 하위평점공연 관련 토픽은 국내 역사를 배경, 가족애, 연인간의 사랑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워드클라우드를 통해 상위평점공연과 하위평점공연 각각의 빈출 단어를 시각화했다. 본 연구는 결과를 통해 실현 가능한 기관별 정책 제안을 하였다.
Abstract
As the market for performing arts continues to decline, attracting audiences has become a hot topic in performing art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making a proposal by analyzing the reviews and audience ratings of performances that were held in Korea in the past. Existing studies on the performing arts market have only identified or validated influencing factors using interviews or survey methodologies. Also, based on these researches, there is no research suggesting a strategy for promoting the performing art market in each institution. Therefore, this study collected reviews in performances and then classified them into high-rating performances and lowrating performance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opics related to the high-rating performances were the performances in Europe, Western modern history, French musicals, politics / power, and ancient history. The topics related to low-rating performances were the domestic history, family love, and love between lovers. In addition, through word cloud, we visualized the high frequency words of high and low rating performances respectively. Finally, this study made possible institutional policy proposals.
Keywords:
Performing Arts, Text Mining, Topic Modeling, Data Visualization, Policy Suggestion키워드:
공연예술, 텍스트 마이닝, 토픽 모델링, 데이터 시각화, 정책제안References
- 강범일, 송민, 조화순. (2013).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신문 자료의 오피니언 마이닝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4), 315-334. [https://doi.org/10.4275/KSLIS.2013.47.4.315]
- 구은자, 박수진, 안성식. (2016). 공연예술에 대한 가치가 태도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9), 543-551. [https://doi.org/10.5762/KAIS.2016.17.9.543]
- 권혁인, 정순규, 최용석. (2015). 관객유형에 따른 공연관람 구매의사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2), 139-150.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139]
- 김선영, 이의신. (2017). 관객개발을 위한 공연예술 소비자 빅데이터 분석 사례 고찰.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8(12), 286-299.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286]
- 남정미, 유소이. (2015). 계획적 행동이론의 확장모델을 적용한 공연예술상품의 소비자 행동분석. 소비문화연구. 18, 63-88. [https://doi.org/10.17053/jcc.2015.18.2.004]
- 문화체육관광부(2015), 2015 공연예술 실태조사
- 박상현 (2018.2.19.). 불황에 퇴보하는 공연시장…공연장 가동률 60%도 위태로워.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80219037000005, .
- 성제환. (2012). 문화 소비자본이 문화· 예술상품 수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문화경제연구. 15(1), 67-93.
- 신성윤, 이양원. (2009). 한국어 정보처리를 위한 명사 및 키워드 추출.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4(3), 51-56.
- 이은미, 정영기. (2017). 공연예술 관람 활성화를 위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42, 211-247.
- 이현우 (2011.7.27.). 해외 톱★ 내한공연 `거품에 사기꾼까지‥`.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entertain/view/2011/07/486503/, .
- 차윤정, 이지혜, 최지은, 김희웅. (2015). 소셜미디어 토픽모델링을 통한스마트폰 마케팅 전략 수립 지원. 지식경영연구. 16(4), 69-87. [https://doi.org/10.15813/kmr.2015.16.4.005]
- 황희경 (2018.1.17.) 지난해 공연시장 가장 큰 손은 '30대 여성'. 연합뉴스, https://m.yna.co.kr/view/AKR20180117173700005, .
- Blei, D. M., Ng, A. Y., & Jordan, M. I. (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Jan), 993-1022.
- de Rooij, P., & Bastiaansen, M. (2017). Understanding and measuring consumption motives in the performing arts. The Journal of Arts Management, Law, and Society. 47(2), 118-135. [https://doi.org/10.1080/10632921.2016.1259132]
- Kolhede, E. J., & Gomez-Arias, J. T. (2016). Segmentation of infrequent performing arts consumers. Arts and the Market. 6(1), 88-110. [https://doi.org/10.1108/AAM-04-2014-0015]
- Rhine, A. S., & Murnin, P. M. (2018). Day, duration, and start time: are the arts providing what their audiences require?. Arts and the Market. 8(1), 19-29. [https://doi.org/10.1108/AAM-12-2017-0027]
- Stockinger, Hanna.(2015): Consumers’ Perception of Augmented Reality as an Emerging end User Technology: Social Media Monitoring Applied. KI-Künstliche Intelligenz. 29. 4, 419-439. [https://doi.org/10.1007/s13218-015-03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