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6, No. 2, pp.43-60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9
Received 25 Feb 2019 Revised 28 Mar 2019 Accepted 16 Apr 2019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9.36.2.43

“댄스 리터러시” 개념 틀에 근거한 한국무용 핵심요인의 탐색

김현정*
서울대학교
An Exploratory Study of the Korean Dance essential elements based on Conception of dance literacy
Kim, Hyun-Jung*
Seoul National Univ.

Correspondence to: * hyun3045@naver.com

CopyrightⒸ 2019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현재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문화예술 소양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에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무용에 대한 관심이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목적으로 제시된 댄스리터러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기에, 이를 한국무용에 적용하여 볼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인 댄스리터러시의 개념에 근거하여 한국무용의 핵심요인(목표, 내용, 세부요소)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지금까지 한국무용 연구들을 댄스리터러시의 구성요소인 무용능, 무용지, 무용심을 기준으로 문헌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무용 능은 한국무용의 기능적 예술표현하기 위함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무용의 신체, 음악, 감정, 표현의 내용을 이해해야 한다. 이는 한국무용의 동작과 장단, 호흡, 동선의 세부요소들을 통해 실천해 볼 수 있겠다. 둘째, 한국무용 지는 한국무용의 인지적 이해를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한국의 문화와 역사, 철학, 예술의 내용을 통해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무용사와 기록법, 안무법, 창작법의 세부요소들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셋째, 한국무용 심은 한국무용을 심미적 상태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내용으로 감성과 영성, 종교, 미학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는 세부요소인 음양오행과 태극사상, 천인합일사상, 인(仁), 덕(德), 정(情)의 이념에 대한 이해가 한국무용을 수준 높은 경지로 즐길 수 있게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맥락에서 한국무용에 대해 논의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지며, 이는 여러 한국무용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로는 실제 교육 현장의 교육 강사들을 통해 얻어지는 교수방법 및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Abstract

Now days concern and practice about dance as Culture and Art Education that purpose is to have Culture and Art literacy. However, the concern insufficient about Korean Dance that is par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Since recently Many study have been being about Dance literacy that purpose of dance education as Culture and Art education, Dance Literacy concept is able to apply to Korean Dance study.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plore the Korean Dance essential elements(purpose, contents, factor) based on conception of dance literacy.

The research method of the study is literature analysis about Korean Dance studies by dance competence, dance knowledge, dance disposition that elements of dance literacy. The research result of the first, Korean dance competence is that the purpose of know how to do art expression skill of Korean Dance. To do this, we should understand contents about of korean dance body, music, emotion and expression. It can express through factor of movement, rhythm, breathing, moving line. Second, the purpose of Korean Dance knowledge is cognitive understanding of Korean Dance. To do this, we should understand contents about of Korean culture, history, philosophy and arts. It can get through factors that Korean Dance history, dance notation and creative method. Third, the purpose of Korean Dance disposition is understanding aesthetic state of Korean Dance. We can understand through contents about sensitivity, spirituality, religion and aesthetic. If it can understand through factors that Yin-Yang and five elements, Taeguk philosophy,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philosophy, benevolence(仁), virtue (德), affection(情), you will have a high level of Korean Dance Liter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discuss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context about Korean Dance. This study can be used any korean dance education field. I proposed some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teaching method and education program through get to education field and teacher.

Key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Korean Dance Education, Dance literacy

키워드:

문화예술교육, 한국무용교육, 댄스리터러시, 무용소양

References

  • 강성범(2004). LMA를 통한 한국 전통 무용의 움직임 특성의 분석 -중요 무형 문화재 제27호 이매방류 승무를 중심으로.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4, Vol.6, p.1
  • 교육과학기술부(2009). 『창의인성교육기본방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09
  • 권명주(2010). 생활무용으로서 한국전통무용 프로그램의 재수강 요인. 한국무용학회지, 2010, Vol.10(1), pp.15-20
  • 권덕원, 김화숙, 이경미, 박철, 권경민(2007). 2007 예술강사 지원사업 강사 연수 프로그램 개선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김경미(2007). 한국근대무용사. 서울:동해
  • 김경애, 김채현, 김종오(2011). 우리무용 100년. 서울: 현암사.
  • 김경은, 안문경(2007). 무용 안무의 창의성에 대한 질적 탐색. 한국무용과학회지, 2007, Vol.14, p.1
  • 김경숙(2013). 김천흥 기본춤의 궁중춤적 특성연구.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21. 10-34p.
  • 김경숙(2015). 한영숙류 승무의 당악과장 특성 연구. 무용역사기록학, 2015, Vol.38, pp.57-73
  • 김기화, 임학선(2011). 한국창작춤 "마음꽃"의 표현기법 분석. 한국무용연구, 2011, Vol.29(2), p.147 [https://doi.org/10.15726/jkd.2011.29.2.007]
  • 김미선, 윤수미(2018). 춤본Ⅰ의 구조적 특징 탐색. 한국무용연구, 2018, Vol.36(2), p.29 [https://doi.org/10.15726/jkd.2018.36.2.002]
  • 김매자(1977). 韓國舞踊史. 서울: 금연재.
  • 김영은(2016). 임학선의 호흡 분석 - 2단계 끌어올리고 내리기를 중심으로. 한국무용학회지, Vol.16(1), pp.35-46 [https://doi.org/10.26743/kaod.2016.16.1.002]
  • 김은숙(2007). 한영숙 승무(僧舞)와 이매방 승무(僧舞) 춤사위의 비교(比較) 분석(分析) -염불(念佛)과장을 중심. 한국무용사학, 2007, Vol.6, p.119
  • 김은정(2004). 한국무용동작에서 호흡기본 훈련이 하지 관절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 김자영(2002). 최승희의 조선민족 무용기본에 관한 연구. 이화체육논집, 6, 13-28.
  • 김지영(2011). 시나위 안무법에 관한 연구 -시간, 공간, 힘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 2011, Vol.29(1), p.209 [https://doi.org/10.15726/jkd.2011.29.1.009]
  • 김해성(2006). 진주포구락무의 유아 춤놀이적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연구 24권 1호.
  • 김혜정(2003). 한국무용사의 이해, 서울: 형설출판사
  • 김향선, 김유진, 임학선, 정선해, 안의수(2009). 호흡생리학적 분석을 통한 한국무용 호흡표기법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8, p.1
  • 김효분(1998). 한국전통춤의 흐름. 서울: 현대미학사.
  • 나안숙(2014). 한국무용 동작 시 호흡사용의 숙련도에 따른 운동역학적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9), pp.131-140.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131]
  • 류화진(2004). 한국무용사 문헌자료 분석 -선사시대~삼국시대를 중심으로-. 한국예술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4(2), p.160.
  • 문진수, 이미영(2014). 풍물춤에 내재된 음양사상. 무용예술학연구. 제40집, 67~88. [https://doi.org/10.16877/kjds.40.1.201301.67]
  • 문희철(2015). 이매방류 「승무」의 전승에 관한 연구. 우리춤과 과학기술, 2015, Vol.29, pp.145-162.
  • 박성혜(2017). 무용을 통한 청소년 정서함양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통합적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수영(2011). 중년여성의 한국무용 참여에 따른 정서표현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2011, Vol.11(1), pp.43-59.
  • 박양선, 장지영 (2015). 한국무용 팔허리감기 동작 시 호흡 사용 유무에 따른 상지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리듬운동학회지, Vol.8(2), p.17.
  • 박은희(2008).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 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방안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서울.
  • 박혜연(2013). 심성교육을 위한 한국무용 교육내용의 구조화.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0(4), pp.1-20.
  • 배정혜(2004). 배정혜의 7일간 춤여행. 서울: 청아출판사.
  • 백현순(2015). 달구벌 덧배기춤의 미적(美的) 고찰(考察). 한국무용연구, 2015, Vol.33(3), p.143. [https://doi.org/10.15726/jkd.2015.33.3.006]
  • 서예원(2011). 통합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 무용예술학연구, Vol.33, pp.31-50.
  • 서예원, 조은숙, 문영, 김윤진 (2013). 무용교육표준 개발 연구. 무용예술학연구, Vol.42, pp.21-49. [https://doi.org/10.16877/kjds.42.3.201305.21]
  • 성경린(1976). 한국의 무용.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성기숙(2002). 백제 기악무의 원류와 일본 전파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2002, Vol.34, p.43.
  • 성기숙(2009). 호남춤의 명인 이매방 연구. 한국무용연구, 2009, Vol.27(2), p.1.
  • 손선숙(2017). 한국궁중무용사. 서울: 보고사.
  • 손환, 고은숙(2013). 한국춤에서 호흡의 의미와 움직임의 미.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ce(AJPESS), 2013, Vol.2, p.1.
  • 송미숙(2011). 류파별 살풀이춤을 통해 본 한국춤의 美. 한국무용사학, 2011, Vol.12, pp.129-156.
  • 송수남(1988). 韓國舞踊史. 서울: 금광.
  • 신상미(2015). 디지털 댄스 리터러시의 교육인류학적 패러다임.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28, pp.25-52.
  • 신소영, 장미경(2016). 한국무용과 짐스틱 운동이 여고생의 혈중지질 농도와 뇌신경세포 생성인자 및 관련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7권 3호.
  • 신주경(2015). 무용예술강사 양성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문제점 및 대안적 접근 탐색.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 안병주, 김은정 (1999). 한국 무용에 있어 창작에 대한 개념정위의 필요성. 무용예술학연구, Vol.3, pp.79-95.
  • 안주연, 이경옥 (2015). 호흡 방법에 따른 한국무용 외발뛰기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Vol.25(2), p.199. [https://doi.org/10.5103/KJSB.2015.25.2.199]
  • 양진숙, 차수정(2016). 한국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중국인 유학생의 성격강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7권 3호.
  • 엄은진, 강혜련(2012). 국립무용단 역대단장 5인의 작품세계 고찰. 한국무용학회지, Vol.12(2), pp.21-34.
  • 오레지나(2017a). 배명균류 산조춤의 구성적 특징.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017, Vol.28(4), p.103.
  • 오레지나(2017b). 한국민속춤에 내재된 생태적 사유에 대한 탐색.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017, Vol.28(3), p.65.
  • 유수정(2017). 12주간 한국무용에 기반한 낙상예방 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균형감각, 보행기능,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승관(2016).《한국 현대춤작가 12인전》의 작품 경향 연구: 남성 한국무용 안무가를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 Issue 40, pp.187-219.
  • 유정숙(2010). 한국무용 참가가 노인의 운동능력과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 학술지. Vol. 12(2), p. 33-43.
  • 유진주, 염현주(2016). 한국무용사 연구의 내용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방향의 탐색. 무용역사기록학. Vol.41. 111p.
  • 유화정 (2017). 한국무용사 관련 단행본의 출판 현황 및 특징.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017, Vol.28(3), p.199.
  • 윤덕경(2015). 한국창작무용의 정체성과 가능성 -한국무용제전 30년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 2015, Vol.33(1), p.47. [https://doi.org/10.15726/jkd.2015.33.1.003]
  • 이미영(2011). 중년여성의 한국무용 참여 여부에 따른 지각된 운동방해요인의 차이. 대한무용학회논문집, 2011, Vol.68, p.163.
  • 이민채, 윤미라(2012). 한국창작춤의 시대적 경향 분석을 통한 한국성 수용의 성과와 새로운 패러다임. 대한무용학회논문집, 2012, Vol.70(4), p.83.
  • 이병옥(1996). 한국무용사연구 1 (고대편). 서울: 노리.
  • 이영란(2005). 한국무용사(역사의 흐름을 통한). 서울: 스포츠북스.
  • 이애덕, 이주립(2003). 한국무용 동작을 통한 노인의 체력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09-42:631-637.
  • 이애순(2007). 최승희의 ‘조선민족무용기본’ 실체 연구. 동양예술, 12, 159-182.
  • 이애순, 허영일(2002). 최승희 무용 ’기본’ 실체에 관한 고찰 : ‘립 춤’기본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논문집, 5, 172-201.
  • 이예순, 백현순(2007). 한국무용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스포츠리서치, 2007, Vol.18(5), p.1065.
  • 이현주(2000). “effort-shape분석이론을 기초로 한 김진걸 산조춤의 특성 연구”. 대한무용학회. 대한무용학회논문집, 2000, Vol.28, p.239.
  • 임선영(2018). 안무가는 무엇으로 무용수를 움직이는가. 한국무용과학회지, 2018, Vol.35(1), p.95.
  • 임수진(2015a). 댄스 리터러시 개념 및 교수방법 탐색: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개념틀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임수진(2015b). 댄스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대한무용학회논문집, 2015, Vol.73(3), p.123.
  • 임수진, 문영(2017).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예술강사 우수 수업사례 질적 분석. 한국예술연구, Issue 17, pp.171-194.
  • 임학선(1999). 춤 표기법에 관한 연구 1 – 호흡 표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회, 17, 109-139.
  • 임현선(2006). 호흡구조 분석을 통한 태평무 호흡표기법 연구 -한성준류 강선영의 태평무를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 Vol.24(1), p.197.
  • 임희정(2005). 한국무용호흡과 심상훈련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정병호(1999). 한국의 전통춤. 서울: 집문당.
  • 장사훈(1977). 한국전통무용. 서울: 일지사.
  • 정경화(2007). 한성준류 태평무 터벌림 과장의 호흡유형과 특성 연구. 한국무용연구, Vol.25(2), p.187.
  • 정귀인(2008). 호흡이 무용동작의 부드러움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보경(2016). 임학선 창작춤의 표현형식에 나타난 동양미학적 특성. 한국무용연구, 2016, Vol.34(2), p.143.
  • 정선혜(2013). 한국무용 기본 춤 체계화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31권 1호, 215-241. [https://doi.org/10.5103/KJSB.2015.25.2.199]
  • 정성숙(2011). 한영숙류와 이매방류 승무의 계통적 성향 연구. 공연문화연구, 2011, Vol.23, p.185.
  • 정혜진(2016). 최현 작품 비상에 나타난 춤동작 특징 연구. 한국무용연구, 2016, Vol.34(1), p.169.
  • 조보미(2015). 한국무용 아랫몸사위 기본무 구성 원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015, Vol.26(1), p.181.
  • 차수정(2006). 한국 통무용의 기본동작 구성과 기교육로그램 연구:상체동작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철학학회지, 제14권 제3호.
  • 차수정(2013). 한영숙 ‘승무’ 에 내재된 한국적 미의식과 교육적 가치. 무용예술학연구, 30 January 2013, Vol.40, pp.131-146.
  • 최의창(2011). 댄스 리터러시 혹은 무용소양-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목적 재검토. 한국무용기록학회, 2011, 제 21권, pp.139-161.
  • 최의창(2018). 스포츠리터러시. 서울: 레인보우북스.
  • 최지연, 이주리 (2012). 한국무용을 활용한 신체활동과 유아의 운동능력.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33(6), pp.21-34.
  • 최해리(2014). 무용구술채록문의 분석과 해석을 통한 한국근현대무용사 서술의 한계 극복. 무용역사기록학, December 2014, Issue 35, pp.31-69.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1).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2d). 학교 문화예술교육 우수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 한혜리(2007). 무용읽기와 무용매체의 관계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007, Vol.18(2), p.1.
  • 허순선, 오레지나, 김옥희,양서정, 이유진(2013). 한국무용 기본춤사위의 구조와 용어.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24집 2호.
  • 홍애령(2012). 무용교육자 전문성의 핵심 차원으로서 심성적 자질의 재조명과 함양 방안.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9(1), 23-42.
  • 홍예주, 박인영, 오덕자(2011). 12주간 한국무용 참여가 여성노인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1, Vol.23, p.199.
  • 홍은주(2012). 박병천류 진도북춤의 "맺음기법"연구. 한국무용연구, Vol.30(1), p.117.
  • 홍정효(2008). 유아의 심(心), 기(氣), 신(身)교육으로서 한국무용. 유아교육논총 17권 2호.
  • 황인주(2011). 기능적 관점에 따른 무용교육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Vol.40(4), pp.539-548.
  • Corbin,J., & Strauss, A. (2007).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cques and pro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3rd ed.) Thousand Oaks, CA: Sage.
  • Creswell, J. W.(201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3rd Edition. London: Sage.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공역)(2010).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 Dewey, J(1980). Arts as Experience. New York: Minton. 이재언 역(2009). 존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 서울: 책세상.
  • Hong, T. (2000). Developing dance literacy in the postmodern: An approach to curriculum. Paper presented at Dancing in the Millennium: An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in Washington DC. [https://doi.org/10.3917/autr.073.0123]
  • Linco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https://doi.org/10.20976/kjas.2017..17.008]
  • Wolcott, H. F. (1990a). On seeking-and rejecting-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In E. W. Eisner & A. Peshkin (Eds.), Qualitative inquiry in education: The continuing debate (pp.121-152). New York: Teacher Colleg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