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5, No. 4, pp.155-172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Oct 2018
Received 03 Sep 2018 Revised 12 Oct 2018 Accepted 21 Oct 2018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8.35.4.155

국립무용단 활동양상에 나타난 한국춤 경계와 운영 모색

정길만*
세종대학교
The boundaries of Korean dance in performance of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and suggesting better management ways
Jung, Gil-Man*
Sejo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jinboj@hanmail.net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국립무용단 작품분석을 통해 국립무용단의 활동양상에 나타난 한국춤의 경계와 운영 모색을 그 목적으로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국립무용단은 국가 차원의 기획과 제작, 타 장르 결합 등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세계적인 국립무용단으로 거듭나고 있다. 하지만 1962년 창단 이래 고착화된 국립무용단 조직과 운영의 틀 안에서 한국춤의 재창조와 창조과정은 장르 일탈, 한국춤 변질이라는 다양한 의견과 우려의 목소리를 듣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상황 속에서 국립무용단의 작품에 대한 진단도 중요하지만 이에 앞서 국립무용단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연구가 먼저 구축되고 선행된다면 국립무용단 한국춤 발전이라는 거대 담론에 접근하리라 본다.

이를 위해 2013-2017년까지 최근 5년 동안 국립무용단이 외부(기획, 시스템, 인력 등)와 협업한 신작 공연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기획의도, 목적의 타당성, 성과에 따르는 개선안을 중심으로 국립무용단 조직과 운영에 관한 일련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동시에 21세기 융‧복합 디지털 테크놀로지 라이프 시대에 맞는 국립무용단 기획의 전문성과 조직의 활성화 구축 방안 대해 제언한다.

논의 결과, 국립무용단 최근 5년 동안 작품 활동양상에 나타난 한국춤의 경계는 전통춤의 변화양상, 현대무용과 한국춤의 융합, 대중예술의 수용과 한국춤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연구에 따르면 세계적인 외국 안무가, 현대무용, 영상, 테크놀로지, 가상‧가변현실, 대중가요 등 시대, 지역, 인종, 이념, 장르를 넘어 우리 삶에 침전된 예술과 디지털테크놀로지가 한국춤에 반응‧수용되었다. 더불어 세계화를 통한 한국춤은 이제 세계인의 무용예술로 그 보편성을 확보해야할 시점에 왔다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국립무용단 활동양상에 따른 문제점을 확인하고, 운영 활성화 모색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국립극장과 국립무용단의 분리 및 독립성 강화다. 둘째, 국립무용단 전속기획팀 창설이다. 셋째, 국립무용단 내 전통, 민속, 창작의 분업화를 시도한다. 제시한 방안이 수준 높은 국립무용단 작품개발 및 운영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한국춤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at finding boundaries of Korean dance in performance of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hearafter called NDCK) and suggesting better management ways for it through analyzing dance works of the company.

In recent years, NDCK has put much endeavor into a variety of attempts to be reborn and to be a world best dance company, such as collaboration or co-production of government agencies and other genres.

Have been captured in the fixed and hard-to-change frame of management and organization since its foundation in 1962, the re-creation and the process of it are however called, from a certain point of view, a breakaway of the genre or criticized as corruption of Korean dance.

Upon these situations, studying about organizational problems of the company is considered being prior to analyzing the dance works of it. Through this, NDCK can approach more effectively even the huge argument of development of Korean dance of NDCK.

For this study, the objects have been chosen as the latest dance works, collaborated with other companies or performed from 2013-2017, in terms of planning, system and manpower. It analyzes a series of problems concerning the organization and the management of the NDCK, and argues on the purpose of planning, the validity of the purpose and the result. It also proposes new methods to have a specialized planning for the company and to invigorate the organization,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times of converged digital technology life in the 21 century.

Consequently, the study defines the boundaries of Korean dance of NDCK in recent five years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the change of traditional Korean dance, convergence of contemporary dance and Korean dance, and acceptance of public arts. According to the study, arts and digital technology precipitated in people’s lives have been responded and accepted in Korean dance beyond the times, regions, races, ideologies or genres such as works with foreign choreographers, contemporary dance, video, technology or artificial realities. Furthermore, the globalization of Korean dance once again has approved that it is time to secure the universalization of its dance arts for the world citizens.

The study confirms several problems blocking activities of NDCK and offers following suggestions for invigoration of the company; first the managemental independence of NDCK from that of National Theatre of Korea, second the setting up a planning department only for NDCK, third the separation among traditional, folk and creational dances in NDCK.

The suggestions would be helpful for much higher level of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and even for development of Korean dance itself.

Keywords:

National Theatre of Korea,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Korean dance, activities, boundaries of Korean dance, pursuit of management

키워드:

국립극장, 국립무용단, 한국춤, 활동양상, 춤 경계, 운영 모색

References

  • 김경일, 김동춘, 김정인, 김창남, 김한종, 신승철, 우기동, 이여미, 전재호, 진중권, 한홍구, 홍윤기(2010), 인물학 박물관에서, 인물과 사상.
  • 김기호, 이정후, 전인삼, 홍욱희 외 55인(2004), 책으로 읽는 21세기, 도서출판 길.
  • 김말복(1999), 무용의 이해, 예전사.
  • 김우창 외 25인(2001), 춘아, 춘아, 옥단 춘아, 네 아버지 어디 갔니?, 대담‧김우창 외 25인, 민음사.
  • 도리스 험프리(1999), 현대무용 안무론, 송린 옮김, 현대미학사.
  • 변성숙(2005), 국립예술단체의 효율적 통합 운영방안 마련 연구 -국립예술단체의 사례를 중심으로-, 단국대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2.
  • 시간의 나이 팜플렛(2016), 2015-2016 국립극장 레퍼토리시즌, 국립무용단 <시간의 나이>, 2016.3.23.~27.
  • 이영철 엮음(1999), 21세기 문화 미리보기, 백한울 외 옮김, 시각과 언어.
  • 진중권(2009), 진중권의 이매진, 씨네이십일(주).
  • 진중권 엮음(2010), 미디어아트-예술의 최전선, 휴머니스트.
  • 최준식(2003), 한국미, 그 자유분방함의 미학, 효형출판.
  • 톨스토이(1992), 톨스토이 예술론, 동완 옮김.
  • E. H. 카(2014), 역사란 무엇인가, 김택현 옮김, 까치글방.
  • 구미경(2017), ⓒ 월드스타, 2017.03.08.
  • 국립중앙극장(2006), 국립극장 전속단체 포럼, 국립극장.
  • 국립중앙극장(2000), 국립극장 50년사, 서울: 태학사.
  • 국립중앙극장연보(2014), 국립극장.
  • 국립무용단 합평회(2016), 상반기 서울공연 합평회 자료.
  • 김정은(2014), 동아일보, 2014.9.17.
  • 김채환(2013), 춤웹진.
  • 김채현(2017), 춤웹진, 2017. 10. 2. No. 98.
  • 김호연(2016), 댄스포럼, 2016년 4월호.
  • 문애령(2016), 객석, 2016.1.1.
  • 박성혜(2013), 국립극장연보, 국립극장.
  • 방희망(2016), 춤웹진.
  • 선한결(2016), 한국경제, 2016.6.19.
  • 송은아(2014), 세계일보, 2014.9.22.
  • 신세미(2014), 문화일보, 2014.4.1.
  • 심연희(2014), KBS뉴스, 2014.4.16.
  • 심정민(2016), 댄스포럼, 제18권 제4호, 통권 제199호, 2016.04.01.
  • 이윤정(2013), 이데일리, 2013.4.8.
  • 이윤정(2014), 이데일리, 2014.9.18.
  • 이지현(2013), 국립극장연보, 국립극장.
  • 이지현(2014), 춤웹진.
  • 이지현(2016), 국립무용단 합평회.
  • 이재훈(2013), 뉴시스, 2013.4.9.
  • 유석재(2016), 조선일보, 2016.06.13.
  • 유형종(2016), 한국경제, 2016.3.29.
  • 장인주(2014), 객석, 2014.6.1.
  • 장인주, 김예림(2017), 국립무용단 춘상 합평회.
  • 장지영(2016), 국민일보, 2016.3.27.
  • 전지현(2014), 매일경제, 2014.4.17.
  • 조지현(2014), SBS뉴스, 2014.4.11.
  • 중앙선데이(2013). 2013.04.13.
  • 중앙선데이(2014). 2014.04.12.
  • 중앙선데이(2017). 2017.10.01.
  • 춤(2017). 정기헌. 제42권 제5호 통권 제495호. 2017. 5.
  • 춤과 담론(2006). 창간호. 가을 호, (통권 제1호).
  • 채희완, 방희망, 장광열, 이보휘(2014), 춤웹진.
  • 하성인(2017), 국제뉴스, 2017.1.17.
  • 한국관광공사(2016), 경영공시 일반현황 2016. 12.
  • https://hersight.blog.me/- 윤단우, 그녀의 시선.
  • www.ntok.go.kr/국립극장소개/경영방침/운영규정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