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아카이브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4 , No. 4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4, No. 4, pp. 69-82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17
Received 05 Sep 2017 Revised 06 Oct 2017 Accepted 17 Oct 2017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7.34.4.69

무용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도정임**
청주대학교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Dance on Their School Life
Do, Jung-Nim**
Cheongju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do9527@hanmail.net


초록

본 연구는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수도권지 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 345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지를 회수하여 연구에 적합하지 않거나 응답이 불성실하다 판단되는 27부를 제외한 318부가 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전공만족도, 교수-학 상호작용, 대학생활 적응의 3가지 변인으로 전공만족도는 일반만족, 인식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을 하위요인으로,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신뢰도와 친밀감을 하위요인으로, 대학생활적응은 개인·정서적 적응,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학교환경적 적응을 하위요인으로 총 40문항의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IBM SPSS Statistic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를 위한 상관분석,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요인별 대학생활에 미치는 영향력과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관계만족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업적 적응은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도의 네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간에는 교과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의 네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별 간에는 사회적 적응과 대학환경적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 적응에 대해 대학환경적 적응과 교과만족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셋째,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두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간에는 신뢰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두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별 간에는 대학환경적 적응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대학환경적 적응과 신뢰감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넷째, 전공만족의 총점은 대학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수-학생상호작용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은 무용학과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 요인별에 따라 부분적으로 대학생활적응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무용학과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에 대한 만족스러운 교과과정이 제공되어야 하며 교수는 학생들이 신뢰할 수 있는 인격과 자질, 실력을 겸비해야한다고 사료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nce major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45 students major in Dance in universities located at capital area selected. 27 unreliable responses were excluded and 318 remained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have forty questions regarding three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with major,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re General satisfaction, recognition satisfaction, Curriculum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are reliability and intimacy. Sub-factors of adjustment of school life are affective reaction, major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Correlation analysis with IBM SPSS Statistics 24.0 was conducted to find an association among satisfaction with major,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with its sub-factors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Detailed results are presented below.

1. The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relationship satisfaction, a sub-factor of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low positive correlation with major adjustment, a sub-factor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but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statistic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m.

2. Among four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only Curriculum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social adjustment and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hen comparing four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four sub-factors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3.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ith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4. Overall score of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statistically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but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In conclusion, major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influence on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partially but strongly depending on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In order to enhance the adaptability of school life, appropriate and satisfactory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and the faculties should be personable, well qualified and competent to build trust with students.


Keywords: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dance, Major satisfaction, Faculty-student interaction, Adjustment to school life
키워드: 무용전공, 대학생,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References
1. 강미영 (2012). 대학생의 취업준비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취업탐색행동, 스팩5종별 준비정도의 조절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 고미나, 곽영희 (2015). 대학생의 성인애착, 교수-학생상호작용,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간의 구조적관계.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Vo.13 No.3, 73-84.
3. 권재환, 박희현 (2014). 부모의 양육태도, 교수의 지지 및 학습동기와 대학생활적응간의 구조모형 검증. 인간발달연구, 21권 2호(통권58호), 55-73.
4. 김미숙, 박소미, Wang chengying, 서하얀, 주영주, 이경열, 최은숙 (2010 ).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 만족도 및 직업관. 한국 응급구조학회논문집, 14(3), 29-40.
5. 김민선, 최보금 (2016). 공학전공 신입생들의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고차원적 학습활동, 진로몰입 간의 성차모형 검증: 공학흥미와 전공 및 학교만족도의 매개효과. 교육학연구, 54권 1호 (통권169호), 151-181.
6. 김봉희, 신정하 (2016). 간호학과 성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가 학과적응에 미치는 효과. (사)아시아문화학술원, 인문사회 21, 7권 5호, 141-166.
7. 김선연, 신효진 (2012). 대학생의 학과교수 만족도 구성요인 타당화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9권 1호 (통권58호), 207-226.
8. 김성덕 (2016). 체육전공 신입생의 전공만족 및 수업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효과. 한국스포츠학회지, 통권 제14권 제3호, 471-481.
9. 김윤주, 김윤영, 이송미 (2015). 아동영어교육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진로정체감 및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통권 제13권 제9호, 39-47.
10. 김은주 (2014). 대학생들의 학습상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생상호작용, 대학만족도, 자기주도학습간의 관계검증. 학습자 중심교과 교육학회, Vol,14 No.7, 209-231.
11. 김점남, 천혜원 (2013).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만족도,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외식경영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외식산업학회지, 통권 제9권 제3호 통권 제21호, 81-92.
12. 김지희, 임정희 (2016). 전공만족도가 남자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적응 관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26권 1호 (통권15호), 91-100. .
13. 김혜정, 한송이 (2010). 교수학생의 상호작용이 산체적 자기효능감 및 무용성취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Vol.21 No-, 10-19.
14. 노수림, 배성아 (2014). 대학생의 정서 지능,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Vol. 14 No. 2, 343-362.
15. 도정임 (2016). 연극학과 학생들의 전공인식도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 10권1호, 61-77.
16. 박진화, 이은경 (2016).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수신뢰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권 7호 (통권67호), 831-844.
17. 서은선, 정경아 (2015). 일 대학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시과학회지, 17권 3호, 213-225.
18. 송윤정 (2013).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대학원.
19. 오지현 (2014).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873-884.
20. 유승혜, 조영아, 김정아 (2010). 비서전공 전문대학생들의 진로태도 성숙도와 취업역량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비서학 논총, 19(1), 165-188.
21. 이가영, 최태월, 이용선 (2015).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영 컨설팅 리뷰, 제6권 제2호, 197-209.
22. 정경아, 조지현 (2015). 일 대학 작업치료학과 학생의 학과선택 시기에 따른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의 차이. 한국융합학회논문지, 통권 제6권 제5호, 143-155.
23. 정은이, 박한용 (2009). 교수신뢰 척도에 관한 예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2), 405-426.
24. 조영권 (2014).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방사선사 이미지, 전공만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283-293.
25. 조남흥(2008). 체육수업에서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이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6. 지은림, 김성숙 (2004).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담임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비교. 경희대학교 교육문화 연구소 논문집.
27. 최정윤, 신혜숙 (2010). 한국대학에서의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성격과 대학교육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 대학특성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37(2), 132-154..
28. 최현주 (2017).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조절 및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68-77.
29. 하혜숙 (2000). 대학생의 전공학과 만족과 학교만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30. 현진원 (1992). 완벽주의 성향과 평가수준이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31. Baker & Siryk(1989). Student adaptation to school questionnaire manual.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