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아카이브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4 , No. 2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4, No. 2, pp. 109-120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7
Received 10 Mar 2017 Revised 21 Mar 2017 Accepted 25 Apr 2017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7.34.2.109

여대생의 규칙적인 운동습관에 따른 신체조성 및 신체정렬의 특성
양명주1 ; 이신영*, 2
1숙명여자대학교
2한국외국어대학교

Characteristics of Body Composition and Posture Alignment pursuant to Regular Exercise Habit of Female College Students
Yang, Myoung-Joo1 ; Lee, shin-young*, 2
1Sookmyung Women’s University
2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Correspondence to : *eshinyoung@hanmail.net


CopyrightⒸ 2017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규칙적인 운동습관에 따른 여대생의 신체조성과 신체정렬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규칙적인 운동습관에 따라 주 3회, 3년 이상 경력의 무용전공자들을 전문적 운동습관군(GroupA, n=84), 12주, 주 2회, 1회 30분 이상의 운동습관을 가진 일반여대생들을 일반적 운동습관군(GroupB, n=34), 규칙적 운동습관이 거의 없는 일반여대생들을 대조군(GroupC, n=66)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23.0 ver.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정(paired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규칙적인 운동습관에 따른 신체조성은 신장(p<.001, A>C), 체중(p<.001, A>C), 골격근량(p<.001, A>B>C), 체지방률(p<.001, A<C), WHR(p<.01, A>B, A>C)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신체정렬의 정면자세는 골반기울기(p<.05, A>B), 우측 무릎중앙(p<.001, A>C), 좌측 무릎중앙(p<.05, A>C)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측면자세에서는 우측 외이도위치(p<.05, A>C), 좌ㆍ우측 경추각도(p<.001, A>B,C), 우측 정중선에서 어깨위치(p<.001, A>B,C), 좌ㆍ우측 ASIS-PSIS각도(p<.001, A<B,C), 좌ㆍ우측 기준선에서 고관절위치(p<.001, A>B,C)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신체부위별 좌ㆍ우 밸런스는 GroupA의 발목중앙(p<.05), 외이도위치(p<.01), 어깨위치(p<.001), ASIS-PSIS각도(p<.01), GroupC의 무릎중앙(p<.05)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집단 간에는 경추각도(p<.01, B<A,C)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운동습관의 유형에 따라 여대생들의 신체조성과 신체정렬이 다른 특징을 가졌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여대생의 특성별 불균형적 자세로 인한 잠재적 위험을 예견할 수 있으므로 향후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바른 자세에 대한 움직임 교육이 요구된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body composition and posture alignment pursuant to regular exercise habit of female college students. Pursuant to regular exercise habit, dance major students with 3 times a week in more than 3 years experience are classified into the professional exercise habit group (Group A, n=84), ordinary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more than 30 minutes/time, 2 times a week in 12 weeks experience are classified into the ordinary exercise habit group (Group B, n=34), and ordinary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almost no regular exercise habit are classified into the control group (Group C, n=66). Data disposal of the study was done by frequency analysis, paired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23.0 ver; and, all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established as α=.05.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body composition according to regular exercise hab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height (p<.001, A>C), weight (p<.001, A>C), SMM (p<.001, A>B>C), %fat (p<.001, A<C), and WHR (p<.01, A>B, A>C).

Second, frontal position of posture align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lvic level (p<.05, A>B), right patella center (p<.001, A>C), and left patella center (p<.05, A>C). Lateral post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right earhole position (p<.05, A>C), left and right cervical spine angle (p<.001, A>B,C), acromial position in right midline (p<.001, A>B,C), left and right ASIS-PSIS angle (p<.001, A<B,C), and greater trochanter of hip joint position from left and right baseline(p<.001, A>B,C).

Third, left and right balance as per body par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ankle center (p<.05), external auditory meatus position (p<.01), and shoulder position (p<.001), ASIS-PSIS angle (p<.01) of Group A while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ee center (p<.05) of Group C, and it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cervical spine angle (p<.01, B<A,C).

As seen from above, it was found that body composition and posture alignment of female college students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pursuant to type of their exercise habits, and it is possible to forecast potential risk due to their unbalanced postures by characteristic on the basis of such results an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have motion education of correct postures to improve it in the future.


Keywords: exercise habit, female college students, body composition, posture alignment
키워드: 운동습관, 여대생, 신체조성, 신체정렬

참고문헌
1. 경희수, 인주철, 김풍택, 장우창, (1998), 여성 발레 무용가의 족부에 발생한 과사용 증후군, 대한스포츠의학회지, 16(1), p59-65.
2. 공미연, (2016), 경부통을 가진 여대생들에 대한 소고춤의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3. 구민경, (2013), 카이로프랙틱 교정이 대학생의 자세균형과 족저압 균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수안재활복지학과.
4. 권금희, (2015), 심신기법이 노년여성의 자세와 변위된 골반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6(1), p191-209.
5. 권휘련, (2005), 요부 자가 운동프로그램이 만성 요통환자들의 체력, 통증, 및 활동장애 감소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6. 기성훈, 송윤경, (2014), 전방머리자세의 정도와 심박변이도 및 기립자세 균형요소와의 상관관계,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4(4), p163-176.
7. 김규완, 전경규, 박준규, (2015), 복합운동 참여가 랜딩-점프 시 무릎 및 발목관절의 기능적 안정성에 미치는 역학적 접근,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3(2), p135-143.
8. 김경회, (2005), 전문무용수의 무용활동과 심리적 요인 및 상해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44, p19-38.
9. 김대연, (2001), 신체상에 대한 만족과 신체부위별 평가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10. 김도경, 이선경, (2015), 발목 불안정성 여성들의 고유수용감각 운동이 동적자세 조절능력과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3(5), p1-12.
11. 김명준, (2000), Medex 운동치료 프로그램이 경추근력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12. 김소정, (2011), 잘못된 자세로 인한 목, 어깨, 허리 통증의 치료 및 예방, 한국스포츠개발원, 117, p77-83.
13. 김순금, (2016), 여대생의 체지방률, 발형태, 자세와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 학술세미나자료집, p127-127.
14. 김아람, 최승욱, 백승희, 최철순, (2014), 규칙적 운동습관이 남자대학생의 신체조성 및 대사증후군 위험요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3(3), p691-699.
15. 김영미, (2007), 무용수 신체 정렬에 관한 인식도 조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8(1), p1-25.
16. 김영미, (2016), 무용에서의 신체정렬과 고유수용감각 고찰,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4(2), p49-61.
17. 김은지, (2014), 드미 플리에 지도법 및 그 효과에 관한 연구 - 골반의 바른 자세를 중심으로 -,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5(1), p149-167.
18. 김창규, (2010), 바른자세가 보약이다, 서울, 해냄출판사.
19. 김현숙, 정상훈, (2011), 직업무용수의 신체상 자기지각차이가 사회적 체형불안 및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지, 68, p67-86.
20. 나경아, 김리나, 박현정, (2011),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정렬분석, 한국예술연구, 1(3), p143-163.
21. 문화체육관광부, (2015), 2015 국민생활체육참여 실태조사.
22. 배정하, (2001), 여대학생의 건강증진 위한 생활양식의 수행결정요인, 동아대학교부설 스포츠과학연구논문집, 19, p59-69.
23. 백승희, 최승욱, (2011), 정상 체질량지수 여대생의 체지방률과 폐색성 동맥경화 위험요인과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0(5), p961-969.
24. 서경묵, 김돈규, 송인섭, 서경호, (2002), 고전발레 무용가의 족부 통증의 임상 진단 및 관련 인자,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0(2), p221-228.
25. 손남영, 이중숙, 김주혁, (2014), 바른체형 운동프로그램이 여자고등학생의 자세 및 발의 균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24(1), p75-83.
26. 신말연, (2016), 여성 무용전공자들의 영양지식 인지, 식습관, 신체조성 및 건강관련 체력과의 상관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33(1), p107-116.
27. 신혜숙, 김석란, (2006), 무용수의 상해에 따른 스트레스와 무용수행, 대한무용학회논문집, 49, p241-257.
28. 염창홍, 박영훈, 서국웅, (2006), 무용전공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신체정렬과 정적 균형제어에 관한 운동학적 비교 분석,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48, p153-168.
29. 오경희, (2009),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신체 및 정신건강 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30. 윤정호, 성동진, (1998), Mckenzie 운동요법이 만성경부통 환자의 머리 어깨자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논문집, 17(1), p79-90.
31. 이경화, 박기자, 권문석, (2004), Developpe derriere 수행시 골반과 하지 신체정렬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3(2), p561-568.
32. 이주립, (1996), 여대생들의 척추이상에 관한 분석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5(4), p4311-4317.
33. 이주희, (2014), 여대생의 기능적 발목불안정성에 대한 Ballet Program의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34. 이현욱, 한상완, 이인학, (2003), 고교 무용 전공자의 신체 분절정렬 분석, 한국무용과학회, 7, p51-61.
35. 이화석, (2013), 무용전공대학생의 성취목표, 자기관리, 공연자신감의 관계,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1(2), p177-193.
36. 전겸구, 김교헌, 이준석, (2000),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5(2), p316-355.
37. 정복자, (2007), 여대생의 신체활동에 따른 체력과 건강관심도에 관한 연구,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지, 11(1), p41-50.
38. 조동인, 윤정원, 김순중, 박동수, (2015), 대학생들의 경추의 전만 각도에 대한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5(4), p83-92.
39. 척추안정화연구소, http://cafe.naver.com/spinecenter/1515, (검색일 2017.2.1.).
40. 통계청, (2012), 2012청소년 통계보도자료, 사회통계국 사회통계기획과,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과.
41. 통계청, (2017), 2016년 사회조사결과(가족, 교육, 보건, 안전, 환경) 보도자료, 사회통계국 사회통계기획과.
42. 한경희, (2010), 남자대학생의 비만, 심폐체력과 HOMAR-IR 및 대사증후군 지표와 상관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안동대학교 대학원.
43. 형희경, (2008), 만성요통 여성노인에 대한 요부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8(6), p902-913.
44. Franklin, E., (1996), Dance alignment through imagery, Champaign, IL, Human Kinetics.
45. Kiefer, A. W., Riley, M. A., Shockley, K., Sitton, C. A., Hewett, T. E., Cummins-Sebree, S., & Haas, J. G., (2013), Lower-limb proprioceptive awareness in professional ballet dancers, Journal of Dance Medicine & Science, 17(3), p126-132.
46. Levine, D., & Whittle, M. W., (1996), The effects of pelvic movement on lumbar lordosis in the standing position,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4(3), p130-135.
47. Sahrmann, S., (2002),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s, Elsevier Health Sc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