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아카이브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 No. 2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No. 2, pp. 97-111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2
Received 28 Feb 2022 Revised 05 Apr 2022 Accepted 20 Apr 2022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2.39.2.97

코로나바이러스(COVID-19)가 국내 공연예술 시장에 미친 영향
채수정* ; 조남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예술경영학과 박사과정 (dancechae310@naver.com)
**교신저자: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예술경영학과 교수 (cng1222@hanmail.net)

The Impact of Coronavirus(COVID-19) on the Domestic Performing Arts Market
Suejung Chae* ; Namgyu Cho**
*Ph.D. student,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Sangmyung University (dancechae310@naver.com)
**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Sangmyung University (cng1222@hanmail.net)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전염성 질병이 국내 공연예술 시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유행 전후 국내 공연예술 시장을 살펴보기 위해 공연예술 통합전산망에서 제공하는 통계자료를 분석하였다. 공연예술의 공급 측면에서 개막편수, 공연건수, 상연횟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공연예술의 수요 측면에서 예매수, 매출액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바이러스가 국내에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2020년부터 국내 공연예술 시장은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 급격히 위축되었다가 2021년부터 회복세에 돌아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로나19의 유행에 대응하는 모습은 공연예술 장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연극, 뮤지컬, 클래식 장르는 예매당 평균매출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위기에서 회복하였다. 뮤지컬 장르는 상연당 예매수가 증가하였으나 클래식과 무용, 복합장르는 상연당 예매수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비슷한 전염성 질병이 발생하였을 때 국내 공연예술 시장이 어떻게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지 실천적 제안을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virus on the domestic performing arts market. I collect data from Korea Performing arts box office Information System to examine the domestic performing arts market before and after the coronavirus outbreak. Regarding the supply of performing arts, the number of opening episodes, the number of performances, and the number of stages were used for analysis. From the demand side of the performing arts, data on the number of reservations and sales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domestic performing arts market rapidly contracted in terms of supply and demand from 2020, when the coronavirus began to spread in earnest in Korea and then returned to recovery from 2021. The response to the COVID-19 epidemic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erforming arts genre. The theater, musical, and classical genres recovered from the crisis by increasing average sales per reservation. The number of reservations per performance for musical genres increased, but for classical, dance, and complex genres, the number of reservations per performance decrea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de practical suggestions on how the domestic performing arts market can systematically respond when a similar infectious disease occurs in the future.


Keywords: Corona Virus, Infectious disease, Performing arts, Corona Virus Impact, COVID-19 and Performing Arts
키워드: 코로나바이러스, 전염성 질병, 공연예술, 코로나바이러스 영향, 코로나와 공연예술

References
1. 김완종(2015). 유행성질병이 공공도서관의 대출책수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2(4), 273-287
2. 박사랑(202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가 공연예술에 미친 영향과 대응 사례에 관한 연구. 서울장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박정옥(2021).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른 무용공연 이슈 분석. 한국발육발달학회 29(2), 279-287.
4. 박중열(2020). 코로나19로 촉진된 대학의 온라인교육에 대한 고찰. 기계저널 60(7), 32-36.
5. 백선혜·이정현·조윤정(2020). 포스트코로나 시대 비대면 공연예술의 전망과 과제,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 307호, 3-29.
6. 예술경영지원센터(2020). 코로나19에 의한 공연예술분야 피해현황 조사 보고서, 1-56.
7. 임찬묵, 오하나(2021). 코로나19상황에 대한 공연계 인식 연구. 문화산업연구 21(3), 25-35.
8. 정우정, 한정호(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연예술의 전환적 패러다임, 한국문화경제학회, 문화경제연구 23(3), 3-31
9. Brodersen, K. H., Gallusser, F., Koehler, J., Remy, N., & Scott, S. L.(2015). Inferring causal impact using Bayesian structural time-series models. The Annals of Applied Statistics 9(1), 247-274.

<언론보도자료>
10. 이재훈(2020.04.04). 집에서 즐기는 연극·콘서트·클래식. 온라인 공연 총정리. 뉴시스.
11. 이종찬(2020.10.03). 포스트코로나, 새로운 영상시대 대비해야. 더프리뷰.
12. 한남수(2022.02.13.). 국립부여박물관 ‘버스킹, 부여행’ 비대면 공연. 금강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