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아카이브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 No. 2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No. 2, pp. 81-96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2
Received 28 Feb 2022 Revised 05 Apr 2022 Accepted 20 Apr 2022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2.39.2.81

문화재청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의 인력활용 방안 : 문화예술교육사를 중심으로
김민경* ; 김형남**
*세종대학교 무용학과 박사 수료 (minkyung4720@naver.com)
**세종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hyoungnam@sejong.ac.kr)

Human Resources Utilization Pla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ining Center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Focusing on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Minkyung Kim* ; Hyungnam Kim**
*Ph.D. Candidate, Sejong University.
**Professor, Department of Dance, Sejong University.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최근 각 지자체가 설립하는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이 10년간 연평균 5개소 가량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 문화재청은 전국 전수교육관의 운영에 있어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문화예술교육사를 배치하는 사업을 처음 실시했다. 이 사업은 국가무형문화재 이수자로서 문화예술교육사 2급 취득자를 대상으로 신청받아, 해당 지자체를 통한 복무 및 급여관리 등이 이뤄지고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직무역량강화 워크숍을 진행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에 따라 다목의 전수교육관은 1명 이상의 문화예술교육사를 배치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지자체가 개별적, 자율적으로 배치 사업을 신청할 경우에만, 그것도 승인을 받았을 때 문화예술교육사를 배정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문화예술교육사 배치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현장 관계자를 인터뷰하여 해당 사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현장에서의 실질적 문제점 파악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으로는 사업에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사와 직무역량교육담당자 등 총 8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부터 약 2주 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가자당 2회에 걸쳐 메일과 전화로 질의응답이 이뤄졌으며 질문지는 인력수급, 계약형태 및 기간, 급여 및 복지, 역량강화교육, 네트워크구축 측면으로 나누었다. 연구결과 연구 참가자는 인력수급과 계약기간, 급여 등의 대부분 항목에서 불만족을 느끼고 있었고 이로 인해 연속되고 안정된 형태의 고용과 처우 개선을 원하고 있었다. 또한 정기적인 보수교육과 교육사 간 네트워크 구축으로 정보 교류 및 소통 확대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Abstract

Recently, the number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ining Centers established by each local government has increased by about 5 per year for 10 years. In relation with thi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irst implemented the project of arranging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to enhance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in the operation of training centers nationwide. This project is designed to receive an application from the persons who acquired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level 2 license and have completed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erforming service and salary management through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 and conducting a job competency strengthening workshop at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However, even i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upport Act specifies the displacement of more than one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at the training center, it undesirable for each local government to Selection is voluntary, not force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a total of eight people, including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job volume education managers, were interviewed by 1 phone call & 1 email per participant(About 2 weeks from July 2021). The researcher explained to them about manpower supply, contract type and period, salary and welfare, capacity building education, and network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pondents were dissatisfied with most of the items, including manpower placement, contractual terms and salaries, and wanted to improve employment and treatment in a continuous and stable type. They also responded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information exchange and communication by establishing regular supplementary education and network between educators.


Keywords: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Training Cente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anpower Placement, Human Resources Utilization
키워드: 문화예술교육사, 전수교육관, 무형문화재, 인력 배치, 인력 활용

References
1. 강지연(2020). 임기제공무원제도와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임기제 공무원제도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 국가법령정보센터 문화예술진흥법 시행령. law.go.kr.
3. 권영임, 차수정(2015).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가치와 발전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7), 601-617.
4. 김예진, 윤혜선(2021).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실습 과정에 대한 무용전공자의 경험 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38(2), 29-47.
5. 김지희(2018). 무형문화유산 기록화와 전수교육관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6. 이재민, 정제호, 조우제(2020). 세종시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효율적 운영방안. 대전세종연구원.
7. 임선영(2013).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의미, 전망, 그리고 과제. 한국예술연구소 가을철 학술심포지움, 5-20.
8. 문화예술교육사 시스템. https://acei.arte.or.kr/contents/introduction.do.
9. 문화재청(2020). 2020년 전수교육관 문화예술교육사 배치 사업 추진결과 보고. 문화재청.
10. 문화재청(2021). 2021년도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 시행계획. 문화재청.
11. 문화재청(2021).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문화예술교육사 배치 사업 운영 지침. 문화재청.
12. 문화재청(2019).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문화예술교육사 배치 사업 지침. 문화재청.
13. 문화재청(2021).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현황. 문화재청.
14. 박환석(2014). 문화예술교육사의 활동영역 및 배치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추계예술대학교.
15. 최명림(2021).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활용 방안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1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20). 무형문화재의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요건 검토 연구 보고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7. 홍애령⋅박재홍(2018). 문화예술교육의 수혜적 관점과 향유적 관점 : 문화복지에서 문화공유로의 전환. 한국무용과학회지, 35(2), 81-95.
18. 홍애령・임수진(2020). 예비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현황 분석 및 문화예술교육사 직무역량의 개념화. 한국무용과학회지, 37(2), 59-72.

기타
19.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 27조의 2, 제31조/ 동법 시행령 제 20조 제 5호,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제 25조 제3항
20.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27조의2, 제31조 / 동법 시행령 제20조제5호,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제25조 제3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