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아카이브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 No. 2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No. 2, pp. 1-30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2
Received 24 Feb 2022 Revised 05 Apr 2022 Accepted 20 Apr 2022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2.39.2.1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해피아트테라피 프로그램 사례 연구
윤혜선* ; 윤현서** ; 이연정***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 무용과 부교수 (dasoma40@naver.com)
**교신저자, 사단법인 아트라이프다솜 연구원 (janny0103@naver.com)
***사단법인 아트라이프다솜 표현예술상담사 (younjong93@naver.com)

Study on the case of Happy Arts Therapy Program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of children in local children's centers
Hye-Sun Yoon* ; Hyunseo Yoon** ; Yeonjeong Lee***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Performing Arts, Department of Dance, Dongduk Women's Univ.
**Researcher, Art Life Dasom Corp.
***Expressive Arts Counselor, Art Life Dasom Corp.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아동 대상 해피아트테라피(Happy Arts Therapy:이하 H.A.T.) 프로그램 사례 연구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건강한 심리정서 발달 지원을 위한 예술치유 프로그램의 분석 및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다양한 정보원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보고하는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였고, 2019년 9월부터 프로그램 내용구성을 거쳐 2020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서울시 성북구에 위치한 M지역아동센터 아동 19명을 대상으로 총 54회 시행된 H.A.T. 프로그램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H.A.T. 프로그램의 내용구성’ 과 ‘H.A.T. 프로그램 경험을 통한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주요변화’, ‘H.A.T. 프로그램 평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H.A.T. 프로그램의 내용구성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특성과 H.A.T.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단계별 목표를 ‘긍정적 대인관계’, ‘정서표현’, ‘정서 조절’, ‘긍정적 자기인식’으로 설정하였고, 이에 따라 프로그램 주차별 세부 주제 활동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둘째, H.A.T. 프로그램의 경험과정에서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주요변화 분석은 시행 초기에 관찰된 아동의 심리정서적 어려움과 프로그램 시행 과정에서 관찰된 긍정적 변화양상을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는 H.A.T. 프로그램의 단계별 목표를 토대로 ‘대인관계’, ‘정서표현’, ‘정서조절’, ‘자기인식’의 주제별로 분류하여 변화양상을 확인하였다. 셋째, 이 연구의 H.A.T. 프로그램 평가 분석은 프로그램 지도자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평가, 참여아동의 만족도, 학부모 설문 조사, 프로그램 지도자 평가 및 지역아동센터 담당자 평가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다각적 관점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평가 과정을 통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개선 사항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건강한 심리정서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예술치유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 및 효과적인 적용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nalysis and effects of art healing programs to support the health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local children's centers through a case study of the Happy Arts Therapy(Hereinafter referred to as “H.A.T.”) program for children at local children's centers. This study applied an in-depth case study method that utilizes various sources of informatio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structured beginning in September 2019, and from January 2020 to December 2021, 19 children at M region children's center located in Seongbuk-gu, Seoul participated. A total of 54 H.A.T. sessions were conducted and studied. Through this study, ‘H.A.T. program contents’, ‘Major changes in children of local children’s centers through H.A.T. program experience’, and ‘H.A.T. Program evaluation’ were the focus of the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H.A.T. program a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hildren's center children and,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ed prior research of H.A.T., the program's step-by-step goals were set a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control', and 'positive self-awareness'. Second, the analysis of major changes in the children of the local children's center during the H.A.T. program experience process analyzed the psycho-emotional difficulties of the children observed at the beginning of the implementation and the positive changes observe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Based on the step–by-step goals of the program, the changes were confirmed by classifying them under the them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awareness’. Third, the H.A.T. program evaluation analysis confirmed the positive evaluation of the program from multiple perspective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non-verbal communication evaluation of the program leader,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ting children, the parent survey,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leader, and the evaluation of the local children's center staff. Also, through the evaluation process of the program, improvement items were explored to find an effective operational plan for the arts healing program to support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of children at local children's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dopted as useful data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and effective application methods of art therapy programs that can promote the health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local children's centers in the future.


Keywords: local children's center, childr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sychological emotions, happy arts therapy, art therapy, case study
키워드: 지역아동센터, 아동, 다문화가정 아동, 심리정서, 해피아트테라피, 예술치료, 사례 연구

References
1. 강명희, 박연규(2016).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가 통합적 관점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3(1), 157-180.
2. 강명희, 신근화(2011).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아동복지연구, 9(2), 85-111.
3. 강태영(2021.05.03.). 코로나 1년, 빈곤아동이 더 불행했다...극단적 선택 고민도 4.4%. 조선일보 공익섹션 더 나은 미래 공익뉴스. https://futurechosun.com/archives/55569.
4. 고백합(2020).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결핍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한세대학교 대학원.
5. 고진욱(2017).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미술활동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대학원.
6. 구수연 (2021). COVID-19 팬데믹 기간 동안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실태와 지원요구. 다문화콘텐츠연구, 36, 7-43.
7. 김서현, 구혜완, 백수정, 정익중(2015). 빈곤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누적위험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31, 225-251.
8. 김승윤, 조규영 (2020).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도움정도의 예측변수 탐색: 서비스 이용 아동의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4(4), 71-87.
9. 김영란, 정윤덕 (2021). 무용 지도자의 전문성 형성 과정 :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5, 225-240.
10. 김영애(2018). Movement Dialogue 무용동작치료를 통한 다문화 아동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 향상 연구.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2(1), 39-55.
11. 김영애(2018). Movement Dialogue 무용동작치료를 통한 다문화 아동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 향상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12. 김유지(2006).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13. 김종운, 신옥순(2020). 정서조절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 초기 청소년의 정서표현성과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3), 527-547.
14. 김종임, 윤혜선(2007). 청소년부터 노인까지 생명사랑문화 프로그램, ‘급증하는 자살, 무엇이 문제인가?’. 제7회 가톨릭 포럼 학술대회, 54-73.
15. 김종임, 윤혜선, 한선옥(2008). 군 생활 적응 향상프로그램이 전․의경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자아존중감,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5(3), 387-394.
16. 나민지, 공순구 (2015).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 분석에 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58-263.
17. 남동진(2021.04.26.). 운영난에 10년간 40% 문닫아...‘돌봄 최전선’ 지역아동센터 지원 절실. 고양신문. https://www.mygoy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63522
18. 남상선(2018). 4차 산업혁명시대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한 통합예술치료사의 전문성과 가치에 대한 질적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14(1), 1~25.
19. 노상우(2021.04.17.). 코로나 19 고통, 빈곤 가구 아동들이 더 겪는다. 쿠키뉴스. 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104170005
20. 민하영, 유안진(1998).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아동학회지, 19(2), 77-96.
21. 박선희(2010).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 스트레스 완화와 또래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0(1), 25-51.
22. 박정원, 정유희(2012).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건강상태. 스트레스연구, 20(4), 309-320.
23. 박진선(2018). 정서조절과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시설보호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2(2), 41-56.
24. 박진희, 오경미(2018). 상담에서 내현적 비언어 의사소통에 관한 고찰: 정신분석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0(2), 1-28.
25. 서혜전, 이미애(2015). 지역아동센터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아동중심실천연구, 12(1), 1-23.
26. 성연수(2013). 문화예술 지원사업 접근의 집단표현예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7. 염동문, 이재경(2019).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학교적응 변화유형과 예측요인에 대한 종단적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60, 29-55.
28. 오성배(2005).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 32(3), 61-83.
29. 원길수, 박숙희(2010). 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1(2), 429-447.
30. 윤경미(2010). 심리 정서적 지원을 위한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집단예술치료-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31. 윤라미, 박윤미(2019).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성장과 또래관계에 대한 인간중심 미술치료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26(2), 293-325.
32. 윤지원(2020.11.03.). 코로나 돌봄공백...취약계층 아동 3% “하루 한 끼 이상 거른다”. 경향신문. https://m.khan.co.kr/national/health-welfare/article/202011032047005#c2b
33. 윤혜선(2013). 해피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이 임상간호사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9, 53-74.
34. 윤혜선, 김예진(2015). 초등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해피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의 적용 사례. 한국무용과학회지, 32(4). 13-31.
35. 윤혜선, 윤현서(2022).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 문제 예방을 위한 해피아트테라피 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39(1), 1-27.
36. 이경훈(2018).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37. 이보람, 김현정, 김태종, 김부열, 박혜준. (2018).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인식하는 이용아동의 발달특성과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아동복지학, 62, 165-205.
38. 이수연(2019). 학교현장에서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예술교육 연구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0), 923-944.
39. 이윤정, 박성현(2011). 게슈탈트 예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게슈탈트치료연구, 1(2), 1-29.
40. 이은수, 이수용, 홍세희(2016).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만족도가 이용아동의 학교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0, 59-85.
41. 이진희(2016).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42. 인천일보(2021. 08.31). [사설]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인식 바로 잡아야.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10689.
43. 정희자(2016). 무용교육을 통한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자존감 향상에 관한 연구. 예술교육연구, 14(1). 97-118.
44. 조영숙(2012).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4(1), 291-314.
45. 조유리, 강현아(2011). 아동빈곤이 가정 내 사회적 자본과 문화적 자본을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5(3), 369-390.
46. 조홍식, 정선옥, 김진숙, 권지성 역(2015). John W. Creswell 저.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47. 주미경, 김동철(2016). 예술을 통한 심리정서의 지원으로서 문화교차학적 심리프로그램 개발 연구. 조형교육, 57, 245-272.
48. 진성경(2012).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활용한 무용/동작 심리치료가 다문화 가정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연구 :예비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49. 진아영(2016).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기통제와 정서표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50. 채민석(2021.04.18.). 코로나 19로 빈곤가구 아동 더 많은 어려움 겪어. 국방신문. http://www.baby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134.
51. 최순옥, 조상윤. (2011).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존감 및 스트레스 대처 기술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분석. 한국가족복지학, 16(4), 97-117.
52. 최은혜(2019). 대중문화 활용 예술치료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53. 하정임(2005). 무용/동작치료에서 Laban 움직임 분석 이론 적용의 가능성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54. 홍나미, 김시아, 정익중(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문화예술교육 참여경험. 문화예술교육연구, 16(5), 29-56.
55. Gratz, K. L., & Roemer, L. (2004).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BehavioralAssessment, 26, 41-54.
56. Hayes, S. C., Strosahl, K. D., & Wilson, K. G. (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57. Kring, A. M., Smith, D. A., & Neale, J. M. (1994). Individual differences in dispositional expressivenes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5), 934-949.
58. Salovey, P., Mayer, J. D., Goldman, S. L., Turvey, C., & Palfai, T. P. (1995).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In J. W. Pennebaker (Ed.). Emotion, disclosure, & health (pp. 125-154)Washington, DC, U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9. Tortora, S. (2005). Dancing Dialogue (Using The Communicative Power Of Movement With Young Children). Baltimore: Paul H Brookes Pub Co.
60. Yasuda, T. U., & Watanabe, N. T. (2008). Method of program evaluation. Tokyo: Shinyos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