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아카이브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8 , No. 4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8, No. 4, pp. 1-25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1
Received 24 Aug 2021 Revised 01 Oct 2021 Accepted 13 Oct 2021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1.38.4.1

무용전공 대학원생의 무용동작치료 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
윤혜선*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 무용과 부교수, 교신저자 (dasoma40@naver.com)

A Study on the Dance Movement Therapy Class Experience of Dance Major Graduate Students
Hye-Sun Yoon*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Performing Arts, Department of Dance, Dongduk Women's Univ

CopyrightⒸ 2021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Funding Information ▼

초록

이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원생들이 무용동작치료 수업에서 의미 있게 인식한 경험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은 무용동작치료를 처음 경험하고, 무용경력 10년 이상, 무용교육 및 공연예술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대학원생 10명을 선정하였고, 개별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접된 자료는 Moustakas의 현상학적 분석 절차를 참고하여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무용전공 대학원생들의 무용동작치료 경험에 관해 35개의 의미 단위, 8개의 주제와 4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에서 드러난 4개의 본질적 주제는‘몸과 마음의 치유’,‘무용 가치관의 변화’.‘무용지도자로서 성찰과 통찰’,‘무용작품 활동에서 무용동작치료의 활용’으로 나타났다. 무용동작치료 수업 경험에 관한 본질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 대학원생들은 무용동작치료 수업을 통해 몸과 마음의 관계를 이해하고 자기수용과 내적 치유를 경험함으로써 무용수행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원생들은 무용동작치료 수업을 통해 무용에 대한 고정관념에 대해 통찰하고, 춤의 치유적인 원리와 가치를 새롭게 인식함으로써 무용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셋째, 무용전공 대학원생들은 무용동작치료 수업이 무용교육현장에서 무용지도자의 역할과 소통방법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넷째, 무용전공 대학원생들은 무용동작치료 수업을 통해 무용수의 관점에서 춤의 긍정적인 변화를 촉진하고, 무용창작역량 함양에도 도움을 줌으로써 무용작품 활동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무용인들에게 특화된 무용동작치료의 효과적인 활용방안과 무용동작치료의 활성화를 논의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Dance Major Graduate Students in Dance Movement Therapy class in-depth. To this end, 10 graduat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dance movement therapy for the first time and continued dance education and performance activities for more than 10 years were set as participants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Moustakas' Phenomenological analysis procedure was referred to and conducted. As a result of analysis, we drew 35 meaning units, 8 themes and 4 essential themes regarding the Dance Movement Therapy experience of Dance Major Graduate Students. It was discovered that the 4 essential themes revealed in the study include 'Healing of Body and Mind', 'Change in Dance Value', 'Reflection and Insight as a Dance Instructor‘, and ‘Utilization of Dance Movement Therapy in Dance Work Activities'. The essence and meaning of Dance Movement Therapy class are as follows. First, Dance Major Graduate Students recognized that Dance Movement Therapy allows them to understand the relation of body and mind and to help them in enjoying a healthy life as well as dance performance by experiencing the self-acceptance and inner healing. Second, Dance Major Graduate Students experienced a change in value regarding dance by having insight on the stereotypes of dance and newly recognizing the healing principle of value of dance through Dance Movement Therapy class. Third, Dance Major Graduate Students experienced that Dance Movement Therapy class helps to improve the role and communication method of dance instructors at the dance education site. Fourth, Dance Major Graduate Students experienced that Dance Movement Therapy allows them to promote a positive chang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dancer and help enhance dance creation ability, resulting in the useful utilization in dance work activit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in discussing the effective utilization plan of Dance Movement Therapy specialized for dance artists and the activation of Dance Movement Therapy in the future.


Keywords: dance, dance major graduate students, dance movement therapy, experience study
키워드: 무용, 무용전공 대학원생, 무용동작치료, 경험 연구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도 동덕여자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것임


References
1. 강수현(2015). 무용치료 체험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위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 강승정(2008). 무용수의 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기지각.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3. 고경순, 김나영, 남희경, 이상명, 최희아 역(2012). 무용동작치료 '치유의 예술' (Fran J. Levy 지음), 서울:시그마프레스.
4. 권미혜, 김홍범(2016). 내·외면적 여가경험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레저학회, 28(4), 225-243
5. 김경빈(2002). 창작표현을 매체로 한 무용, 동작치료의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6. 김나영(2007). 무용동작치료의 이해. 한국재활치료학회, 1(1), 116-117.
7. 김미숙(2014). 무용전공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선호직업유형과 교과과정 만족도. 한국무용연구, 32(2). 51-76.
8. 김선정, 최리나(2012).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정서와 내적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 70(2). 223-245.
9. 김선영(2018). 공연예술인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연극뮤지컬 분야의 배우와 연출가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10. 김연진(2008). 지도자의 지도행동 유형이 무용전공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11. 김은정(2016). 직업무용수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2. 김정은(2012).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무용전공 대학생이 무용창작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기록학회, 24, 1-17.
13. 김정숙(2018). 예술역량 강화를 위한 무용심리분석. 한국무용예술학회, 72(5), 25-39.
14. 김지영, 주형철, 윤인애(2013). 무용교육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 지도자 신뢰 및 무용몰입의 구조적 관계.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1(3), 1-24.
15. 김화숙, 신은경, 신정희, 임혜자, 오레지나, 한혜리(2015). 무용교육론. 서울: 한학문화.
16. 나경아(2016). 무용전공생 웰니스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 보고서.
17. 남정은(2018). 무용동작치료에 참여한 직업무용수들의 경험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8. 남정은, 고경순(2020). 무용/동작치료에 참여한 직업무용수들의 경험 연구-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무용예술학연구, 78(2), 45-70.
19. 노경, 유기웅(2018). 코칭 과정에서 전문코치의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커리어·학습코칭연구소, 2(2), 71-93.
20. 류분순(2007). 무용동작치료학. 서울:학지사.
21. 류분순(2017). 무용·동작심리치료. 서울:학지사.
22. 박선정, 민현주(2018). 생활무용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긍정심리자본 및 갈등관리방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6(5), 65-84.
23. 박숙희(2003).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창의성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4), 131-146.
24. 박순용, 김아람(2017). 공대 대학원생의 대학원 생활 및 진로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역량개발 학습연구, 12, 109-137.
25. 박중길, 최만식, 문익수(2001). 직업무용수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안. 한국체육학회지, 40(3). 209-220.
26. 신하라(2017). 무용동작치료를 통한 힐링 공연 활성화 연구.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7(1), 111-123.
27. 안정훈(2016).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무용전공생들의 감정반응 및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4(1), 121-138.
28. 양주희(2018). 현대무용 전공자를 위한 HLAP 표현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9. 염지훈(2016). 직업무용수의 전문직업성과 직업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30. 오레지나(2014). 쌍방향 소통을 위한 무용교수법의 원리 탐색.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5(2), 17-28.
31. 윤혜선, 김예진(2019). 표현예술상담 수업에 대한 무용전공자의 경험 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36(2). 61-78.
32. 이경탁(2010). 교수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사용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논집, 18(4), 125-140
33. 이수연, 한혜원, 박인자(2017). 무용전공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자기관리와 무용수행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6(4), 817-829.
34. 이수연(2020). 무용전공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스트레스 대처 및 무용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8(6), 197-214.
35. 이준모(2020). 무용전공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 무용스트레스, 무용몰입, 공연불안의 관계.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8(4), 161-179.
36. 장성화, 이주연(2021). 무용동작치료 연구동향 분석: 2010년~2020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5(1), 71-86.
37. 조아라(2006). 무용전공자의 스트레스 요인과 무용학업 성취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38. 조주성, 홍예영, 장은진(2020). 예술인의 심리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연기예술연구, 18, 177-197.
39. 조현섭(2019). 예술인 심리상담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 연기예술연구, 15, 141-161.
40. 조현섭, 강은주, 조성민, 이유경, 박민선, 신유진(2019). 예술인 심리상담 연구. 연기예술연구, 14, 93-114.
41. 최은혜(2018). 직업무용수들의 자기관리행동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6(2), 679-688.
42. 황성우(2008). 창의적 무용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자아 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43. 현경아(2009). 무용인의 직업적 삶에 대한 희망과 좌절.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44. Creswell, J. W.(2013).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2015).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45. Dewey, J.(1933). How we think. Boston. MA: Health and Company.
46. Moustakas, C.(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47. Levy. F.(2005) Dance/Movement Therapy: A Healing Arts. Reston, Va: .National Dance Association, Americ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2nd Revised edition.
48. Ludwig, A. M.(1992). Creative achievements and psychopathology: Comparisons among professions.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64, 330-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