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아카이브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 No. 4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No. 4, pp. 55-66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0
Received 31 Aug 2020 Revised 25 Sep 2020 Accepted 13 Oct 2020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0.37.4.55

고전 발레 레퍼토리와 음악적·인문학적 요소를 활용한 발레 클래스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신은석*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 무용전공 겸임교수 (ssballet@naver.com)

Development of Adult Ballet Program integrating Classical Ballet Repertory, Musical and Liberal Art Element and its effect analysis
Eunseok Shin*
*Professor, College of Art, Kookmin University

CopyrightⒸ 2020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성인 취미발레 수업에 참여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발레 수업의 모형을 구성하여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성인 취미발레 수업의 강의안으로 활용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고전 발레 작품 레퍼토리와 음악적·인문학적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려한 발레 클래스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전문무용센터에서 성인 취미발레 클래스를 수강하는 수강생 400명을 대상으로 통제집단에는 기존의 발레 클래스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에는 연구자가 개발한 발레 클래스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8월부터 12월까지 총 20주에 걸쳐 10차시 지도안을 적용하여 수업에 참가한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Windows용 SPSS 25.0을 통해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행복감을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고전 발레 작품 레퍼토리와 음악적·인문학적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려한 발레 클래스 프로그램이 기존의 프로그램에 비해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행복감을 높이는데 더 효과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단순한 동작 습득과 기본기 위주의 반복 훈련으로 구성된 기존의 성인 취미발레 클래스를 개선하여 인문학적·음악적 요소의 인지적 접근을 병행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본 논문을 통해 제안함으로써 성인 취미발레 수업의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oretical guideline of the ballet class program for instructors by demonstrating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ntegrating classical ballet motions, musical and liberal art’s elements has positive impact on learners’ physical self-efficiency and psychological happiness. 400 participants taking adult ballet clas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Bandura, Ryckman, Robbins, Thornton, Cantrell, Neulinger’s theory and survey tool developed by Ryckman, Robbins, Waterman, Ryff was applied. Independent-t-test and paired-t-tes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urvey responses from the control group who experienced current ballet clas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on newly developed program. As a result, the ballet class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as more effective both on physical self-efficiency improvement and psychological happiness enhancement than the current ballet class program was.


Keywords: Ballet Class, Ballet Teaching Method, Adult Ballet, Ballet Music, Classical Ballet Repertory
키워드: 성인 취미발레, 발레 클래스, 자기효능감, 발레 작품, 발레 음악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6년도 박사학위 논문 <고전 발레 레퍼토리를 활용한 성인 취미발레 프로그램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수정·보완한 논문임


References
1. 강영옥(2010). 성인발레 수업 참여가 신체상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 공윤정(2011). 여성의 발레 수업 참여 정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여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3. 김나영(2012). 심리적 외상(Trauma)에 대한 신체 심리 치료 적용의 당위성.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0(3), 1-15.
4. 김미영(2020). 과정 중심 무용의 치유적 기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8(3), 42-57.
5. 김보령(2012). 일반 성인 여성의 발레 참여에 따른 스트레스 해소와 신체적 만족도 조사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6. 김선(2013). 생활 무용 참여 노인의 자기효능감,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 만족도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20(1), 175-191.
7. 김수경(2013). 성인발레 수강생의 참여도 및 신체 존중감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8. 김순정(2010). 일반 대학생을 위한 발레 수업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13(13), 117-127.
9. 김은주(2008). 생활 무용 참가자의 참가 동기와 심리적 웰빙 및 생활 만족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16(16), 13-31.
10. 김정향(2019). 소매틱 기반 표현 예술 치료가 트라우마 생존자의 외상화된 자기 체계와 신체화에 미치는 효과.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7(4), 62-86.
11. 김지혜(2015). 성인발레 수업이 기초 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 조사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2. 김혜정(2010). 일반인의 무용 공연 관람 동기가 정서 경험과 무용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1(21), 1-18.
13. 목정원(2014). 성인 취미발레 교육과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4. 문병남(2015). 성인발레 수강생들의 애로사항 구조개념 및 척도 개발. 한국무용과학회지, 32(4), 33-44.
15. 박아영(2005). 사설무용학원의 성인발레교육에 대한 실태 조사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6. 박재홍(2005). 취미발레 수업 참여자의 동기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43, 164-174.
17. 성예진(2016). 대학 무용 전공자들의 전공유형별 무용학습 참여 동기 차이.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4(5), 60-72.
18. 유종선(2001). 발레 활성화를 위한 초심자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9. 양명환(2004). 직장인들의 운동 참여 동기, 참여수준 및 지속 의도 간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7(2), 33-52.
20. 양명환(1998). 볼링중독성향과 심리적 행복감. 한국체육교육학회지, 37(4), 217-222.
21. 이윤주(2002). 신체적 자기개념이 자긍심,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7, 319-327.
22. 인정아(2013). 성인발레 학습자의 무용 인식에 따른 재미 요인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3. 전지윤(2009). 성인 여성의 무용 활동 참여 정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신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4. 최재희, 이화석(2013). 생활 무용 참여 노인의 참여 동기, 여가 만족, 생활 만족,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1(1).
25. 허가영(2014). 평생교육으로서 성인발레 교육의 새로운 흐름과 전망.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2(6), 237-258.
26. 허가영(2015). 성인발레교육 경험이 개인의 문화 향유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8(3), 232-249.
27. 허경자(1995). 차이코프스키 음악이 발레 발전에 미친 영향. 한국무용협회 학술논문집, Vol. 2, 42.
28. 홍성욱(2013). 발레 수행 시 음악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0(3), 175-186.
29.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30.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31. Bandura, A. (1993).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8(2), 117-148.
32. Bandura, A. (2001).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박영신, 김의철(편, 역). 자기효능감과 삶 의질. 교육, 건강, 운동, 조직에서의 성취. 서울: 교육과학사(원저 1997 출판).
33. Gayle & Danielle (2003) Gayle, K., & Danielle, M. J. (2003) Methods and Curricalum Design. Illinois: Human Kinetics.
34. Gretchen Ward Warren(1989), Classical Ballet Technique, 서차영 역(2003), 클래식 발레 테크닉. 서울:대한미디어
35. Ryckman, R. M., Robbins, M. A., Thornton, B.,& Cantrell, P.(198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hysical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6. “백조처럼 우아하게” 취미발레에 빠진 어른들 (2019년 9월 21일).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921/975046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