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아카이브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 No. 4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No. 4, pp. 1-10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0
Received 31 Aug 2020 Revised 25 Sep 2020 Accepted 13 Oct 2020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0.37.4.1

24주간의 복합무용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신체구성, 등속성근기능 및 PAPS에 미치는 영향
연혜민* ; 윤기혁** ; 방현석***
*동명대학교 보건복지교육대학 유아교육학과 조교수
**동명대학교 보건복지교육대학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동명대학교 보건복지교육대학 스포츠재활학과 조교수, 교신저자 (banghs@tu.ac.kr)

The Effects of 24 Week Complex Danc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an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PAPS) of Children at Local Children’s Centers
HyeMin Yeon* ; KiHyok Youn** ; HyunSeok Bang***
*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Health Social Welfare and Educati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ngmyong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Health Social Welfare and Educati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ongmyong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Health Social Welfare and Education, Department of Sport Rehabilitation, Tongmyong University

CopyrightⒸ 2020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24주간의 복합무용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신체구성, 등속성근기능, PAPS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지역아동센터의 17명 아동들은 복합무용프그램집단 9명, 대조집단 8명으로 구분하였다. 복합무용프로그램은 총 24주간 실시하였으며, 1-6주는 35분, 7-12주는 40분, 13-18주는 45분, 19-24주는 50분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ɑ=.05로 하였다. 연구결과 신장은 두 집단 모두 6개월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체중은 대조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BMI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지만, 등속성근기능과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은 복합무용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의미있는 증가를 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하여 12주후와 24주후에서 모두 의미있는 증가를 보인점으로 미루어볼 때 본 연구 복합무용프로그램은 장기간 지속될수록 신체전반적인 체력의 증가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신체적・정신적 특성이 고려된 본 연구의 복합무용프로그램은 아동의 근 기능 및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요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4 week complex danc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an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PAPS) in children at local children`s centers. 17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complex dance program group of 9 and comparison group of 8. Complex dance program was conducted for 24 week and it was practiced for 35 minutes from the 1st to the 6th week, 40 minutes from the 7th to the 12th week, 45 minutes from the 13th to the 18th week, and 50 minutes from the 19th to the 24th week.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05. Heigh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and weight was increased only in comparis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but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muscle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plex dance program group showing significant increase after 12 weeks and 24 weeks. These result derive a conclusion that complex dance program can be a training method to educe motor skills as it is practice longer. These result shows that complex dance program considering physical and mental characteristic of children at local children`s centers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herapy for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muscular function and physical strength.


Keywords: complex dance program,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local children center, PAPS
키워드: 복합무용프로그램, 지역아동센터, 등속성근기능, 학생건강체력평가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9). 학생건강체력평가제(PAPS)측정 매뉴얼.
2. 교육부(2019). 제1차 학생건강증진 기본계획. 19-23.
3. 김원명(2010). 방과후 활동 중 무용활동 참여에 따른 초등학생의 건강체력과 신체적 자기개념의 비교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4. 김주영(2019). 초등학생의 번지플라이 운동참여가 건강체력과 운동열정 및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4(3), 97-110.
5. 김혜진, 김은영(2016). 집단 작업 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시지각 및 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14(1), 9-18.
6. 남숙현, 류호상(2017). 장기간의 무용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기초체력과 자아존중감 및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 17(3), 31-42.
7. 남숙현(2015). 12주간 무용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기초체력과 자아존중감 및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대학원.
8. 노현식(2019). 저항운동과 발레복합 운동이 비만노인여성의 노화관련호르몬, 심혈관반응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과학회지, 8(3), 181-194.
9. 문영희(2012).아동의 빈곤예방 및 지원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 및 보완방안. 법과정책연구, 12(2), 519-541.
10. 문종호(2017). 아침체육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건강체력, 사회성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1. 박지영, 백수연, 임미해(2018).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건강 관련 중재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아동간호학회, 24(2), 241-251.
12. 박해찬, 김양수, 석상훈, 김태균, 이수경(2013). 성장기 아동·청소년의 외반슬 수준에 따른 비만 지표, 하지 근력 및 유연성 차이. 한국발육발달학회, 21(3), 193-197.
13. 석상훈(2013). 외반슬을 가진 성장기 학생의 기능성 운동이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서울.
14. 윤성준(2019). 초등학생의 비만유발유전자 다형에 따른 신체구성, 뇌신경세포 성장인자와 기억력과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 14(1), 423-433.
15. 윤신중, 백승현(2014). 어린이 요가프로그램이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31(2), 185-195.
16. 이경희, 김현남(2010). 마리 뷔그만의"순수 무용(absolute dance)"에 나타난 무용동작치료적 요소. 한국체육철학회지, 18(4), 219-231.
17. 이지영, 이청무, 박현정, 황명자(2009). 비만 초등학생의 한국무용 참여가 건강체력 및 성장매개체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5(2). 37-48.
18. 이훈, 신혜종(2008). 지역아동센터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홍성군 아동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4(1), 167-193.
19. 임지유(2019). 저항운동과 발레복합 운동이 비만노인여성의 노화관련호르몬, 심혈관반응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창원.
20. 장혜지, 박태섭, 김상유(2013). 초등학생의 무용 활동경험이 정서 발달 및 건강관련체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여가웰니스학회지, 4(1), 9-17.
21. Hardy, L. L., Reinten-Reynolds, T., Espinel, P., Zask, A., & Okely, A. D. (2012).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low fundamental movement skill competency in children. Pediatrics, 130(2), e390-398.
22. Hatam, A., Hasan, G., & Vahid, K.(2012). A comparison of postural abnormalities in athlete and non-athlete elementary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Studies, 2(8), 406-408.
23. O'Malley, G., Hussey, J., & Roche, E.(2012). A pilot study to profile the lower limb musculoskeletal health in children with obesity. Pediatric Physical Therapy, 24(3), 292-298.
24. Pantano, K. J., White, S. C., Gilchrist, L. A., & Leddy, J.(2005). Differences in peak knee valgus angles between individuals with high and low Q-angles during a single limb squat.. Clinical Biomechanics, 20(9), 966-972.
25. Pienaar, A. E., Barhorst, R., & Twisk., J. W. (2014).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SES school type and perceptualmotor skills in first grade South African learners: NW-CHILD study.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40(3), 370-378.
26. Rogers, D. (1985). Adolescents and youth(5th ed.), New Jersey: Prentice-Hall Inc.
27. Striegel-Moor, R. H. (2001). Body image concerns among children. The Journal of Pediatrics, 138(2), 158~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