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아카이브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 No. 3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No. 3, pp. 67-84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ul 2020
Received 31 May 2020 Revised 02 Jul 2020 Accepted 21 Jul 2020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0.37.3.67

무용전공자를 위한 진로흥미적성 검사도구 개발의 방향성 탐색 : Holland 모델 기반의 무용직업유형(DOT)의 적용
김은혜** ; 윤정옥*** ; 김지영****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연구교수
***상명대학교 예술대학 무용학과 박사수료
****상명대학교 예술대학 무용학과 조교수 (artsedu@smu.ac.kr )

A Study on Development of Career Interest Aptitude Test Tool for Dance Majors : Application of Holland Model based Dance Occupational Theme
Eunhye Kim** ; Jeong Ok Yoon*** ; Jiyoung Kim****
**Research Professor, Global Research Institue for Arts & Culture Education, Sangmyung University
***PhD. Candidate, College of Sports and Dance, Department of Dance, Sangmyung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Sports and Dance, Department of Dance, Sangmyung University

CopyrightⒸ 2020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Funding Information ▼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자의 진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무용 분야의 직업에 대한 진로흥미적성 검사도구의 개발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무용직업군 유형 및 분류체계(Dance Occupational Theme)를 토대로 문헌연구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하여 무용흥미적성 검사도구의 예비 문항을 추출하였다. 예비 문항은 DOT에서 제시된 예술형, 사회형, 진취형, 사무형, 현장형, 탐구형 6개 유형을 토대로 성격적성 60문항, 직업적성 61문항 총 121문항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문항구성의 적합도와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기술통계분석, 신뢰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는 예술고등학교 재학생 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무용전공자를 위한 무용진로흥미검사도구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무용전공자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반영한 진로흥미적성 검사도구를 개발하여야 한다. 둘째, 무용전공자의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키고 자기이해, 진로정보탐색 그리고 진로설계에 필요한 역량을 습득할 수 있는 체계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이 연구는 무용진로흥미적성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무용전공자를 위한 유일한 진로검사 도구를 개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n interesting aptitude tool for the career education of high school dance majors in the field of danc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liminary questions of dance interest aptitude test tool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xpert advisory meeting based on Dance Occupational Theme. The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rived from the total of 121 items including 60 personality aptitudes and 61 occupational aptitudes based on the six types of artistic, social, enterprising, conventional, realistic, investigative in DOT. the appropriateness and content validity of item composition were verifi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test were conducted. The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with 53 students from art high school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dance career interest test tool for high school students is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test. Firs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st tool that reflects the aptitude of dance majors. Secondly, it should be composed of systematic contents to improve the ability of reasonable career decision making in youth period, to acquire the ability necessary for self-understanding, career information search, and career design. Thirdly, the development of dance career interest aptitude test tool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only career test tool for dance majors.


Keywords: Dance Majors, Dance Career Education, Career Interest Inventory, Dance Occupational Theme
키워드: 무용전공자, 무용진로교육, 진로흥미적성 검사, 무용직업군 유형 및 분류체계, 직업적 성격유형이론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5B8058996).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ction of Korea(NRF-2017S1A5B8058996).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과학기술부(2010).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 업무추진계획.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김윤정(2015). 중·장년 이직자의 직업의식이 조직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4. 김지영, 김은혜, 이지영(2019). 무용직업군 유형 및 분류체계 표준 개발. 무용예술학연구, 73(1), 67-93.
5. 김지영, 박인실, 임수진(2017). 무용전공자를 위한 진로개발역량 검사지 개발 및 타당화 검증: 사회인지진로이론 (SCCT) 의 관점. 한국체육학회지, 56(2), 461-475.
6. 김지영, 임수진, 김형남(2016). AHP 분석을 활용한 무용진로개입의 체계적 접근 방안: 직업지도, 진로교육 및 상담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55(6), 661-676.
7. 민지혜(2016). 예술 고등학교 음악과 학생들의 진로의식 및 진로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윤희(2016). 진로 탐색 및 직업 선택: NCS 직업기초능력의 이해와 실습. 서울: 시그마프레스
9. 이미리, 조성연, 길은배, 김민(2014). 청소년학개론. 서울: 학지사.
10. 이수영, 배정주(2011). 자아계발과 진로교육을 통한 창의성 계발과 음악교육과의 관계연구. 한국예술연구, Vol.- No.3.
11. 이재창, 조붕환, 최인화, 임경희, 박미진, 김진희, 정민선, 최정인, 김수리(2014). 상담전문가를 위한 진로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12. 장소영(2014). 중학생용 진로교육과정기준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편무생(2015). 고등학교 학생들의 자아개념과 진로의식에 관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Gable, R. K., & Wolf, M. B. (1993). Instrument development in the affective domain (Vol. 36).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5. Han, S. J. (2017). Promoting Entrepreneurship for Dance Majors in Higher Education. Research in Dance and Physical Education, 1(2), 29-39.
16. Havighurst, R. J. (1953). Human development and education. N.Y : Longnans, Green & Co.
17. Holland, J. L. (1997).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8. Huck, S. W. (1996). 8: Cormier, WH (1996). Reading statistics and research.
19. Meir, E. I., & Gati, I. (1981). Guidelines for item selection in inventories yielding score profil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1(4), 1011-1016.
20.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The assessment of reliability. Psychometric Theory, 3(1), 248-292.
21. Park, H. Y. (2018). Extending the Career Path of Dance Professionals: Type and Process of Dance Curation, and Practice. Research in Dance and Physical Education, 2(1), 5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