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아카이브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 No. 3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No. 3, pp. 13-33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ul 2020
Received 31 May 2020 Revised 06 Jul 2020 Accepted 21 Jul 2020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0.37.3.13

무용지도자가 경험한 노인무용교육의 어려움과 바람
이연정* ; 윤혜선**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무용융합콘텐츠학과 박사과정 (younjong93@naver.com)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 무용과 부교수, 교신저자 (dasoma40@naver.com)

Difficulties and desires of dance teachers in elderly dance education
YeonJeong Lee* ; Hye-Sun Yoon**
*General Graduate School the Doctor’s Course in Dance, Deprtment of Dance Convergence Contents, Dongduk Women’s University (younjong93@naver.com)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Dance, College of Performing Arts, Dongduk Women’s University (dasoma40@naver.com)

CopyrightⒸ 2020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노인무용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무용지도자가 경험한 어려움과 노인무용교육의 개선을 위한 바람에 대해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10년 이상의 무용경력과 최소 3년 이상의 노인무용교육 경력을 갖춘 무용지도자 8인을 선정하여 개방형 질문지와 일대일 심층면담을 통해 조사하였고, 조사 자료는 전문가 회의를 통해 수정, 보완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지도자가 경험한 ‘노인무용교육의 어려움’에 대한 분석 결과는 크게 3가지의 주제로 분류되어 ‘노인무용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어려움’, ‘지도자의 지도역량 및 교수법에 따른 어려움’, ‘교육활동에 따른 사회 환경적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무용교육의 발전과 개선을 위한 관점에서 무용지도자가 제안한 ‘노인무용교육에 대한 바람’을 분석한 결과는 4가지의 주제로 분류되어 ‘소통의 장 조성’, ‘ 무용교수법의 다양화’, ‘노인무용교육 지도자의 인식변화’, ‘노년기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무용교육의 확산’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인무용교육 현장에서 활동하는 지도자들의 고충 개선과 더불어 향후 노인무용교육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 지도자들과 노인시설의 종사자들이 노인무용교육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거시적 차원에서는 초고령화 사회의 진입을 앞두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노인무용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dance teachers who are in the field of elderly dance education and the desire to improve elderly dance education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is purpose, 8 dance teachers with 10 years of dance experience and at least 3 years of elderly dance education experience were selected and surveyed through open questionnaires and one-on-one in-depth interviews.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through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processes from expert meet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difficulties in elderly dance education' experienced by dance teacher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topics, 'difficult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dance learners', 'difficulty due to the teacher's leadership skills and teaching methods',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difficulties due to educational activities'.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elderly dance educa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esire on elderly dance education' suggested by dance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topics, 'creating a place for communication', 'diversification of dance teaching methods', 'change of perception of elderly dance education teachers', and 'expansion of dance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valuable data to improve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who are in the field of elderly dance education, as well as pre-service teachers preparing for work in the field of elderly dance education in the future and staff in elderly facilities,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elderly dance education. On a macro level,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revitalization of elderly dance education in Korean society as it is about to become a super-aged society.


Keywords: elderly dance, dance education, elderly dance education, dance teachers, super-aged
키워드: 노인무용, 무용교육, 노인무용교육, 무용지도자, 초고령화

References
1. 강순화, 김공(2010). 노인체육지도자 역할 척도 개발 : 생활체육 참여 노인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9, 461-473.
2. 고재욱(2012). 문화예술진흥법 개정으로 본 노인의 문화권 증진 고찰 -노인 여가․문화를 중심으로-. 스포츠엔터테이먼트와 법, 15(2), 11-146.
3. 김기태, 최송식, 박미진(2007). 노인의 심리사회적 자원과 스트레스 및 우울과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36, 91-111.
4. 김보미(2017).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점으로 바라본 대학 무용교육전문인 양성교육과정 인식 탐색. 예술교육연구, 15(1), 1-18.
5. 김보미, 유정애(2017).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대학 무용교육전문인 양성 교육과정 기준 개발. 예술교육연구, 15(3), 101-117.
6. 김상진(2018). 문화예술교육의 노인복지 지원 활성화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7. 김애경(2000). 대학무용 지도자의 리더십 형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8. 김연진(2008). 지도자의 지도행동 유형이 무용전공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9. 김지영, 윤정은, 홍애령, 이소미(2017). 학교무용의 위치 찾기: 이해관계자 분석을 통한 정책 및 공법적 검토.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4(2), 79-100.
10. 김지영, 홍애령(2019). 미래 학교무용교육을 위한 정책 제도의 쟁점과 발전 전략.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6(4), 163-184.
11. 김현주(2014). 노인대상 예술통합형 창의적 움직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연구. 무용역사기록학, 33, 87-111.
12. 도기현, 원영신, 이민규(2015). 노인체육지도자들의 감정노동과 감정부조화 그리고 직무소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1, 483-492.
13. 문지현(2016).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국외음악치료연구 메타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4. 박미정, 이재형(2008). 노인의 생활무용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3(1), 705-714.
15. 박연희, 최환석(2016). 노인체육 지도자에 대한 참여자의 감정반응이 성취목표와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5), 186-194.
16. 박은희(2010). 문화예술교육 정책에서의 무용교육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방안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63(63), 69-84.
17. 배성한(2013).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운영의 문제점 및 무용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8, 101-120.
18. 백지은(2018).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감에 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6(2), 403-413.
19. 보건복지부(2018). 독거노인의 안전하고 행복한 노후, 포용적, 지역공동체 돌봄을 위한 제2차 독거노인 종합지원대책. 보건복지부.
20. 성병창, 부재율, 한경임, 이경화(2009).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 조사. 수산해양교육연구, 21(1), 78-95.
21. 오레지나(2014). 쌍방향 소통을 위한 무용교수법의 원리 탐색.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5(2), 17-28.
22. 유지영(2015). 노인무용 교육효과의 치유작용 메커니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4), 114-121.
23. 유지영(2020). 노인대상 한국무용 지도자의 애로요인 탐색 : PBL 문제개발로의 확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3), 93-103.
24. 윤관기(2018). 오르프 교수법이 적용된 음악활동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향상에 미치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2), 917-937.
25. 윤혜선(2015). 무용전공 대학생이 인식한 교수의 지도행동유형이 자기조절과 무용능력믿음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2(2), 1-16.
26. 윤혜선, 김예진(2018). 무용전공자가 경험한 유아무용지도 과정의 난점 분석을 통한 개선 방향 탐색. 한국무용과학회지, 35(4), 43-60.
27. 윤혜선, 이연정(2018). 노인 대상 한국춤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5(2), 35-49.
28. 이강, 조광민, 박상현(2019). 노인스포츠 지도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7, 355-371.
29. 이병영(2011).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음악활동 프로그램 활성화방안 - 경남 김해시 노인생활시설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가야대학교 대학원.
30. 이상희, 원영신, 배재윤(2014). 노인체육지도자가 체험하는 생활체조 수업 제약 및 극복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3(1), 267-28.
31. 이소정, 정경희, 이윤경, 한정란, 유삼현(2009). 성공적인 제3기 인생준비를 위한 사회적 기반 조성. 보건복지가족부.
32. 이은미(2013). 여자중학교 학생들이 인식한 무용수업에서 교수지도유형이 학생들의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33. 이은형(2018). 초고령화 시대에 따른 무용의 역할과 필요성.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34. 이준흠(201909.01). [노인인권기획] 죽음조차 외롭다…늘어나는 노인 고독사. 연합뉴스TV. https://www.yna.co.kr/view/MYH20190901006000038 2020.05.29. 검색.
35. 이지현, 김상국(2016). 한국민속춤이 여성노인 신체, 인지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5(2), 535-547.
36. 전태준, 김동아(2017). 노인운동지도자의 교육신념과 노인들의 건강관련태도 및 여가욕구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12(2), 217-226.
37. 정미경, 이규미(2011). 노인의 상실경험과 자아통합감 수준에 따른 적응군집화 및 집단판별에 기여하는 변인. 한국노년학, 31(1), 79-96.
38. 정윤하(2015). 무용활동과 노인 심리건강의 관계분석. 한국과학예술포럼, 19, 613-621.
39. 최승호, 조병철, 전승환(2017). 노인 고독사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자기 결정론적 관점에서. 한국학연구, 62, 403-436.
40. 최현주, 정승혜, 이동수(2014). 경로당 활성화를 위한 노인 무용 프로그램 현황 및 시사점. 한국체육과학회지, 23(5), 1125-1135.
41. 추가영(2020.01.02.). ‘초고령화 사회’로 가는 한국...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001120698i2020.05.23. 검색.
42. 통계청(2019). 2019 고령자 통계. 대전: 통계청.
43. 홍미화(2016). 생활체조에 참여하는 노인의 자기표현과 자기효능감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0(4), 183-197.
44. 홍혜전, 전미라(2013). 40대 안무가의 직업적 삶과 바람. 한국체육학회지, 52(4), 401-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