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아카이브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 No. 1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No. 1, pp. 75-91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20
Received 06 Dec 2019 Revised 09 Jan 2020 Accepted 20 Jan 2020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0.37.1.75

지역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창의적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경영*
중국 싼야대학교

Development of Creative Dance Education Programs Using Local Culture Contents
Kyungyoung Kim*
University of Sanya
Correspondence to : *중국 싼야대학교 음악대학 무용창작과 교수Professor, Music College, Choreography Direction, University of Sanyacapezio9667@naver.com


CopyrightⒸ 2020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지역문화는 소속감 및 애착심을 바탕으로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지속적인 활용과 변환이 가능한 교육 콘텐츠로서의 가치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지역문화 콘텐츠를 활용하여 개발한 창의적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교육의 다양성과 개방성은 지역문화 콘텐츠 중 민속음악 및 전래동요로 연계하여, 무용교육 요소 중 음악의 이해를 소재로 한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 둘째, 창의교육의 상상력과 환상은 지역문화 콘텐츠 중 설화 및 전래동화로 연계하여, 무용교육 요소 중 스토리텔링을 소재로 한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 셋째, 창의교육의 호기심과 모험심은 지역문화 콘텐츠 중 지역의 명소와 연계하여, 무용교육 요소 중 주제의 변형을 소재로 한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 넷째, 창의교육의 자신감은 지역문화 콘텐츠 중 민속놀이와 연계하여, 무용교육 요소 중 경쟁심, 협동심을 소재로 한 움직임 확장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창의적 움직임 프로그램이 지방자치단체, 문화 소외지역, 지역문화축제 등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된다면, 무용교육의 저변확대와 지역의 문화 활성화를 위한 초석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각 지역 예술교육의 문화별 연계성에 대한 연구들과 이들의 지역 발전적 개발 및 교육적 목적을 위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bstract

Local cultures, which are formed based on a sense of belonging and attachment, are invaluable resources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those contents that can be grafted onto education by inducing interest through the advantage of being continuously transformable. Therefore, the creative dance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in this study using local cultural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versity and openness of creative education were linked to folk songs and folk music among local cultural contents to develop program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music among dance education elements. Second, the imagination and fantasy of creative education were linked to tales and traditional fairy tales to develop programs based on storytelling among the elements of dance education. Third, the curiosity and adventurous spirit of creative education were linked to local attractions among local cultural contents to develop programs based on changes in the theme among dance education elements. Fourth, the confidence of creative education was linked to folk plays among local cultural contents to develop movement expansion programs based on competitive spirits and cooperative spirits among dance education elements. It is considered that if the creative movement program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re actively used in local governments, culturally marginalized regions, and local cultural festivals, they will be a cornerstone for expanding the base of dance education and revitalizing the local cultures. It is hoped that studies on the linkages of arts education in individual regions to cultures and follow-up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nkages for regional development and for educational purposes will be expanded.


Keywords: local culture, content, dance education, creativity, character, tradition
키워드: 지역문화, 콘텐츠, 무용교육, 창의력, 인성, 전통

References
1. 공주희(2017). 문화소외지역을 위한 무용교육 지원사업 활성화방안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 교육과학기술부(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Ⅴ 체육, 음악, 미술, 외국어(영어). 서울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3. 교육부(2013), 창의인성교육 넷 통계자료, 한국과학창의재단.
4. 권지현(2005). 현대발레 창작에 나타난 패러디적 요소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5. 김경주(2017). 문학교육이 창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6. 김연정(2012). 학교문화예술교육 무용참여가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7. 김지선(2012). 무용표현의 극대화를 위한 음악교육의 필요성.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8. 김지윤(2014). 창작무용교육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9. 김지윤, 김형남, 윤정은(2015). 문화예술정책의 맥락에서 ‘일상생활 속 무용의 확산’ : 문화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무용융성의 방안 모색. 한국체육학회지, 54(5), 691-703.
10. 김채환(2014). 영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적 인성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 대학원.
11. 김태경(2002). 미국 예술교육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12. 김태덕(2019). 청소년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민속예술 무용교육 콘텐츠 개발과 활용.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13. 김효(2019).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궁중무용 교육의 가능성 연구 - 교육연극을 활용한 춘앵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30(2), 37-61.
14. 김화숙(1991). 舞踊創作能力 向上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硏究.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5. 문화체육관광부(2016). 2016 문화향수실태조사. p43.
16. 박미경(2019). 하이컨셉시대의 스토리중심 창의예술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7. 변혜령(2001). 유아 창작무용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도형 활용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8. 백승례(2017). 스토리텔링 기법을 통한 유아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19. 신문승(2010). 초등학생 영재 판별을 위한 창의적 성향 검사 개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 엄휘정(2017). 지역무용 교육 활성화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연구 : 용인지역 한국무용 교육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1. 오레지나(2019). 무용교육의 사회적 맥락과 복지적 가능.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9(3), 23-36.
22. 오인향(2015). 유아기 남아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무용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모티프 라이팅 창작교육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3. 이명진(2002).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콘텐츠 표준화 방안에 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4. 이정애(2016).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5. 이현수(2010). 지적장애인의 작업기억 용량과 집행기능의 부하가 목표지향적 이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6. 인성교육진흥법(2019). www.lawnb.com 2020. 1. 16 검색.
27. 임귀자(2011). 창의성기법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대학원.
28. 장현주(2010).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지역문화시설의 무용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9. 전주현(2005). 예술교육으로서의 중등 무용교육과정 모형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30. 전종한(2017). 지역축제 운영에서 나타는 컨셉트의 역할에 대한 연구 : 천안흥타령춤축제를 중심으로. 미간행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31. 정고운(2016). 민속무용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32. 정병흠(2012). 민속예술의 미술교육 활용과 효용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33. 정숙희(2012). 지역축제와 무용공연활성화에 관한 연구. 우리 춤과 과학기술, 8(3), 154-172.
34. 주현경(2008). 창작무용활동 중심 초등학생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35. 최경희(2002). 무용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3(1), 15-52.
36. 최병우(2009). 음악교육을 통한 창의력 신장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37. 최석민(2013). 창의·인성교육의 유기적 관계성 분석.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0(0), p285-314.
38. 최영식(2010). 민속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과 학교폭력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39. 최인수(2004). 감정인식을 위한 다차원자료로 표현된 인형 이미지의 그래픽스.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강원대 학교 대학원.
40. 한순미(2005). 창의성. 서울 : 서울학지사.
41. 함지선(2010). 예술 중・고등학교 무용지도자의 교육적 가치체계 및 교수설계 방안 탐색.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42. Grenis, M.(1975). Conflicting Views on Competition! II. Individualization, Grouping, Competition, and Excellence. Phi Delta Kappan, 57(3), 199-200.
43. Sandra, N. H.(2000). 발레베이직, 음악세계.
44. Urban, K. K.(1995). Test for Creative Thinking-Drawing Production. Gifted Child Quarerly, 27(3), 139-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