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아카이브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 No. 1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No. 1, pp. 39-52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20
Received 06 Dec 2019 Revised 09 Jan 2020 Accepted 17 Jan 2020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0.37.1.39

무용전공자의 정서 지능과 몰입의 관계에서 조절 초점의 매개 역할 검증
이동숙*
세종대학교

Verification of the Medial role of the Adjustment Focus in Relation to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Flow of Dancers
Dongsook Lee*
Sejo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세종대학교 미래교육원 주임교수Prefessor, Center for Future Education, Sejong Universityanatis1@hanmail.net


CopyrightⒸ 2020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무용 전공자들의 무용 정서 지능과 몰입의 관계를 예측하는 조절 초점의 역할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에 연구방법은 먼저 연구대상을 표집하고 정서 지능과 몰입 및 조절 초점을 측정 할 수 있는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여 연구절차 및 자료 분석에 근거하여 분석하였으며,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목적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무용 정서 지능과 몰입 및 조절 초점의 구조방정식 분석결과는 적합하게 나타났다. 특히 조절 초점은 무용 정서 지능과 몰입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구조방정식을 경로분석을 통해 조절 초점의 예방초점과 향상초점의 역할을 알아본 결과 정서 지능과 예방초점 및 몰입의 경로는 유의하지 못하였으나, 정서 지능과 향상초점 및 몰입의 경로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무용수들의 정서 지능은 향상초점을 매개하여 몰입의 강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무용전공자들의 성공적인 공연을 위한 몰입을 강화시키는데 긍정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adjustment focus in predi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flow of dance major. The research method was first analyzed based on research procedures and data analysis by collecting research targets and distributing and retrieving questionnaires that could measure emotional intelligence and immersion and control focus, and verified the purpose of the study through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In particular, the regulatory focus was found to effectiv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flow.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preventive focus, and flow path were not significant. However, emotional intelligence, promotion focus, and flow path were significant appear. In summary,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of dancers strengthens the flow by mediating the promotion focus. These findings could provide positive information to strengthen the immersion of dance majors for successful performances.


Keywords: Emotional intelligence, Promotion focus, Preventive focus, flow, structural equation
키워드: 정서 지능, 향상초점, 예방초점, 몰입, 구조방정식

References
1. 권순재(2012). 생활체육참여자의 신체적 자기지각과 자기관리가 운동몰입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 권혁준(2011). 상사의 리더십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정서 지능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3. 네이버 위키백과(2020). 상관 분석. https://ko.wikipedia.org/wiki
4. 김경남, 최성희(2005). 무용활동 참가와 몰입경험 및 자아실현의 관계. 대한무용학회논문집, 44. 1-18.
5. 김성빈, 유태용(2017). 성실성과 신경증의 상호작용이 창의수행과 안전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 초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소, 41(2), 1-28
6. 김석우(2007). 기초통계학, 학지사.
7. 김은영(2006). 한국무용수의 몰입경험에 한 현상학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8. 김자인(2016). 클라이밍 몰입의 구조적 접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9. 김지은, 양은심(2014).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정서 지능 및 파트너 십과 몰입의 구조적 관계. 한국무용연구, 32(1), 65-94.
10. 김혜정(2004). 무용전공여대생의 무용몰입경험과 무용참여만족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11. 김화숙(2010). 무용과 정서 지능 관계 탐색.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1(2), 1-22.
12. 류가연(2013). 무용수의 정서 지능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무용역사기록학, 28. 41-63.
13. 목정연(2012). 자기조절 유지에서 조절 초점과 해석 수준의 부합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14. 박소영(2010). 아동의 무용 정서 지능 검사를 위한 척도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5. 박지환(2013). 상사-부하 조절 초점 부합도가 LMX 및 부하성과에 미치는 영향 : 리더십 스타일 및 과업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16. 서로이스(2011). 성향과 상황 조절 초점에 따른 소비자 추론에서의 차이 : 보상추론, 평가적 일관성 추론, 확률적 일관성 추론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7. 성창훈, 박상혁(2016). 조절 초점이 씨름선수의 동기 수준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7(3), 656-665.
18. 손정희, 정찬우(2016). 예비유아교사의 성향적 조절 초점, 셀프리더십, 진로결정몰입의 관계. 교육연구농촌, 37(1), 279-297.
19. 신성철(2012).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에게 나타난 완벽주의성향이 무용 몰입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서경대학교 대학원.
20. 신유진(2012). 무용전공자의 정서 지능과 몰입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1. 심경희, 부성숙(2013). 보육교사의 정서 지능이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2), 540-549.
22. 오보선, 유진(2011). 무용 정서 지능이 웰빙과 무용연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0(4), 347-355.
23. 유진, 오보선(2009). 무용 정서 지능 측정도구 개발. 대한무용학회, 60, 224-234.
24. 양병화(2006). 다변량 데이터 분석법의 이해 : 마케팅, 사회 및 행동과학을 위한 SPSS for Windows 100%활용.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5. 이동숙, 최현주(2018). 공연정서에 대응하는 정서 지능의 역할 탐색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7(6), 831-844.
26. 이선아, 신강현(2018). 긍정사건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절 초점의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모형. 한국자료분석학회지, 20(6), 3169-3183.
27. 이용성(2011). 청소년 문제 행동에 조절 초점(Regulatory focus)이 미치는 영향 : 일반 청소년과 비행 청소년간의 비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8. 이재만(2017). 감정-규칙 부조화와 감정노동전략 및 감정-표현 부조화 간의 관계에서 조절 초점의 매개효과 :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호남대학교 대학원.
29. 조영주(2010). 무용몰입의 개념구조 탐색 및 척도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30. 조영주, 이강헌(2010). 무용 몰입의 개념 구조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1(2), 187-200.
31. 조중연(2014). 감정노동 현장에서의 조절 초점의 역할에 대한 연구 : 조절 초점의 매개와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32. 조태준, 문성실(2014). 리더의 감성지능이 상사신뢰, 지식공유, 직무몰입을 매개로팀 유효성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HRD연구, 16(4), 1-24.
33. 최은용(2010).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표현행동이 자기조절능력 및 무용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64(64), 241-263.
34. 하형란(2012). 경찰공무원의 조절 초점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35. 한미영, 이소현(2004). 무용에서의 몰입경험(Ⅱ).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12(1), 401-426.
36. 한수지(2017). 대학무용전공자의 무용참여동기와 무용몰입 및 무용지속의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37. 한시완, 유진(2008). 무용수 자기조절 전략: 성차 검증. 대한무용학회논문집, 61, 295-308.
38. 허진영, 권형수(2009). 무용전공 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자아실현과의 관계 이해. 대한무용학회논문집, 58, 315-335.
39. 홍준희(2005). 성취목표성향의 예측변인으로서 체육 능력의 암묵적 이론 탐색.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6(1),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