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아카이브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6 , No. 1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6, No. 1, pp. 45-59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19
Received 30 Nov 2018 Revised 10 Jan 2019 Accepted 17 Jan 2019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9.36.1.45

무용전공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
김하연*
한양대학교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f Dance Major Student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Job Preparation Ability
Kim, Ha-Yeon*
Hanyang Univ.
Correspondence to : *nn744423@naver.com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5개 대학의 무용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최종적으로 368명을 유의표집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검사를 거친 후 사용하였다. 수집 된 설문자료는 통계프로그램 IBM SPSS Statistic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무용전공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하위요인인 행동적전략, 건설적사고전략, 자연보상전략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미래계획, 직업정보수집, 목표설정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셀프리더십 행동적전략과 건설적사고전략은 자기평가와 문제해결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하위요인 중 자연보상전략, 행동적전략은 취업준비역량의 하위요인인 취업정보탐색, 취업준비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직업정보수집, 문제해결이 취업준비역량의 하위요인인 취업정보탐색에, 그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미래계획, 직업정보수집, 목표설정은 취업준비역량의 취업준비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준비역량에 작용하는 의미 있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effects of self - leadership of dance major students on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nd job preparation ability. 368 students were selected from five danc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were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were used after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IBM SPSS Statistics Version 18.0.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behavioral strategy,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y, and natural compensation strategy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uture planning, job information collection and goal setting, which are sub - factors of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 Self - leadership behavioral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i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elf - evaluation and problem solving.

Second, natural compensation strategy and behavioral strategy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earch information search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Third, collecting job information and solving problems significantly affected job search information. In addition,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future planning, job information collection, goal sett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 - leadership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is a meaningful factor affecting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nd job preparation ability.


Keywords: self-leadership,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job preparation ability, dance major students
키워드: 셀프리더십,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취업준비역량, 무용전공대학생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김하연의 석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References
1. 고완숙(2014). 취업준비대학생이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 김명옥, 박영숙(2012).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9(11), 69-90.
3. 김보경, 정철영(2012).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 개인이 인식한 문제해결력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한국농업교육학회, 44(2), 49-71.
4. 김인건(2009). 기업가의 규칙적 운동이 셀프리더십과 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5. 김유경(2017). 무용전공학생들의 교수지지와 셀프리더십, 진로개발능력, 취업역량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6. 나용주, 윤병섭(2017).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경영컨설팅연구, 17(1), 135-150.
7. 문선화, 이태구, 이한주(2016). 무용과 취업 준비생을 위한 진로역량 강화 교육과정 개발: 새로운 취업경로인 초등 돌봄전담사 측면에서, 한국무용과학회지, 33(3), 27-41.
8. 박기선(2003). 무용전공 대학생의 취업인식도 및 교과과정 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9. 박윤주(2015).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10. 박윤희(2012). 무용전공대학생의 취업환경변화에 따른 교과과정의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1. 박진희(2011).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에 따른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12. 배성아, 성소연(2016).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 1-22.
13. 백운옥(2010). 무용전공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14. 신은영, 최은수(2009). EFL 성인학습자의 셀프리더십 개발을 위한 츢정도구의 개념화. 평생교육 HRD연구, 5(3), 199-219.
15. 심정호(2016). 무용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16. 이기학, 이학주(2000). 대학생의 진로 태도 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 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27-136.
17. 이보미(2008). 대학 무용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에 관한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18. 이윤혜(2003). 사회활동에 필요한 무용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 이은진(2001).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 이정규(2006).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고3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20(3), 571-586.
21. 이종원(2014).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사회적지지,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22. 이종찬, 홍아정(2013).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6(1), 69-92.
23. 임동순(2015).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대학원.
24. 진경미(2015).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4(6), 145-162.
25. 조기윤(2011). 대학생의 취업불안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26. 조명실(2006).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7. 정은주(2015). 항공사 승무원 취업준비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8. 최인선(2015). 대학생활적응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셀프리더십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대학원.
29. 최인선, 주은지(2016). 대학생활적응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6), 145-173.
30. 한나리, 전지현(2012).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1(2), 83-99.
31. 현보람(2012). 한국무용전공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자기관리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32. 김정우.『SBS뉴스』(2018.09.12.20:19), 실업자 수도 청년실업률도 어쩌나… IMF 이후 '최악,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932256#openPrintPopup&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33. 김제이.『매일경제』(2018.09.15.11:26), 취준생 10명 중 4명 "취업 준비 막막해…",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582626.
34. 조슬기나.『아시아경제』(2017.03.22.10:54), [또 청년대책]청년실신·이생망…10차례 대책 쏟아내도 답없는 청년실업,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7032209065879822.
35. 한상균.『연합뉴스』(2017.10.01.07:40), ‘고향가기가…' 대졸 실업자 50만 시대…3명중 2명은 청년층,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09584771&sid1=001.
36.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37. Brown, S. D., Lent, R. W., & Gore, P. A.(2000). Self-rated abilities and self-efficacy beliefs : Are they empirically distinct.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8, 223-235.
38. Crites, J. O. (1978). Career maturity inventory: Administration & use manual. CTB/McGraw-Hill.
39. Hackett, G., Betz, N. E. (1981). The relationship of career related self-efficacy expectations to perceived career option in college woman and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 377-410.
40. Hackett, G., Betz, N. E.(1981).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 326-339.
41. Houghton, J. D., Neck, C. P.(2002).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7, 672-691.
42. Kossek, E. E., Roberts, K., Fisher, S., & Demarr, B. (1998). Career self-management: A quasi-experimental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a training intervention, Personnel Psychology, 51(4), 935-960.
43. Lent, R. W., Hackett G.(1987). "Career Self-efficacy: Empirical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0, 347-382.
44. Manz, C. C. (1986).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585-600.
45. Neck, C. P., Houghton, J. D.(2006). Two decades of Self-leadership theory and research: Past development present trends, and future possibiliti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4), 270-295.
46. Taylor, K. M., Betz, N. E.(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 6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