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아카이브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5 , No. 2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5, No. 2, pp. 67-80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8
Received 27 Feb 2018 Revised 02 Apr 2018 Accepted 18 Apr 2018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8.35.2.67

초등학교 체육교과과정 중 무용수업의 교과 분리에 관한 연구
조남규 ; 김유진*
상명대학교

A Study on the Separation of Dance from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Namgyu Cho ; Yujin Kim*
Sangmyu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yjyj1113@naver.com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초등무용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무용의 체육교과에서의 분리 타당성을 고찰하고 궁극적으로 원만하고 효율적인 초등무용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우선 무용교육의 실체와 본질, 그리고 체육교과의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창의성, 예술성, 음악적 요소, 경쟁, 평가방법의 관점에서 체육과 무용이 상호 분리되지 않은 경우와 분리 시행되었을 경우에 무용과 체육교과에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장단점과 제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 및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바는 두 가지 경우에서의 문제점을 비교 확인함으로써 교육과정 분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강화하고 무용교육의 교과분리가 인정될 수 있는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Abstract

This research explores the essence of elementary school dance and studies the validity of separating dance education from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efficient application of elementary dance education. First of all, the substance and essence of dance education was researched and compared with thos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ducation subject. Secondly, the case of dance education separated from physical education is analyzed in terms of creativity, artistry, musical aspect, and competitiveness, and evaluation. Then, the case that dance education within physical education is also considered with the expected pros and cons. Finally, some suggestions supposed to be considered for separating dance education from physical education were proposed in hope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recognizing the matter.


Keywords: Dance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Separation of Dance from PE, Suggestions for dance education
키워드: 무용교과, 체육교과, 무용교육 분리, 교과분리, 초등 무용 교육 과정, 초등 무용 교육 발전 방안

참고문헌
1.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2016). 2009 vs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신구대조표 http://ncic.kice.re.kr/nation.revise.board.view.do.
2. 김명숙, 이덕영, 이광무 (2010). 초등체육교육방법론, 도서출판 보성.
3. 교육부(2015). 체육과 교육과정, pp.8-9, 2015.
4. 노미현(2004).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실태 조사연구, 청주교육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5. 양옥경(2002). 초등 무용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부산교육대학 석사 학위논문.
6. 이윤혜(2003). 사회활동에 필요한 무용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오세복(2006). 초등무용의 이론과 실체, 도서출판 훈미.
8. 권지담(2011). 초등교육과정-통합이론서(Ⅱ), 에듀스파(주), 박문각.
9. 초등교육과정연구모임(2013). 초등교육을 재구성하라! - 어린이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초등교육과정을 위하여, pp.262-264, (주)KG패스원에듀니티.
10. 채순희(2006). 초등학교 무용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문화 예술 교육을 중심으로, pp.14-17, 경성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1. 김미경(2011), 초등무용교육의 교과 내용 및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발전방향, pp.71-116, 세종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12. 정진이(2006), 초등학교 무용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pp.17-18, 숙명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3. 유진이(2007), 체육교사의 무용교육 교수활동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 서울지역 중등학교 ‘무용을 전공한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pp.59-60, 중앙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4. 배상원(2017), 한·미 초등 무용 교육과정 분석 및 비교 : 한국의 2015년 개정 무용교육과정과 미국의 2014년 국가핵심예술교육기준(NCAS)을 중심으로, pp.16-18, 중앙대학교 석사 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