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Issu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1 , No. 1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1, No. 1, pp. 37-48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24
Received 30 Nov 2023 Revised 31 Dec 2023 Accepted 16 Jan 2024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4.41.1.37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무용교육 연구 동향분석: 2019~2023
하지원* ; 차수정**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무용학과 박사과정 (haih70@sookmyung.ac.kr)
**숙명여자대학교 이과대학 무용과 교수 (sjcha@sookmyung.ac.kr)

Analysis of Dance Education Research Trend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2019~2023
Jiwon Ha* ; Sujung Cha**
*Ph.D, Department of Danc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haih70@sookmyung.ac.kr)
**Professor, Department of Danc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jcha@sookmyung.ac.kr)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무용분야의 무용교육관련 논문들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관련 주제의 하위구조를 SPSS 27.0 과 Texto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2019년 이후 최근 5년간 무용교육 관련 연구의 종단적 흐름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무용교육의 주요 키워드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총 559편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425편의 연구물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교육 관련 키워드 빈도분석 결과, 상위 10개를 살펴보면 ‘무용교육’, ‘문화예술교육’, ‘한국무용교육’, ‘무용전공자’, ‘대학무용교육’, ‘무용교육프로그램’, ‘연구동향’, ‘무용교육과정’, ‘초등무용교육’, ‘발레교육’, ‘코로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요 키워드 간의 연결 정도 중심성을 살펴본 결과, 상위 5개의 연결정도 중심성은 ‘무용교육(5.454)’, ‘문화예술교육(1.414)’, ‘한국무용교육(1.212)’, ‘무용전공자(0.858)’, ‘대학무용교육(1.262)’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용교육의 방향성과 교육형태 측면, 전공별, 대상별 맞춤형 교육 측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dance education-related papers in the dance field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analyzed the substructure of related topics using SPSS 27.0 and Textom,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in keywords of dance education by analyzing the longitudinal flow of dance education-related research for the last five years since 2019.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559 papers were searched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425 studies that f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s targets for analysis and found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Second, looking at the top 10 results of the frequency analysis of keywords related to dance education,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dance educati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Korean dance education', 'dance majors', 'university dance education program', 'research trend', 'dance curriculum', 'elementary dance education', 'valle education', and 'corona'.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entrality of the degree of connection between the main keywords, the top five centralities of connection degree were 'dance education (5.454), 'culture and arts education (1.414), 'Korean dance education (1.212), 'dance majors (0.858), and 'university dance education (1.262)'.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policy preparation to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for each dance education direction, education type, major, and target.


Keywords: Keyword analysis, Network analysis, Dance education, Research trends, Big data analysis
키워드: 키워드분석, 네트워크분석, 무용교육, 연구동향, 무용분야

References
1. 권인선, 정구인(2016). 국내 학술지를 통한 무용교육학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747-765.
2. 감정기,감미아,박미희 (2016). 사회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게재논문(1979-2015)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8(2), 185-211.
3. 교육부(2022). 체육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4. 김명희(2014). 한국 무용교육의 시대적 동향과 과제 연구. 韓國舞踊敎育學會誌 25(1), 23-39.
5. 김보미, 유정애(2014). 우리나라 초등학교 무용교육 연구동향 및 연구과제 탐색.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0(3), 137-149.
6. 김세영(2023). TF-IDF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AI 기반 개별화 KGRTMQ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7(4), 453-464.
7. 김이재, 이연주, 최수진(2023).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실용무용 교육 동향 분석 :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실용무용학회지 1(2), 77-84.
8. 김인형(2005). 무용학: 제7차 교육과정 개정 이후 무용교육의 학술 연구동향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4(4), 689-700.
9. 김지영, 홍애령(2019). 무용교육학(Dance Pedagogy)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 : 시계열 관점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7(9), 439-450.
10. 김혜정(2015). 사회과학분야: 국내 무용교육학 연구 동향 분석: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무용과학회지 32(1), 181-190.
11. 노진아,이규옥,정길순,육성희(2009). 국내 유아특수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9(1), 1-32.
12. 박혜연(2017).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무용교육의 변화와 과제. 한국체육학회지 56(5), 577-587.
13. 박혜연(2023). 학교무용교육의 변화와 실천적 교수모형 탐색: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26(3), 149-167.
14. 신주랑(2022).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진로상담 관련 국내 연구동향 (2015~2022)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3), 209-222.
15. 이경옥, 하지연(2000). 특수체육의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8(2), 17-34.
16. 이광빈,황미영,박종운(2021).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직업교육연구 학회지의 연구동향 분석. 職業 敎育 硏究 40(1), 97-116
17. 이은선, 김화례(2008). 무용교육의 연구 동향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17(4). 987-995.
18. 이종화,이문봉,김종원(2019). TF-IDF를 활용한 한글 자연어 처리 연구. 情報시스템硏究 28(3), 105-121.
19. 장병권, 채창목, 김영식(2017). 키워드 네트워크(keyword network) 분석을 활용한 초등체육교육학 연구 동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1(4), 165-179.
20. 장윤정, 박중길(2005). 무용학: 국내 무용교육학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체육학회지 44(5), 801-811.
21. 정성훈(2021). 토픽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亂中日記〉 텍스트 연구. 국어국문학 197, 111-144.
22. 한진희, 한가영(2021).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코로나19 이후 온라인수업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영어영문학연구 47(3), 171-194.
23. 홍애령(2019).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 무용교육의 연구동향 및 과제 탐색. 우리춤과 과학기술 15(4), 9-27.
24. 이하은(2023.10.13.). 고교 자퇴생 수 3년 연속 증가… 코로나19 이전 수준 육박.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31009010003263
25. Park, J., Jung, S. H., Park, H., & Lim, K. Y. (2022),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personalized learning: using TF-IDF, LDA based text min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34(4), 711-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