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Issu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1 , No. 1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1, No. 1, pp. 1-17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24
Received 30 Nov 2023 Revised 31 Dec 2023 Accepted 19 Jan 2024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4.41.1.1

국내 발레 분야 창작지원 정책환경 및 지원실태 분석
권선영*
*고양시정연구원 시민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 (homoartes@gmail.com)

Analysis of the Policy Environment and Current Status in Korean Creative Ballet
Sunyoung Kwon*
*Associate Research Fellow, Dept. of Public Policy Research, GoYang Research Institute (homoartes@gmail.com)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Funding Information ▼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발레 분야 창작지원 관련 정책환경 및 지원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발레 분야 창작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 무용 분야 창작활성화 관련 법률 및 정책의 구조 등의 정책환경을 파악하고, 관련 기관별 예산 및 사업자료 분석을 통해 무용의 세부장르별 지원실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공연예술진흥정책의 부재, 창작 및 유통 지원 사업의 분절성, 유통 지원 사업의 단순성이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발레 분야 지원실태 분석 결과, 창작 지원 사업에의 참여 저조, 교류 활동 침체, 유통 지원 사업에의 쏠림 현상 등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 문화예술진흥사업과 연동된 공연예술진흥정책 수립, 창작 및 유통 지원 사업 간 및 추진기관 간 연계 및 협력, 유통 지원 사업 다변화 검토, 발레 분야 교류 활동 적극 지원 등을 제안하였다. 무엇보다 발레 분야와 관련한 정책-현장-교육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논의와 협력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licy environment and support status related to Krean creative ballet, proposing policy improvements to enhance K-creative balle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structure of laws and policies related to creative works in K-ballet activation. The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ituation and derive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oints of the policies. The analysis of legal and policy environments revealed issues such as the absence of policies for promoting performing arts, fragmentation of support projects for creation and distribution, and the simplicity of distribution support projects that need improvement. The analysis of support status in the ballet field revealed problems such as low participation in support policy projects, stagnation of creative and exchange activities, and concentration in distribution support projects.

As conclusions, the study suggests formulating performing arts promotion policies integrated with existing cultural and arts promotion policy projects, enhancing coordin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creation and distribution support policy projects and their implementing agencies, considering diversification of distribution support projects, and actively supporting ballet-related exchange activities. Above all,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discussions and collaboration among experts in the policy, field, and education sectors to realize these proposals.


Keywords: creative ballet, performing arts policy, policy for ballet
키워드: 창작발레, 발레창작, 공연예술정책, 무용정책, 발레창작지원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서울문화재단 2023년 예술연구활동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research fund support of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References
1. 강기홍(2016). 「문화기본법」의 선진화 방안. 법학연구, 24(1), 43-60.
2. 강미선(2002). 무용공연 환경이 공연관람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1(5), 49-57.
3. 공연과리뷰 편집부(2000), (서평) 발레 창작 핸드북. 공연과리뷰, 5.
4. 김경영, 김성민(2020). 한국 현대발레 안무가 육성을 위한 방안 연구 – 한미 대학무용커리큘럼 비교를 토대로. 한국무용학회지, 20(1), 137-147.
5. 김보라, 김재범(2017). 아티스타 마케팅을 통한 공연에술 활성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무용공연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8(6), 31-46.
6. 김선주(2018). 무용공연 관람객의 관람동기가 관람몰입과 재관람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5(4), 15-27.
7. 남진희(2018). 무용 공연 활성화를 위한 문화예술정책 공공지원의 현황 분석. 한국무용학회지, (18)2, 73-82.
8. 문화일보(2023년 6월 26일). ‘최초’ ‘최연소’ 타이틀 휩쓸며… 세계 발레단 간판된 K-무용수들.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3062701032112310002
9. 문화체육관광부(2023). 2023년 예산 및 기금운용 계획.
10. 문화체육관광부(2023). 제2차 국제문화교류진흥 기본계획(2023~2027).
11. 문화체육관광부(2023). 제2차 문화진흥 기본계획(2023~2027).
12. 박광동(2023). 「공연법」 법체계 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13. 박성혜(2020). 무용공연지원사업의 공적 가치와 예술적 의미 관계 연구 – 창작산실 무용분야 지원사업의 사례 중심으로. 무용예술학연구, 79(3), 57-77.
14. 박은혜(2022). 한국의 공연예술정책과 발레, 무용과 이론, 6, 5-24.
15. 박재홍(2018). 현 정부 문화예술정책의 방향과 무용계에의 시사점. 한국무용과학회지, 35(1), 111-123.
16. 박정인, 유현우(2021). 국내 공연산업의 발전 및 화성화를 위한 법제 연구. 스포츠와 법, 24(4), 79-99.
17. 신혜선, 조효정(2023). 대외문화정책 담론의 변천과 국가별 용어 활용 사례분석을 통한 한국 국제문화교류의 개념 고찰. 문화예술경영학연구, 16(2), 65-95.
18. 유태균, 노경일, 최윤정(2009). 무용기획 레퍼토리 성공사례 분석과 대중화 방안.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17(4), 343-366.
19. 이용건, 주형철(2020). 빅데이터를 활용한 무용공연관람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학회, 18(2), 365-374.
20. 이용건, 주형철, 김화례(2016). 발레공연의 마케팅믹스 전략과 관람객과의 관계의 질 그리고 미래행동의도 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5(2), 379-392.
21. 이종수(2015). 문화기본권과 문화법제의 현황 및 과제. 공법연구, 43(4), 1-20.
22. 이주희(2017). 한국 문화예술지원 유형에 따른 무용공연예술의 발전방안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3. 장은영(2014). 공연예술정책에 따른 한국 창작발레공연 지원 동향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4. 전미애(2020). 한국 무용정책의 제도적 접근 : 문화예술진흥정책의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5. 전주현(2012). 문화예술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한국 창작발레의 방향 모색. 한국예술연구, (5), 35-62.
26. 정옥희(2022). 생애주기로 본 발레 안무가 육성 패러다임 연구: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무용학회논문집, 80(2), 199-224.
27. 한국문화예술위원회(2020). 2020 연차보고서.
28. 한국문화예술위원회(2021). 2021 연차보고서.
29. 한국문화예술위원회(2022). 2022 연차보고서.
30. 한국문화예술위원회(2023). 2023 문예진흥기금 공모사업 지원신청 안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