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Issu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1 , No. 1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No. 3, pp. 1-14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2
Received 31 May 2022 Revised 30 Jun 2022 Accepted 15 Jul 2022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2.39.3.1

발달장애아동의 모방능력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차지은*
*동덕여자대학교 무용과 강사 (cje0429@naver.com)

Development of a Dance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 Imit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JiEun Cha*
*Instructor, Department of Dance, Dongduk Women's University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Funding Information ▼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의 인지적·분석적 능력의 발달과 효율적인 학습을 위한 모방능력 관련 프로그램 필요성의 인식하에, 이를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문헌고찰과 장애인 대상 무용교육 지도자 4인과의 전문가 회의를 통해 프로그램 모형을 구성하였고, H특수학교 발달장애아동 4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그 후 총 6인의 교육훈련전문가 집단 회의 및 타당도 검증을 진행하였고, 수정 및 보완을 거쳐 최종적인 발달장애아동의 모방능력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총 20회기로, 라포형성, 신체인식, 모방형성, 협력적 모방, 독립적 모방 5가지의 영역으로 구성되며, 프로그램의 회기별 구조는 도입, 전개, 마무리의 구조를 지닌다. 또한 프로그램의 매 회기별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전략으로 ‘올바른 시범’, ‘집중·관찰 유도’, ‘효과적 보상’의 세 가지 요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의 모방능력을 위한 무용교육의 방향과 내용이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모습을 갖추게 되는 데에 단초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발달장애아동의 모방능력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그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학습 및 일상생활에 필요한 적응행동을 습득하는 데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리고 향후 특수무용교육의 학술적·실천적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 dance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 cognitive and analytical skill and the imit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a developmental disorder. To this end, a model was design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four dance teachers with expertise in people with disabilities. Next, fou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who were enrolled in the H special school,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ir participation in the developed program analyzed. Subsequently, a group meeting was arranged with six education and training experts to revise the program and supplementation processes for validity. The final program consists of 20 sessions with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formation of rapport, recognition of the body, formation of imitation, collaborative imitation, and an independent imitation. The structure of each session was based on introduction, progress, and finish. Moreover, the developed program presented three factors of “correct demonstration,” “encouragement of concentration and observation,” and “effective compensation” a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each session. This study would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objective and systematical direction and content of dance education for the imit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If researchers perform further research on these children’s imitation ability, the results will have the desired effect of helping them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 and to develop the learning ability and the necessary adaptative behaviours required for daily life. It is also expect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includ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cademic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special dance education.


Keyword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imitation ability, special dance, dan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dance education, program
키워드: 발달장애아동, 모방능력, 특수무용, 장애인무용, 무용교육, 프로그램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B5A01047508)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2019S1A5B5A01047508)


References
1. 고성희(2003). 놀이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ADHD아동의 주의집중력과 모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2. 교육부(1991). 동작모방의 훈련과 이론의 실제.
3. 교육부(1998). 유아를 위한 친 사회적 교육활동 지도자료.
4. 권미영(2021). 장애학생의 진로와 직업을 위한 STEAM기반 경제교육프로그램 모형개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60(2), 147-167.
5. 김나영, 고성희(2004). ADHD아동의 주의집중과 모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요인.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2(2), 55-65.
6. 김보라, 조정호, 이지현(2013). 무용활동프로그램이 장애대학생의 우울증세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0(2), 115-128.
7. 김영미, 홍혜전(2014). 노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창의움직임 홀니스 프로그램 개발. 한국무용과학회지, 30(4), 1-13.
8. 김진현(2000). 상징적 표현을 내재한 전통무용의 모방적 기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9. 김해미, 최승권(2001). 움직임교육이 발달장애아동의 모방, 언어이해 및 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9(2), 89-95.
10. 문화체육관광부(2021). 장애인생활체육조사 : 운동 경험자 운동 목적.
11. 박수미(2016). 창의성 교육 기반으로서 모방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2. 박화문(1996). 일본 특수교육학교 교육과정.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28, 1-10.
13. 백경민(2015). 무용 활동이 장애학생의 정서지능과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14. 송미향(1989). 무용에 있어서 모방론에 관한 연구: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5. 송석재(2002). 반두라(Bandura)의 도덕발달 이론에 관한 연구. 도덕교육학 연구, 3, 85-10.
16. 송현주(2013). 무용동작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17. 여광웅(1993). 특수아동 지도방법의 탐색. 특수교육학회지, 14(1), 101-119.
18. 이소현(2004). 유아특수교육. 서울: 학지사.
19. 이영태(2013). 집단지성 기반의 학습환경 설계원리 및 모형개발: 공학교육에서의 창의설계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 이아련(2009). 그룹리듬악기연주활동에 따른 발달지체유아의 모방능력에 관한 사례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1. 이지선(2015). 지적장애청소년의 무용동작프로그램에 관한 실행연구: Marian Chace 무용기법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2. 이지윤, 강선영(2008).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동작모방에 미치는 효과.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2(5), 89-97.
23. 이하윤(2011). 공간개념을 활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장애아동의‘공간인식능력'에 미치는 효과: LMA Space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4. 임인선(2003). 무용요법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신체이동 기술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5. 임정미(2010). 서양 고대 그리스의 모방론에서 본 춤 예술. 한국체육철학회지, 18(4), 247-259.
26. 장연(2016). 학령기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음성모방과 어휘력 간의 관련성.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7. 장혜정(2013). 집단무용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이동운동기술 및 협응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8. 정재삼(1996). 학습조직을 추구하기 위한 기업교육방향에 대한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경영논총, 14, 127-142.
29. 정재원(2015).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7), 41-62.
30. 정지완, 박재국, 김영미(2012). 운동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동작모방능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4(1), 147-178.
31. 진보교육연구소(2012). 비고츠키 교육학의 이해(기획강좌자료집). 서울: 진보교육연구소.
32. 최진화(2015). 미술교육에서 모방의 의미와 모방학습의 적용모형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33. 황호갑(1994). 정신지체아의 동작모방 능력 신장을 위한 단계별 훈련 프로그램의 구안 적용. 국립특수교육원.
34. Bandura, A. (1954). The influence of models in modefying delay of gratification patter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 698-705.
35. Chace, M. (1957). A Psychological Study as Applied to Dance. NY: Presented at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Meetings.
36. Gilson, C. B., Carter, E. W., & Biggs, E. E. (2017). Systematic review of instructional methods to teach employment skills to second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and Practice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42(2), 89-107.
37. Macrae, C. N., & Johnston, L. (1998). Help, I need somebody : Automatic action and inaction. Social cognition, 16, 400-417.
38. Piaget, J. (1952). The origins of intelligence in children.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39. Seels, B., Richery, S. (1995). Instructional design fundamentals: A reconsideration. Educational Technology.
40. Sherri L. Horner, Srilate Bhattacharyya, Evelyn A. O'Connor(2008). Modeling: It's More Than Just Imitation. 전홍주(역)(2008). 따라하기: 모방, 그 이상의 행동. 어린이교육, 10, 227-235.
41. Smith, P. L & Ragan, T. J. (2004). Instructional design. John Wiley & Sons INC.
42. Tomporowski, P. D., & Tinsley, V. (1997). Attention in mentally retarded persons. In W. E. MacLean, Jr. (Ed.), Ellis' handbook of mental deficiency, psychological theory and research, 219-244. Mahwah, NJ, U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43. Vygotsky, L. S. (1986). Thought and language (Edited by A. Kozulin). Cambridge, MA: MIT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