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Issu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1 , No. 1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No. 2, pp. 31-46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2
Received 06 Mar 2022 Revised 05 Apr 2022 Accepted 20 Apr 2022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2.39.2.31

발달장애아동의 국어교과연계 통합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가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원자승* ; 홍혜전**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부교수 (plusnine@hongik.ac.kr)
**서원대학교 문화예술교육센터 센터장(조교수), (교신저자) (hyejeon007@seowon.ac.kr)

Effect to online content of integrated art education linked of Korean language subject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s
Jaseung Won* ; Hyejeon Hong**
*Associate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Performing Arts, Hongik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Center, Seow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국어수업에서 교과연계 통합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 활용이 발달장애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청주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통합학급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아동 11명을 선정하였고, 국어교과연계 통합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은 실험군(6명)과 동일기간 기존 국어수업에 참여한 대조군(5명)에게 주1회 40분씩, 총 8주간 2021년 10월 14일부터 12월 2일까지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을 통해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및 ANOVA를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술이 실험군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실험군의 대응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어 국어수업에 있어 교과연계 통합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 활용이 발달장애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발달장애아동의 교과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교과연계 통합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use of online content for integrated arts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classes on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rolled in an integrated class in the 6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heongju, and the classes using the integrated arts education online content linked to the Korean language subject were the experimental group (6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6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class during the same period. 5 people) once a week for 40 minutes, for a total of 8 weeks, from October 14 to December 2, 2021. For data proces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corresponding samples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hrough SPSS 21.0,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p<.05.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onse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group, confirming that the use of online content in integrated arts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classes improv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s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explore ways to utilize online content for integrated arts educ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urriculum learning effec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eyword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egrated art education liked, online content, self-expression, social skill
키워드: 발달장애아동, 교과연계 통합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 자기표현, 사회적 기술

References
1. 교육부(2021).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6&lev=0&statusYN=W&s=moe&m=0302&opType=N&boardSeq=88962
2. 김백락(2005). 미술치료를 적용한 집단지도가 아동의 자기표현과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3. 김성회(1982).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주장훈련의 효과. 경북대학교학생지도연구, 15(2), 1-30.
4. 김수정(2014). 부모의 영성이 장애아동 양육경험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 신학과 목회, 41, 197-217.
5. 김지영(2005). 자기주장훈련이 경도정신지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도,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6. 김향지(1996). 사회성기술검사(SSRS)의 타당화 연구. 특수교육학회지, 17(1), 121-135.
7. 김현주(2014). 무용교육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8. 김화숙(2013). 특수무용교육 기초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4(2), 13-28.
9. 박시은, 박지연(2015). 놀이 활용 자기표현훈련이 위축된 지적장애학생과 통합학급 또래들의 정서적 능력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23(3), 65-85.
10. 박주영, 이강순(2010). 하나로 수업 모형을 적용한 창작무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6(2), 81-89.
11. 변창진, 김성희(1980). 주장훈련 프로그램. 학생지도 연구, 13(1), 51-85.
12. 서원대학교 문화예술교육센터(2020). 기획사업Ⅱ “예술로 通하고 예술로 答하다” 특수분야 초등국어교과 통합예술교육 결과자료집.
13. 송소원(2008). 자기표현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대인관계,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16(1), 103-117.
14. 송준만, 강경숙, 김미선, 김은주, 김정효, 김현진, 이경순, 이금진, 이정은, 정귀순(2012). 지적장애아교육. 서울: 학지사.
15. 신동준, 최승숙(2010). 경도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사회성 기술지도 평가 실태분석. 특수교육, 9(2), 93-121.
16. 신현기(1995). 정신지체아동의 대인문제 해결 특성.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17. 신효순, 이원령(2013). 일반아동 참여의 과정중심 역할놀이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9(1), 303-326.
18. 안다경(2014). 놀이 중심의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자기표현능력 및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19. 원상화(2015). 장애아동의 창의성 교육을 위한 통합적 예술교과 운영방안.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6(3), 5-27.
20. 이초림, 김갑숙(2018). 사회적 기술 향상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재활심리연구, 25(2), 259-281.
21. 정귀순(2004). 중도 및 복합장애아동의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문헌분석 연구. 특수교육, 2(1), 57-79.
22. 정문성(2014). 우리는 어떤 수업을 해야 하는가. 울산교육, 67, 44-48.
23. 정정진, 여광응, 이영재, 신현기, 김동일, 김소희, 안성우, 이신동, 이영철, 이은주, 이점조, 임성민, 정진옥, 조용태, 최민숙, 최성규(2010). 특수아동 심리학. 서울: 학지사.
24. 정희자(2017). 학습부진아를 위한 무용을 중심으로 한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초등예비교사들에 대한 교육방법모색.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3(3), 31-49.
25. 정희정(2021). 무용이 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38(2), 65-80.
26. 주진이(2009). 초등학교 학교 합창부 활동이 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7. 최경일, 박경현(2009). 초등학생 대상 사회복지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학교사회복지, 16, 31-51.
28. 최승권(2018). 특수체육론. 서울: 레인보우북스.
29. 황금숙, 김영주, 김정선, 민경훈, 박지선, 서예원, 이정민, 장선연(2007). 방과 후 교육을 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 개발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30. 홍혜전(2015). 가족 참여형 교과연계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 ‘춤추는 별자리’ 체험 사례 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32(3), 17-28.
31. Brown, C. R., & Brown, M. B. (2004). Empirical measurement of parasite transmission between groups in a colonial bird. Ecology, 85(6), 1619-1626.
32. Cummings, J. L. (1997). The Neuropsychiatric Inventory: assessing psychopathology in dementia patients. Neurology, 48(5 Suppl 6), 10S-16S.
33. Duncum, P.(2002). On Knowing: Art and Visual Culture.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34. Fiske, E. B. (1999). Champions of change: The impact of the arts on learning. Washington, DC: Arts Education Partnership, President's Committee on the Arts and the Humanities.
35. Gresham, F. M., & Elliott, S. N. (1990). Social Skills Rating System(SSRS). American Guidance Service.
36. Gresham, F. M., & Sugai, G. & Horner, R. H. (2001). Interpreting outcomes of social skills training for students with high-incidence disabilities. Exceptional Children, 67(3), 331-345.
37. Morgan, R. (2004). Improvisation: Another way to move and dance. Strategies, 18(2), 19-20.
38. Mualem, O., & Klein, P. S. (2013). The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of musical interactions compared with play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their one-year-old infant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3(7), 899-915.
39. Munsell, S. E., & Bryant Davis, K. E. (2015). Dance and special education. Preventing School Failure: Alternative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th, 59(3), 129-133.
40. Rakos, R. F., & Schroeder. H. F. (1980). Self-directed Assertiveness Training. New York: Bio Monitoring Applications(BMA).
41. Schalock, R. L. (2000). Three decades of quality of life.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15(2), 116-127.
42. Vars, G. F. (1991). Integrated curriculum in historical perspective. Abstracts International, 20, 1830-1831.
43. Zitomer, M. R., & Reid, G. (2011). To be or not to be–able to dance: Integrated dance and children’s perceptions of dance ability and disability. Research in dance education, 12(2), 137-156.